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와 효과성 분석 - 학생, 교사, 학부모를 중심으로 -

        권성호 ( Sung Ho Kwon ),강경희 ( Kyung Hee Kang ),방선희 ( Sun Hee B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참여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웹 서베이를 통해 만족도와 효과성,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학습 주체인 학생은 교사나 학부모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에 있어 높게 나타났으며,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가정학습이 사용이 용이하고, 재미있으며, 학교 수업 보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컨텐츠 제공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교사는 학부모보다 효과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배정형을 운영하는 교사가 그렇지 않는 교사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업성취나 자신감, 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교사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과 학부모들의 지원을 요구했다. 자녀의 학습관리자인 학부모는 교사보다 만족도 측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규모에 따라 대도시 거주 학부모들이 읍면 거주 학부모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에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는 사이버선생님의 지도 방법과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만족이 높았으며, 흥미 고취를 통한 적극적 학교활동에 효과가 있다고 보았으며, 학습내용의 다양화와 자녀의 학습정보 공유를 원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습기회 제공과 공교육 내실화라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보다 나은 교육서비스가 되기 위한 기초 자료로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the main participator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level. Research method is web survey for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suggestions for more improvement. The students`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The satisfaction rate was also higher in the lower class than the upper class. Students expressed that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easy for use, interesting and effective to complement the school`s learning. The teachers evaluated the effectiveness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hey also gave higher point to the cyber-class assigned type than the others. The result showed that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effective for students` achievement, confidence and interest for learning.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arents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group. The parents who live in metropolitan city were expressed higher than rural area i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Students needed more various learning contents. Teachers needed more incentive and supporting for parents. Parents wanted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kids.

      • KCI등재

        CSCL에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방선희,김동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CSCL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탐구를 통해 협력적 지식구축의 인식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협력적 논증의 절차와 구조화, 논증적 사고를 지원하는 스캐폴드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것이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빈도와 상호작용의 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청주에 위치한 S대학의 교직과목 수강생 102명으로, 서로 의견이 다른 2인이 1조가 되도록 총 51개 조로 구성되었다. 각 그룹은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라 3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약 5주의 기간 동안 웹기반 실험환경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상호작용의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제공한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유형별 분석에서, '주장'과 '외재화'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안'과 '통합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3집단 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답변'과 '빠른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구조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 제공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합의'와 '유도'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충돌에 의한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스케폴드 제공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성을 부여한 구조화가 제공된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협력적 논증 지원을 위한 스캐폴드가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affolds that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ctivities between learners in CSCL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CSCL, whose objective is knowledge building refines the opinions and claim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romote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subject. Also, at the group level,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members to understand the domain knowledge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sharing knowledge and perspectives between them and to experience conceptual changes,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of the group. For this, learn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ctivities should experience critical argumentation and interact meaningfu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particularities of collaborate argumentation,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nd the mechanism of building knowledge to support mutu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hose purpose is knowledge building. Through this, the design principle of scaffolding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the sequence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tructuring of single argumentation, and skills argumentative reasoning, was deduced. For a corrobo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eloped scaffolds, this study composed and applied a CSCL environment, which is a specialized environment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form of scaffold offered to support meaningful interaction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etween learners For this,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ssages, and the form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ere analyzed. This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A comparison of the group that was structurally provided with the compulsory scaffolding (Test Gruop 2), the group that was provided scaffolding without a structure (Test Gruop 1), and the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general argumentation scaffolding (control group)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messages of Test Gruop 2 was meaningfully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uop 1 and the control group. An analysis of the procedural aspect of argumentation for an analysis of the forms of mutual interaction and an analysis of the forms of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claims, and the frequency of externalization messa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between the frequency of counterarguments and the frequency of integration-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between all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the existence of absence of coercion (structuralization). Reply messages and quick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ovision through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Also, consensus building messages, elicitation messages, and conflict-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not in the provision or scaffolding dur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ut in the degree of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In conclusion, the scaffold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provid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an effect on promot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