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동반된 비장의 원발성 악성 림프종 2예

        성화 ( Sung Hwa Bae ),박성훈 ( Sung Hoon Park ),류헌모 ( Hun Mo Ryoo ),김호각 ( Ho Gak Kim ),조창호 ( Chang Ho Cho ),이재련 ( Jae Lyun Lee ),이경희 ( Kyung Hee Lee ),현명수 ( Myung Soo Hyu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6

        The incidence of primary splenic lymphoma is less than 1% of all non-Hodgkin`s lymphoma. Lymphotrophism of hepatitis C virus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plenic lymphoma.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primary splenic lymphoma associated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e present two cases of primary splenic lymphoma associated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They suffered from lef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and underwent diagnostic splenectomy. In case 1, the spleenhada10×10×9 cm lobulated tumor mass that replaced the splenic parenchyma. In case 2, the spleen contained two lobulated macronodular white tumors, measuring 3×2 cm and 2×2 cm. Splenic tumors were confirmed pathologically to be intermediate and high grade of B cell lymphoma. The patients received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HOP. They are still alive without recurrence 23 months and 15 months after splenectomy.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519-522)

      • KCI등재후보

        비전이성 골육종환자에서 술전 Cisplatin, Adriamycin 복합항암화학요법의 효과

        오현아 ( Hyun A Oh ),이구 ( Gu Lee ),강희정 ( Hee Jung Kang ),이재련 ( Jae Lyun Lee ),이경희 ( Kyung Hee Lee ),현명수 ( Myung Soo Hyun ),신덕섭 ( Duk Sub Sin ),성화 ( Sung Hwa Bae ),류헌모 ( Hun Mo Ryoo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1

        목적 : 골육종환자에서 cisplatin과 adriamycin을 사용한 술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반응율 및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골육종 환자 24명 중 보조요법만 시행한 4명의 환자를 제외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전 화학요법과 술후 화학요법을 시행한 14명의 환자군을 A군으로 하고 술후에 화학요법을 시행한 6명의 환자군을 B군으로 하였다. A군 중 12명은 사지구제술을 시행하고 2명은 진행하여 사지절단술을 시행하였고 B군 중 사지외 Background : Adjuvant chemotherapy is the most accepted treatment for localized osteosarcoma. We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preoperative cisplatin and adriamycin combination chemotherapy in non-metastatic osteosarcoma. Methods : Twenty four cases of pat

      • KCI등재후보

        단전이성 뇌종양의 임상 양상과 예후 인자

        이재련(Jae Lyun Lee),신창진(Chang Jin Shin),강희정(Hee Jeong Kang),오현아(Hyun Ah Oh),이구(Gu Lee),최재혁(Jae Hyuk Choi),성화(Sung Hwa Bae),이경희(Kyung Hee Lee),현명수(Myung Soo Hyun),신세원(Sei One Shin),류헌모(Hyun Mo Ryoo)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 전이성 뇌종양은 성인 악성 종양환자의 흔한 합병증이다. 저자 등은 전이성 뇌종양의 임상적인 특징, 치료 효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이성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9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뇌전이의 원발종양으로는 폐암 (61예, 63%)이 가장 흔하였으며 그 외 원발 불명 전이성 뇌암 (15예, 16%), 위장관암 (13예, 13%), 유방암 (6예, 6%), 신장암 (2예, 2%) 순이었다. 단일성 뇌전이는 44예 (45%)였으며 다발성 뇌전이는 53예 (55%)였다. 치료 유무 및 종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중앙생존기간은 3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8%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진단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 (p< 0.01)였다. 어떠한 치료도 시행하지 않는 군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1.1개월 대 3.7개월). 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비해 전뇌 방사선 조사를 추가한 군에서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2.2개월 대 4.8개월).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은 유의한 생존기간의 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한 군의 중앙생존기간은 8.8개월로 스테로이드와 전뇌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군에 비해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 전이성 뇌종양 환자에서 전뇌 방사선치료와 스테로이드는 유용한 완화치료 방법이며 진단 당시 활동능과 신경손상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 인자로 분석되었다. 후향적인 연구로 인해 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으나 수술적 절제 및 항암화학요법이 일부 선택된 환자 치료시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Brain metastasis is a common complication in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Methods : The records of 97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1 to November 199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is lung cancer (61 cases, 63%) followed by metastatic cancer unknown primary site (15 cases, 16%), gastrointestinal cancer (13 cases, 13%), breast cancer (6 cases, 6%) and renal cancer (2 cases, 2%). There were 44 patients with a single brain metastasis and 53 patients with multiple brain metastases. The median survival was 3.0 months and one-year survival rate was 8% irrespective of treatment.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which affect survival were ambulatory status (p<0.01) and functional neurologic class 1, 2 (p<0.01). Median survival was 3.7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and 1.1 months with no therapy (p<0.01). Median survival was 4.8 months for patients with steroid therapy plus whole brain radiotherapy (WBRT) and 2.2 months with steroid therapy alone (p<0.01). Additional chemotherapy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urvival. The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had median survival time of 8.8 months compared with 2.5 months for patients treated with steroid therapy plus WBRT (p<0.05). Conclusion : In present study, we confirmed that whole brain irradiation an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re effec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ain tumor. Initial performance status and neurological fun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Although confounded by the limitations of retrospective study, more aggressive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and chemotherapy could be regarded to have a significant role to achieve better treatment outcome in some selected cases.(Korean J Med 62:444-452, 2002)

