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pergilius Oryzae 접종 남은 음식물 사료가 육계의 생산성, $NH_3$ 발생량 및 분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Hwangbo J.,Hong E. C.,Lee B. S.,Bae H. D.,Kim W.,Nho W. G.,Kim J. H.,Kim I.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4

        본 시험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건조잔반을 AO 배양물로서 육계에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NH_3$ 발생 및 분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2주령 브로일러 Hubbard 종 총 300수를 공시하였다. 기초사료로 육계 전기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사료는 잔반사료(FW)와 AO 배양물 사료(AFW)의 대체 수준에 따라 처리구를 나누어 급여하였다. 시험 1에서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고, 처리구는 FW와 AFW을 각각 20, 40, $60\%$씩을 대체하여 7처리구 4반복 반복당 3수씩 84수를 공시하였다. 시험 2, 3,4에서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시험구는 각각 FW와AW의 비율이 1:0, 3:1, 1:1, 1:3, 0:1이 되도록 대조구 사료의 20, 40, $60\%$씩을 각각 대체하여 6처리구 4반복 반복당 3수로 72수씩을 각각 공시하였다. 시험 1에서 FW구와 AFW구는 대조구에 비해 급여 수준에 따라 증체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FW $60\%$ 구를 제외하면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p<0.05), 사료섭취 량과 사료 효율에서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세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FW구와의 차이는 없었으나, AW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대장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시험 2, 3, 4에서 FW와 AFW의 혼합 급이 비율에 따라, 시험 2에서는 전처리구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차이는 없었고, 시험 3에서는 증체량에서만 FW와 AFW의 비율이 1:0과 3:1 처리구에서 대조구 및 0:1 처리구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시험 4에서는 전처리구에서 사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 1:0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시험 3에서 $NH_3$의 발생량은 처리구간 비교에서 FW와 AFW의 비율이 1:0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1:3 및 0: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육계 전기에서 건조 잔반의 사료 급여 대체수준은 $20\%$에서 사용 가능하며, 건조 잔반의 AO 배양물로서 대체 급여는 건조 잔반의 사료가치 증진 및 축사환경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ried food-waste diets(FW)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AO),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NH_3$, emission and fecal microflora. Three hundreds broilers, two week old Hubbard strain, were randomly allotted to 4 experiments and fed with standards early boiler diet replaced with FW and AFW. In experiment 1, eighty four broilers were distributed into 7 treatments with 4 pens at 3 birds per replicate(pen). The dietary treatments ; T1 was com-soy bean meal based broiler diet(Control), T2, T3, T4 were for basal diet replaced with dried food waste without AO(FW) at the level of 20, 40 and $60\%$, respectively and T5, T6 and T7 followed the same levels for the basal diet but using Aspergillus oryzae inoculate food-waste(AFW). For experiments 2, 3, 4, seventy two broilers were distributed into 6 treatments with 4 pens at 3 birds per replicate(pen), respectively.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he com-soy bean meal based broiler diet replacement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FW and AFW, 1:0, 3:1, 1:1, 1:3, 0:1. at level of 20, 40 and $60\%$, respectively. In Exp. 1, it tended to be decreased in weight gai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xcept FW $60\%$ level of replacement(p<0.05).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otal bacterial cou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FW diet, but E. coli decreased as the AFW levels of replacement were increased(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among treatments in Exp. 2 and weight gains were lower fur FW diet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AFW diet in Exp. 3(p<0.05). In Exp.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among treatments, but lower in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in FW diet than that the control. In experiment 3, the $NH_3$ emission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in FW/AFW 1:0 diet(p<0.05).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FW would be supplemented up to $20\%$ in broiler diets and AO culture extract could improve FW value as feed supplements.

