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큐메니칼 교회론 정립을 위한 신약성서적 고찰

        배현주(Hyun-Ju Bae)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2 신학논단 Vol.69 No.-

        The global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stands at the crossroad of a drastic paradigm shift, as its great portion of population moves towards the South. At this critical time when a number of unprecedented issues are posed, the church needs to reflect and reclaim its biblical identity in its attempt to pursue “one holy catholic universal church.” Particularly as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CC is to be held in Busan in 2013, the church in Korea needs to revisit the ecclesiology in the New Testament, and to explore it from an ecumenical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images of the church in the New Testament with the view of bringing to the fore the biblical ecumenical ecclesiology. The representative concepts of the church, such as the body of Christ, the people of God, the temple of the Holy Spirit, and a new creation, are reviewed and discussed. Well-known as they are, these images have been hardly, or insufficiently, explained in their connection to the ecumenical effort at church unity and the ecumenical church’s engagement in the various struggles for life, justice and peace in the contemporary world. Therefore, while exploring each ecclesiological them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such a connection in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The present article aims to lay a biblical foundation for the ecumenical ecclesiolog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ajor concepts of the church in the New Testament. The global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stands at the crossroad of a drastic paradigm shift, as its great portion of population moves towards the South. At this critical time when a number of unprecedented issues are posed, the church needs to reflect and reclaim its biblical identity in its attempt to pursue “one holy catholic universal church.” Particularly as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CC is to be held in Busan in 2013, the church in Korea needs to revisit the ecclesiology in the New Testament, and to explore it from an ecumenical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images of the church in the New Testament with the view of bringing to the fore the biblical ecumenical ecclesiology. The representative concepts of the church, such as the body of Christ, the people of God, the temple of the Holy Spirit, and a new creation, are reviewed and discussed. Well-known as they are, these images have been hardly, or insufficiently, explained in their connection to the ecumenical effort at church unity and the ecumenical church’s engagement in the various struggles for life, justice and peace in the contemporary world. Therefore, while exploring each ecclesiological them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such a connection in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The present article aims to lay a biblical foundation for the ecumenical ecclesiolog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ajor concepts of the church in the New Testament.

      • 이상기온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예측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 마련