      • KCI등재후보
      •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미치는 영향

        최재혁,강희정,김용길,오현아,이구,성화,이재련,이경희,현명,류헌모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술은 많은 장점이 있지만 채혈할 수 있는 제대혈액의 양에 제한이 있어 아직 성인에서는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냉동보존된 제대혈 조혈모세포를 해동한 후 체외확장을 통한 세포수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냉동보존 전후의 제대혈액의 단핵세포수, 세포생존율 및 세포 집락 형성능을 비교하여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세포생존율과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정상 산모에서 질식분만 후 제대에서 20 mL의 제대혈액을 채집하여 단핵세포를 분리하고 냉동보전 전후에 제대혈 단핵세포의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냉동보존을 하지 않은 상태의 제대혈 단핵세포와 7일간 또는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후 해동한 제대혈 단핵세포를 각각 성장인자가 첨가된 배지에서 2×10^(6)/mL개의 단핵세포를 섞은 뒤 35 mm Petri dish 에서 37℃, 100% 습윤, 5% CO₂ 조건의 배양기에서 14일간 배양한 후 세포 집락수와 모양을 관찰하고 냉동보존 전후의 세포 집락 형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6예의 산모에서 제대혈액을 채집하여 측정한 제대혈 단핵세포 수는 냉동보존 하기 전이 2.92±1.08×10^(6)/mL개였고 7일간 냉동보존 한 경우와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경우는 각각 1.15±0.36×10^(6)/mL개와 1.42±0.42×10^(6)/mL개였다. 제대혈 단핵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냉동보존을 하지 않은 경우가 92±2.88%였고 7일간 냉동보존한 경우와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경우는 각각 61±3.84%와 66±3.87%로 냉동보존이 세포생존율은 감소시키지만 냉동보존의 기간에 따른 세포생존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0.064). 제대혈 단핵세포의 집락수와 세포 집락 형성능은 냉동보존을 하지 않고 배양한 경우 총 집락수는 101.5±23.74였고 그중 CFU-GM 28.8±2.04 (29.5±5.80%), CFU-GEMM 21.5±5.79 (21.0±1.45%), BFU-E 24.8±5.00 (24.8±5.0%)였으며 CFU-G와 CFU-M을 제외한 집락수에서 CFU-GM, CFU-GEMM, BFU- 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9.0±4.57%, 28.2±3.59%, 32.9±1.47%였고, 28일간 냉동보존을 한 후 해동하여 배양한 경우에는 총 집락수는 52.5±12.13이었으며 이 중 CFU-GM 14.6±2.73, CFU-GEMM 13.7±1.21, BFU-E 23.5±5.01이었으며 CFU-G와 CFU-M을 제외한 집락수에서 CFU-GM, CFU-GEMM, BFU-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8.2±2.13%, 26.7±3.00%, 45.1±3.55%로 냉동보존을 한 경우 집락수는 감소하였지만 세포 집락 형성능의 감소는 없었다. 결론: 냉동보존 자체가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세포생존율은 감소시키지만 세포 집락 형성능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므로 냉동보존 후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을 통해 성인에서도 성공적으로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Background: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has many advantages ov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or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But,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in order to be applied to adults. The main problem is limitation of volume, which can be collected from one placenta was only between 80 mL and 120 mL.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ex vivo expansion of cryopreserved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is need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ryopreservation on ex vivo expansion potential and viability of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Methods: After normal delivery, cord blood was drawn from umbilical cord vein and was used to evaluate the mononuclear cell count, the cell viability and clonogenic capacity of cord blood stem cells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Results: Before cryopreservation, the mononuclear cell count of umbilical cord blood was 2.92±1.08×10^(6)/mL, cell viability was 92±2.88%, total colony count was 101.5±23.74 and percentages of CFU-GM, CFU-GEMM, BFU-E were 29.5±5.80%, 21.0±1.45%, 24.8±5.0%, respectively. The mononu-clear cell count of umbilical cord blood cryopreserved for 28 days was 1.42±0.42×10^(6)/mL and cell viability was 66±3.87%. Total colony count of umbilical cord blood cryopreserved for 28 days was 52.5±12.13 and percentages of CFU-GM, CFU- GEMM, BFU-E were 28.0±3.45%, 27.2±6.52%, 45.3±4.99%. But, There were few colony count which could be observed after cryopreserving for 7 days.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clonogenic capacity of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The cell viability of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was decreased after cryopreserva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cryopreserved for 7 days and 28 days.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sufficient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could be obtained by ex vivo expansion of cryopreserved umbilical cord blood in order to be used for adult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