      • KCI등재

        무창계사의 환기 시스템이 케이지 사육 육계의 초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이성재,조성백,김학규,김재황,박병성,송준익,HwangBo J.,Hong E.C.,Lee B.S.,Bae H.D.,Lee S.J.,Cho S.B.,Kim H.K.,Kim J.H.,Park B.S.,Song J.I.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신축한 무창 실험 계사의 환기 시스템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신축 실험계사에서 무창 육계사의 환기 시스템이 케이지 사육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계사의 내부 환경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각종 질병 요인으로부터 계사의 내부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무창 계사에서 실시하였다. 환경요인 중에서 제일 중요한 온도, 습도, 공기 속도가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2주간 실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케이지 2단(13.7 ppm), 3단(13.5 ppm)에서는 케이지 1단(14.6 ppm)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 오후에 측정한 결과 오전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산화탄소는 오전과 오후 케이지간 큰 차이는 없었지만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4단 높이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2. 공기 풍속에 있어서는 무창 계사는 상부 0.57 m/sec, 중앙 0.22 m/sec, 하부 0.04 m/sec로 각각 나타나, 계사내 적정 풍속 유지를 위한 덕트 입기구의 천공으로 인하여 계사내 전체 공간에서 공기의 유속 흐름 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3.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동안 케이지 1에서 케이지 2, 3, 4단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섭취량은 시험기간 동안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 효율은 증체량과 마찬가지로 케이지 1에서 다른 케이지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대상이 된 무창 실험 계사의 온도 및 습도 환경 조절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케이지간 공기의 흐름은 원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ntilating system of environmental controlled broiler house on broiler production. Three hundred eighty four broiler chicks (Hubbard, mean live weight of $44.5{\pm}2.0g/bird$) were reared for 2 wk.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mmonia gas production was lower in the second and the third floors of cages compared with first floor of cages 13.5 and 13.5 vs 14.6 ppm, respectively). The observations of ammonia production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were similar. The production of carbon dioxide was not different between morning and afternoon, but it was tended to decrease in the forth floor of cages due to a fresh air 2. A wind velocity in the enclosed house was similar across lower, middle and upper section (0.57m/sec, 0.22m/sec and 0.04msec, respectively).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al air flow velocity in the cages, the duct entrance was punched, and then the air flow was full-round in the overall space in the cage. 3. Daily liveweight gain, feed intakes,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during whole experimental period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temperature, moisture and atmosphere controlling were desirable, and air flew evenly in the cage.

      • KCI등재

        Aspergillus oryzae 접종 잔반사료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Hwangbo J.,Hong E. C.,Lee B. S.,Bae H. D.,Kim W.,Nho W. G.,Kim J. H.,Kim I.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ried food-waste diets (FW)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EW),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fy in laying hens. One hundred sixty eight laying hens, 50 week old, ISA-Brown wtrain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7 treatments with 3 relpicates of 8 birds per replicate and fed with standards laying hen diet replaced with FW and AFW at die=rent level Basal Diet, 25, 10, $75\%$,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feed intake for FW $50\%$ diet and egg Production was statistically lower in all W diet treatments(p<0.05). Water consumption was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increased. Egg weight, egg shell thickness and strength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However, egg yolk color and Haugh unit showed distinct differences when W were added to their diets(p<0.05).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egg yolk cholesterol. It seems that FW diet could decrease the egg Production, but would be able to improve egg Quality. From this results, AO seemed applicable to laying hen diet as supplements. 본 시험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건조 잔반을 AO 배양물로서 산란계에 급여하여,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평균 체중이 $1.5\pm0.5kg$인 50주령 산란계(ISA-Brown)를 공시하였고, 기초사료로 산란계 중기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시험사료는 대조구(Control), 잔반사료(FW)와 AO 배양물사료(AFW)를 각각 $25\%,\;50\%,\;7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여 총 7처리구, 3반복, 반복당 8수씩 168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료섭취량에서 전처리구간 차이는 없었으나, FW구의 $50\%$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했고, 산란률에 있어서는 대조구 $89.8\%$에 비해 AFW $25\%$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음수량은 잔반 사료의 대체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난중,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니트와 난황색에서는 남은 음식물 사료의 첨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50\%$ 이상의 첨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남은 음식물사료의 첨가에 따른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잔반 사료는 산란율을 떨어뜨리지만, 난질 개선에 효과가 있고, 산란계 사료의 첨가제로서 AO 접종 잔반 사료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급여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이병석,홍의철,배해득,강환구,한광희,장애라,박병성,Hwangbo J.,Lee B. S.,Hong E. C.,Bae H. D.,Kang H. K.,Han K. H.,Jang A. R.,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feding value of dried fly larva (DFL), and the effects of dietary DFL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Ninety laying hens of 43 weeks of age(ISA brown) were randomly allotted to 5dietary treatments (0, 2, 5, 10 and $15\%$ DFL), and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The formulae of 5 experimental diets were modified to contain $18.8\%$ CP and 2,900 ME kcal/kg. There were 3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6 brids Per replicat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gg Production among dietary treatments. The egg weight was increased (p<0.05) in DF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Also, the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increased(p<0.05) in DFL treatments by $14\%$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egg yolk was decreased by $16\%$, and that of un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by $7\%$ in DFL treatment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DFL supplementation could improve the egg Qualify by increasing the egg weight, egg shell strength,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egg yolk.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사료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43주령 갈색 산란계(ISA Brown) 총 90수를 51주령까지 8주 동안 각 시험사료 처리구(대조구, 파리 유충 2, 5, 10, $15\%$ 첨가 사료)에 임의배치하여 무제한 급여하면서 사료 섭취량, 산란율, 난황색, 난중, 파란 강도, 난각 두께, Haugh unit, 계란 내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난중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파란 강도 증가율은 $14\%$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계란 지방산 조성은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16\%$까지 감소되었으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7\%$까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 실험 결과 파리유충이 산란계 사료에 첨가되면 계란의 품질은 개선되었지만 난황에서 포화지방산이 증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건조한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Aspergillus oryzae균주 배양조건과 그 배양물 급여가 닭의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Hwangbo J.,Hong E. C.,Lee B. S.,Bae H. D.,Kim W.,Nho W. G.,Kim J. H.,Kim I.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4