        배현주 ( Hyun-joo Bae ),정다운 ( Dawoon Jung ),간순영 ( Sun-yeong Gan ),박주영 ( Ju Young Park ),임연희 ( Youn-hee L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7 No.-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예측의 기존 국내연구에서는 일별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체감온도(AT)를 이용하여 기온 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평년 대비 이상기온 지수인 TDI를 적용하여 이상기온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토대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피해를 산정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마련하였다. 이상기온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7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이상고온, 한파 등 이상기후 현상의 최근 동향 및 추세분석을 통하여 한반도 이상기후 전망 및 예측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고온과 관련하여 계절별, 연도별로 7대 도시의 평균, 최고, 최저기온과, 일교차 추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폭염기준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1980~2015년 일평균기온의 상위 10% 지점인 폭염 역치수준을 적용하여 초과일수를 파악하였다. 한파의 추세를 분석할 때에도 겨울철 평균기온과 결빙일수의 추세를 파악하였으며, 7대 도시별 최고기온이 0℃ 이하인 일수로 정의되는 결빙일수와 일평균기온의 하위 10% 이하인 역치수준의 한파일수를 비교하였다. 국내 이상기후의 동향분석과 함께 RCP 시나리오에 따른 이상기후예측분석을 실시하였다. RCP 시나리오별(2.6, 4.5, 6.0, 8.5)로 7대 도시의 미래 평균기온 추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고, 최저, 평균기온과 일교차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0~2100년 이상고온(폭염)일수와 이상저온(한파)일수 추세와 연대별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6대 도시를 대상으로 체감온도의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연령의 경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체감온도 증가가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65세 이상 연령집단은 6대 도시에서 모두 체감온도 증가가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상기온의 수준뿐만 아니라 이상기온이 발생하는 시기를 고려하기 위하여 평년 대비 이상 기온 지수인 TDI를 산정하여, 이상기온의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연령의 경우 서울,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TDI 증가는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였고, 65세이상 연령집단의 경우 인천과 광주 지역에서 TDI 증가는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였다.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평가 결과와 TDI 지수를 이용한 이상기온의 발생 시기를 고려한 건강 영향 평가 결과를 토대로, 2020년부터 2100년까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서울시의 미래 여름철(5~9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초과사망자 수와 건강위험의 경제적 비용을 추산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이상기온의 발생과 시기를 고려하여 초과사망자와 경제적 비용을 산정하였다. RCP4.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경우 미래 이상기온의 체감온도와 TDI로 인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초과사망자 수는 2030년대, 2050년대, 2090년대 각각 매년 339명(95% CI: 239~441명), 492명(95% CI: 353~632명), 793명(95% CI: 595~996명)으로 추산되었다. 여름철 체감온도와 TDI로 인한 초과사망의 피해비용을 산정해 보면, 2030년에는 1,227.78억 원(95% CI: 846.97억 원∼1,614.22억 원), 2050년에는 1,443.65억 원(95% CI: 1,039.43억 원∼1,853.60억 원), 2090년에는 1,883.63억 원(95% CI: 1,393.10억 원∼2,381.03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과학적인 이상기온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와 함께 국내외 이상기온 관련 정책을 살펴보았다. 국내의 이상기온과 관련한 정책은 중앙부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폭염특보제, 폭염영향예보 서비스 등의 기상예보 서비스와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지자체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폭염대응 정책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후변화적응대책의 건강분야 정책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추진된 현황을 파악하였다. 국외의 이상기온 관련 정책에서도 프랑스,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폭염 대책을 살펴보았으며 결과적으로 지역별 맞춤형 폭염 대책 개발과 기온감시 시스템 가동 시기의 적절성 파악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 이상기온 동향과 이상기온으로 인한 건강영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여 지역별 건강영향 차이를 고려한 폭염특보 기준지표 산정, 평년 대비 이상기온을 활용한 기상예보 서비스, 기후변화적응대책과 연계된 상시적 감시시스템 대응 전략을 마련하였다. In this study, we assessed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abnormal temperatures using apparent temperature (AT) and temperature deviation index (TDI). Based on our results, we calculated future health casualties according to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proposed adaptation strategies accordingly. As a first step in assessing health effects due to abnormal temperature, we analyzed the trends in abnormally high and low temperatures in seven major cities of Korea,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from 1980 to 2015. At the same time, we estimated abnormal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trends according to several RCP scenarios (RCP 2.6, RCP 4.5, RCP 6.0, RCP 8.5). Next, we assessed the effects of AT on mortality in six major cities from 1992 to 2015. Our analysis showed that in all ages and in elderly (>65 years), increase in A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 in general mortality in Seoul, Busan, Daegu, Incheon, and Gwangju. Similar analysis using TDI showed that increase in TD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ral mortality increase in all ages in Seoul, Incheon, Gwangju, and general mortality in elderly (>65 years) inhabiting Incheon and Gwangju. Based on the analyses above, we calculated future excess mortality and associated costs in Seoul during summer time (May to September) from 2020 to 2100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Estimated excess mortality according to RCP 4.5 was 339(95% CI: 239~441), 492(95% CI: 353~632), and 793(95% CI: 595~996) in the 2030s, 2050s, and 2090s respectively. Estimated cost based on summer AT and TDI were 122.78 billion ₩(95% CI: 84.70 billion ₩ ∼161.42 billion ₩), 144.37 billion ₩(95% CI: 103.94 billion ₩ ~185.36 billion ₩), and 188.36 billion ₩(95% CI: 139.31 billion ₩ ~238.10 billion ₩) in the 2030s, 2050s, and 2090s respectively. Lastly, we reviewed policies related to abnormal temperatures, both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Domestically, we focused on heat wave alerts, heat wave forecast services, and general heat wave response systems managed by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regional government. Additionally, w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n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focusing on the public health area. In parallel, we reviewed policies related to abnormal health in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reviews performed, we propose (1) development of heat wave index taking into account regional differences in health effects; (2) weather forecast utilizing TDI; and (3) year-round health effect monitoring system link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 KCI등재

        단감 ‘부유’의 과실 비대와 착색에 대한 결박 처리 영향

        김호철(Ho Cheol Kim),배현주(Hyun Ju Bae),김태춘(Tae-Cho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2