        남은 음식물에서 Aspergillus oryzae(AO)의 유용한 배양조건(시간, 수분함량, 접종균수)을 구하기 위하여 2가지 실험과 닭에서 그 배양물의 영양소 이용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 적정 배양시간과 접종균수의 측정을 위하여 수분함량을 30, 40, 50, $60\%$로 정하였다. 잔반 사료에 접종하는 seed로서 1mL Aspergillus oryzae(AO) $(1.33\times10^5\;CFU/mL)$를 이용하였다. 배양을 위한 적정 수분함량은 $40\~50\%$였으며 배양시간은 72시간 이상이었다. 계속하여 AO 균수에 의한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AO seed 0.25, 0.50, 0.75, 1.00mL를 남은음식물 사료에 접종하였다. AFW의 AO균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72시간과 96시간 배양하였으나, 접종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다시 수준을 낮추어 0.01, 0.05, 0.10mL를 접종하고 72시간과 96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72시간 배양 AO colony 수는 0.1 mL 접종 처리 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험 2> FW의 배양조건을 결정한 후에, 20수의 5주령 Hubbard종을 공시하여 소화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T1-대조구, T2-기초사료 $60\%$+건조잔반 $40\%$, T3-기초사료 $60\%$+건조잔반 $20\%$+AO균 접종 건조잔반 $20\%$, T-4-기초사료 $60\%$+AO균 접종 건조잔반 $40\%$ 처리구 등 총 4처리구, 처리구당 5반복씩 20수를 인공항문 장착하여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 일반성분과 아미노산은 대조구에 비해 T2 처리구가 전성분에서 낮았고(p<0.05), AFW(T3, T4)처리구에 비해 조지방과 인의 소화율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T3와 T4는 T2에 비해 조섬유 및 조회분의 소화율이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는 T3와 T4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인 arginine, leucine, phenylalanine의 소화율이 높았으나(p<0.05), T3와 T4 처리구는 T2 처리구에 비해 필수아미노산 arginine, lysine 및 thereonine과 비필수아미노산 alanine의 소화율이 개선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건조 잔반의 AO 배양조건 구명과 영양소 이용율 시험을 통해 FW사료의 품질이 기초사료에 비해 영양소 이용율이 낮고, AFW 사료가 AO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appropriate incubation conditions namely; duration, moisture content and the ideal microbial inoculant for fermented dried food waste(EW) offered to broilers. The nutrient utilization of birds fed the FW diets at varying dietary inclusion rates was also compared with a control diet. In Experiment 1, different moisture contents(MC) of 30, 40, 50 and $60\%$ respectively were predetermined to establish the ideal duration of incubation and the microbial inoculant. A 1mL Aspergillus oryzae(AO) $(1.33\times10^5\;CFU/mL)$ was used as the seed inoculant in FW.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deal MC for incubation was $40\~50\%$ while the normal incubation time was > 72 hours. Consequently, AO seeds at 0.25, 0.50, 0.75 and 1.00mL were inoculated in FW to determine its effect on AO count. The comparative AO count of FW incubated for 12 and 96 hours, respective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ying inoculant dosage rates. The FW inoculated with lower AO seeds at 0.10, 0.05 and 0.01mL were likewise incubated for 72 and 96 hours, respectively and no changes in AO count was detected(p<0.05). 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ubation requirements for FW should be $%40\~50\%$ for 72 hours with an AO seed incoulant dosage rate of 0.10mL. Consequently, in Experiment II, afte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 for the FW, 20 five-week old male Hubbard strain were used in a digestibility experiment. The birds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pens(1 bird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reatment 1 : Control(Basal diet), Treatment 2 : $60\%$ Basal+4$40\%$ FW, Treatment 3 : $60\%$ $Basal+20\%\;FW+20\%$ AFW(Aspergillus oryzae inoculate dried food-waste diet) and Treatment 4: $60\%$ Basal+$40\%$ Am. Digestibility of treatment 2 was lowed on common nutrients and amino acids compared with control(p<0.05) and on crude fat and phosphorus compared with AFW treatments(T3, T4)(plt;0.05). Digestibility of treatment 3 and 4 increased on crude fiber and crude ash compared treatment 2 (p<0.05). Digestibility of control was high on agrinine, leucine, and phenylalnine of essential amino acids compared with treatment 3 and 4(p<0.05), and diestibility of treatment 3 and 4 was improved on arginine, lysine, and threonine of essential amino acids. Finally, despite comparable nutrient utilization among treatments, birds fed the dietary treatment containing AO tended to superior nutrient digestion to those fed the $60\%$ Basa1+$40\%$ FW.

      • KCI등재후보

        사료내 염분 함량이 육계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홍의철,노환국,이병석,배해득,최낙진,정준용,강환구,장애라,박병성,Hwangbo J.,Hong E. C.,Nho W. G.,Lee B. S.,Bae H. D.,Choi N. J.,Chung J. Y.,Kang H. K.,Jang A. R.,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본 연구는 사료내 염분의 함량수준에 따라 육계와 산란계의 생산성을 조사하여 가금의 염분 안전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부존 사료자원으로 염분 함량이 높은 남은 음식물을 원료사료로서 이용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효율 및 연변 발생 등에 미치는 염분 첨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1일령의 Avian 육계 108수(6처리$\times$6반복$\times$3수)를 3주간 공시하여 직립 철제 케이지에서 수행하였다. 각 처리구의 염분 함량은 $0.25\%$의 배합사료를 대조구, 시험구는 각각 0.5, 1.0, 1.5, 2.0 및 $2.5\%$ 구로 나누었다. 시험기간(3주간)중 사료 섭취 량은 각각 1,834, 1,974, 1,896, 1,899, 1,822, 1,850g으로 염분 농도 증가에 따른 사료 섭취량에 차이는 없었으며, 증체량은 각각 1,035, 1,079, 1,033, 1,048 1,037, 982g으로 사료내 염분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변 발생에서는 분뇨의 수분 함량이 72.8, 74.4, 76.9, 80.2, 83.8 및 $86.2\%$로 사료내 염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연변 발생의 정도를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시험 2에서는 62주령의 ISA Brown 산란계 135수(5처리$\times$9반복$\times$3수)를 4주간 공시하였다. 염분 함량이 $0.25\%$인 배합사료를 대조구로 하고 시험구는 1, 2, 3, $4\%$로 염분을 조절하여 나누었다. 시험기간(4주) 동안 일일평균 수당 사료섭취량은 각각 115, 111, 108, 104 및 101g으로 염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3과 $4\%$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산란율은 각각 82.4, 84.2, 85.4, 88.7, $85.9\%$로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음수량은 염분 농도에 따라 수당 일일 215, 261, 364, 459및 497mL로 증가하였고(P<0.05), 연변 발생 역시 음수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여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에서 사료내 염분 함량은 산란계의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alt levels on the performance in laying hens and broilers. In experiment 1, 108 Avian broilers of 21 days age were conducted to evaluate broiler's performance. The broilers were divided into 6 treatment groups with 6 pens (3 broilers/pen), and 134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salt with 0.25 (control), 0.5, 1.0, 1.5, 2.0 and $2.5\%$, respectively, for 3 weeks $(3\~5 weeks)$. The feed intake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However, moisture content in feces was increased as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salt (P<0.05). In experiment 2, 135 ISA Brown laying hens were used to evaluate on performance of laying hens.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salt levels were prepared at 0.25 (control), 1, 2, 3 and $4\%$, respectively, for 4 weeks. Feed intake was decreased as increasing the dietary salt levels during the experiment (P<0.05). Particularly, it was lower in $3\%\;and\;4\%$ salt level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As expected, water intake was increased as increasing the dietary salt levels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could indicate that dietary salt content need to be considered for broilers and laying hens.