        단감 ‘부유’를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위한 결박 처리 시 가지 종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자 결과모지, 부주지 및 주지에 철사를 이용하여 결박 처리하였다. 철사 제거 직후 6주 동안 과실 직경과 과피색 a값은 무처리에 비해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 처리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지만 부주지 결박처리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박 처리 8주 후 수확된 과실을 처리하지 않은 과실과 비교하면, 과중은 모든 결박처리에서 더 무거웠는데 특히,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월등히 무거웠다. 과고는 주지 결박처리에서만 더 높았고, 과경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더 길었다. 과실 당도는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으나,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과피색 a값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이와 반대로 과피색 b값은 낮게 나타남으로써 Chroma값은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피 내 라이코펜 및 베타카로틴 함량은 부주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결과모지 결박처리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엽록소 함량은 모든 결박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binding treatments of branches (FMB, fruiting mother branch; PSB, secondary scaffold branch; SSB, primary scaffold branch) on enlargement and coloring of persimmon ‘Fuyu’ fruits in ripening period, the branches were bound by steel wire. For eight weeks after binding treatments, Hunter a* of fruit peel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was more increased than in the others. In fruit characteristics harvested at eight weeks after the binding treatments, the fruit weight was heavier in the binding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first of those was in SSB binding. The fruit height was higher in SSB binding than in the others, but the fruit diameter was longer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Solid soluble content was higher in FMB and PSB binding treatments. Chroma* of the fruit peel was higher in FMB and PSB binding treatments as Hunter a* and b* values were higher and lower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respectively. Lycopene and β-carotene content in the fruit peel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PSB and SSB binding treatments, total chlorophyll content in all the binding treatments was lower than in control.

      • KCI등재
      • KCI등재

        감 ‘부유’의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대한 과실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효과

        김호철(Ho Cheol Kim),배현주(Hyun Ju Bae),김태춘(Tae-Cho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3

        본 연구는 단감 ‘부유’ 품종을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에 대한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정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잎 제거 정도에 따라 과실 주변의 조도는 자연광의 70.1klux에 대하여 무처리구에서는 7.9%, 20% 처리구에서는 13.6%, 50% 처리구에서는 16.4%, 그리고 100% 처리구에서는 30.0% 수준이었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수확직전까지 일정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Chrom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다가 처리 7주 이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된 과실의 무게와 직경은 10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가볍고 짧았다. 과형지수는 무처리구와 다른 처리구들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실 당도는 무처리구보다 다른 처리구들에서 낮은 경향으로 5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높았고, 과피색 b값과 Chroma 값은 2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 내 베타 카로틴 및 라이코펜 함량은 잎의 제거 비율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낮은 경향이었고, 총 엽록소 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괴질 성숙기에 과실 주변 잎을 제거하는 처리는 과실 착색 증진에 다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f removal on enlargement and coloring of persimmon fruits (Diospyros kaki L. cv. 'Fuyu'), four treatments control (0%), 20%, 50%, and 100% depend on leaf removal of fruit bearing branch were applied to persimmon trees. Sunlight intensities around fruits with treatments depend on removal level, compared with natural sunlight intensity (100 percentage level), was 7.9%, 13.6%, 16.4%, and 30%, respectively. Hunter a<SUP>*</SUP> of the fruit with control and 20% removal treatments to harvest season increased continuously. Chroma<SUP>*</SUP> of the fruit since the removal treatments of leaves increased continuously in all treatments, but from seventh week that had a decreasing tendency. The fruit weight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heavy and short in treatments with 100% removal level. L/D ratio of the frui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he other treatments. Soluble solids of the fruits lowed significantly in treatment with 50% removal level. Hunter a<SUP>*</SUP> of the fruits was better in treatments with control and 20% removal levels, Hunter b<SUP>*</SUP> and Chroma<SUP>*</SUP> lowed significantly in treatment with 20% removal level. β-Carotene and Iycopene concentration of the fruits lowed in treatment with the higher of removal level, total chlorophyll contents had the opposite tendency to the pigments. All results considered, removal level of leaves around fruit on bearing branch in fruit maturation stage had effect on fruit coloring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