      • KCI등재

        산란계 사료내 CLA 함유 Oil (CLAzen 80) 첨가가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장종수,정일병,이병석,김동운,조성백,김희도,배해득,손진혁,홍의철,최낙진,Hwangbo J.,Chang J. S.,Chung I. B.,Lee B. S.,Kim D. U.,Cho S. B.,Kim H. D.,Bae H. D.,Son J. H.,Hong U. C.,Choi N. J.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1

        본 연구는 oil 형태의 conjugated linoleic acid(CLAzen 80)를 산란계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 급여하였을 때 산란율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9주령의 산란계 72수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4개 처리구에 6주간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CLAzen 80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각각 1, 2 및 $3\%$를 첨가구를 두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산란율은 처리구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지만, 난황내 지방산 조성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게 크게 영향을 받았다. 난황내 C16:0과 C18:0과 같은 포화 지방산 함량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일가불포화지방산인 C18:1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18:2와 C18:3와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은 CLAzen 80 급여 2$\~$4주사이에는 모든처리구들에 있어서 그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zen 80 급여 6주 째에는 난황내 C18:2 함량이 감소하였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과 n-6:n-3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2$\~$4주 사이에는 처리구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고, 6주째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이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LA 함량은 CLAzen 80 첨가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란계 사료 내 CLAzen 80 첨가는 난황내 CLA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dietary oil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egg produ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Seventy-two 59-wk-old ISA Brown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each consisting of three replicates with six birds per replicate. There were four treatments that consist of diets containing 0, 1, 2, or $3\%$ commercial CLA-containing oil. Egg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at 0, 2, 4, and 6 week.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0 and C18:0 in egg yolk were increased, but tha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C18:1 was decreased by feeding CLA-containing oil supplement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8:2 and C18:3 in egg yolk were not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at 2 and 4 wk of the experiment. At 6 week, the proportion of C18:2 in egg yolk was decreased by feeding CLA-containing oil compared with the control. Polyunsa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P:S) ratio and n-6: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ratio were similar across the treatments between 2 and 4 week. The P:S ratio was decreased by dietary CLA-containing oil supplementation at 6 week. The proportion of CLA in egg yolk was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CLA-containing oil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containing oil to laying hens increased beneficially increased CLA content in their egg yolk.

      • KCI등재

        Isoflavone 강화 기능성 계란 생산 : 난황내 Genistein 전이 효율 개선

        황보종,이병석,이현정,정완태,조성백,홍의철,배해득,장종수,HwangBo, J.,Lee, B.S.,Lee, H.J.,Chung, W.T.,Cho, S.B.,Hong, E.C.,Bae, H.D.,Chang, J.S.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3

        Genistein의 전이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순도 97% 이상의 genistein 250 mg을 펠렛으로 성형한 후 500 mg및 1 g의 용량으로 각각 2, 4개씩 산란계의 어깨 부위 피하에 이식하여 계란의 난황 내에서 검출되는 genistein의 함량을 HPLC 및 HP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enistein 500 mg 처리구에서, 12, 18, 30일에 각각 218, 395 ng/g, 500 ng/g의 genistein 이 전이되어 59일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genistein 1,000 mg 처리구에서는 12일 후에는 240 ng/g, 18일 후에는 406.5 ng/g, 30일 후에는 514 ng/g의 genistein이 전이되어 59일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500 ng/g 이상의 genistein이 함유된 계란을 59일 이상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피하이식을 통한 비급이 방식은 기존의 급이 방식에 비해 20배 이상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genistein implants in laying hens could be transferred into their eggs. 250 mg genistein pellet was implanted two or four subcutaneously in the neck of laying hens. The contents of genistein in egg yolk transferred were analyzed with HPLC-MS. In 500 mg genistein pellets, it was detected as 395 ng/egg yolk on the day 18 after implanting and maintained as 546 ng/egg yolk after the day 59. In 1,000 mg, genistein was detected as 240 ng/egg yolk on the day 13, as 514 ng/egg yolk on the day 30 and maintained over 59 days. In conclusion, the direct genistein implants could be more twenty times efficiently transferred to egg yolks than dietary supplement.

      • KCI등재

        염분 수준이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생리적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홍의철,이병석,이현정,조성백,배해득,이성재,노환국,HwangBo J.,Hong E.C.,Lee B.S.,Lee H.J.,Jo Seong-Baek,Bae H.D.,Lee S.J.,Nho W.G.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사료와 음수에 함유된 염분 수준이 육계 초기 병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일령 초생추(Hubbard)를 공시하여 14일 동안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 사료내 염분 함량은 0, 0.25, 0.5, 0.75, 1.0, 2.0, 3.0, 4.0%로 조절하여 8처리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12수씩 총 288수에 급여하였고, 시험 2에서, 음수내 염분 함 량은 0, 0.1, 0.2, 0.5, 1.0%로 조절하여 5처리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12수씩 총 180수에 공급하였다. 시험 1의 경우에,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내 염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4% 처리구에서 각각 481 g과 168 g으로 가장 낮았으며, 폐사율은 75%로 가장 높았다. 시험 2의 경우에는, 음수 1% 처리구에서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각각 427 g과 162 g이었고, 폐사율은 77.8%로 가장 높았다. 염 중독 증상을 나타낸 닭들은 갈증, 식욕부진, 기립불능, 졸림, 경련 등을 나타내었고, 부검 소견에서는 복수증, 심낭수종, 심비대, 각종 장기의 출혈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육계 초기에서 사료내 염분 함량이 3%, 음수내 염분 함량은 1% 이상에서 뚜렷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생리 해부학적인 염분중독 증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t contents in diet and water on the growth of broiler chicks, 288 heads of Hubbards strain chicks, were fed with com-soybean meal diets containing 0, 0.25, 0.5, 0.75 1.0, 2.0, 3.0, or 4.0% salt from 1d to l4d posthatching. And 180 chicks were also supplemented with salt to their water at 0, 0.1, 0.2, 0.5 or 1.0%. Feed intake and weight gain tended to decrease as the salt levels in diets increased and those were the lowest in 4% group as 481 g and 168 g, however, mortality was the highest in 4% group as 75.0%. As for the salt levels in water, feed intake and weight gain were low as 427 g and 162 g in 1% group, while mortality was 77.8%. Salt poisoning chicks were shown with thirsty, appetite deficiency, rising impossibility, sleepiness, or convulsions, and in autopsy, were shown with ascites, hydropericardium, cardiac hypertrophy, hemorrhage of eyelid, hemorrhage of trachea, hemorrhage of intestine, etc. Conclusively, salt content above 4% in diet or 1% in water could reduce the performance in broiler chic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