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전담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방기혁(Bang Gi 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199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tatus of in-service practical arts education teachers, to analyze the needs of practical arts teachers fo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nd to improve in-service practical arts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opportunitie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were not offered to teachers. 2) The content, method, and period of in-service education were well fitted, and made mainly use of lecture, experiment and practice methods, text and OHP, And, text was very useful to the most teachers. 3) Evaluation of in-service education was normal. Practical arts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lecture preparation, ability, and earnestness well enough. 4)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education weakened by unsuitableness of method, insufficiency of material, unfitness of facility, etc. 5) Teachers required for in-service education of 60 hours in summer vacation every 3 years. 6) What is most important in the content of in-service education is teaching - learning method, culture and breeding practice, tool handling, etc. 7) Teachers required for the contents of moral and consumer education, disjointing and jointing of electronic goods, hydroponics, trimming and pruning, cultivation of flowering plant, use of multimedia, internet, manufacture of CD title. 8) Also, teachers required for group in-service education, experiment and practice method, and professional staffs(professor, specialist).

      • KCI등재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개발 방향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조사 대상은 유층화 군락표집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 100명, 중학생 200명, 고등학생 200명, 지도교사 및 지도공무원 각각 120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전체 740명으로 하였다. 대상별 조사를 위하여 질문지를 개발한 후 온라인 Google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응답률 80.5%)하고, 기술통계, t 검증, 일원변량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활동 기한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은 선생님의 권유로, 중등학교 학생들은 봉사활동을 위하여 가장 많이 가입하였다.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활동 등으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높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 및 정보 기술 활용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및 적용 가능성, 온라인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도 높았으며, 이에 대해 초・중등학교 학생, 지도교사, 지도공무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도교사는 월 2~3회 정도 운영하면서 농업체험활동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4-H 업무를 자발적으로 담당하고 있었으며, 활동에 대한 보상 부족, 프로그램 정보 부족, 과중한 학교 수업과 프로그램 메뉴얼 또는 지침서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은 수준별 4-H 활동 커리큘럼, 4-H 회원단체 조직 간 연계와 교류 프로그램, 진로 교육 프로그램,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 4-H 강사 요원 교육 강화 프로그램 등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는 중앙 단위와 지역(도 수준, 시・군 수준) 단위의 조직 운영 체계 강화, 교육 대상자용과 지도자용 교재 및 메뉴얼 개발,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플랫폼(platform)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by analyzing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of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randomly 100 elementary, 200 middle,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120 teachers and public officials to make a total of 740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fter developing a questionnaire for each subject s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Google questionnaire (response rate of 80.5%), and analyzed by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t-validation,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eriod of activ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most often less than one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ined 4-H by the teacher,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did the most for volunteer activitie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the Student 4-H activity program was high, and satisfaction was high with various activities. The demand for the student 4-H activity program was high in almost all fields, and the need for education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Industery 4.0, the demand and applicabil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demand for online-based programs were also hig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The teachers were running 2-3 times a month, carrying out agr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he most.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y were voluntarily in charge of 4-H work, and they were struggling with the lack of compensation for activities, the lack of program information, and heavy school classes. and a lack of program manuals or instructions. Therefore,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uld develop and operate a 4-H activity curriculum by level, a linkage and exchange program among 4-H member organizations, career education programs, a creative/convergence-type talent training program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 4-H instructor training enhancement program. In add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system at the central and regional(province level, city/county level) level, develop textbooks and manuals for education targets and leaders, and develop a platform for sharing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농업문해 수준과 교육 방안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농업문해 수준을 알아보고, 초등 교원 양성대학인 교육대학교의 농업문해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대학교에 재학하는 예비교사를 모집단으로 하고, 임의로 한 교육대학교를 선정하여 재학하는 예비교사 354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 도구는 금지헌 외(2012)의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보완하여 적용한 정남용(2020)의 조사 도구를 초등학교 예비교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조사 도구는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농업문해 수준은 전체적으로 중간 이상이었으며, ‘농업과 자연환경’ 영역이 가장 높고 ‘농산품의 가치와 안전성’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성별, 학년별, 학년 군별, 식물 재배 경험에 따라서는 농업문해 수준에 차이가 없었으며, 학문 계열과 (반려) 동물 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교육대학교에서는 모든 학생이 공통으로 이수하는 교과교육, 실과(생활과학)교육과 예비교사들을 위한 심화 과정에 농업문해교육 관련 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학과 교수의 전공 및 학과 환경 특성에 따라 과목 개설의 편중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농업문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농업문해교육을 위한 관련 과목의 개설과 학습 내용의 다양화, 대학 교육과정의 ‘교양 필수’ 과목으로 농업문해교육 관련 과목 편성, 교육대학교 실과(생활과학)교육과 심화 과정에 농업문해 관련 ‘자유 선택’ 과목 개설 확대, 실과(생활과학)교육과 심화 과정 개설 과목 및 내용 구성에 대한 함의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agricultural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o find ways of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54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study. As for the survey tool, the survey tool developed by Jiheon Keum et al.(2012) was applied by supplementing the tool developed by Namyong Jeong(2020),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collected survey tools were analyzed by apply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F-test. The agricultural literacy level among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as generally above the medium level, with the “Agri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rea being the highest, and the “Agricultural Product Value and Safety” area being the low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gricultural literacy level according to gender, grade, grade group, and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ademic field and (companion) animal experience. Education universities nationwide have opened and operate subjects related to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 in the subject education that all students take in common, and in-depth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Life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agricultural literacy level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courses for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the diversification of learning contents, the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related subjects as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the expansion of the opening of free choice courses related to agricultural literacy in the intensive course of the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Life Scienc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subjects in the intensive course of the Practical Arts (Life Sciences) education ne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아름다운 학교의 홀리스틱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요구 분석

        방기혁(Bang, Gi Hyeo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하여 아름다운 학교를 시각적·청각적·인간적으로 나누어 각 요소별로 아름다운 학교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요구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유층화 군락 표집방법으로 초·중·고등학교 각각 10개교씩(전체 30개교)을 선정하고, 각 학교별로 교사, 학생, 학부모 각 15명씩(전체 1,350명(교사 450명, 학생 450명, 학부모 450명)으로 하였다. 질문지도 교사, 학생, 학부모용으로 각각 94문항, 92문항, 94문항이 되도록 개발하여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고, 빈도, 백분비, 평균,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학교」에 대해서는 남·여 탈의실 마련, 학교에 쉼터나 야외 학습장 마련, 학교 담장에 벽화 그리기, 신발이 보이지 않는 신발장, 화장실에 실내 식물 가꾸기 등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환경(하드웨어)에만 치중하기보다는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환경을 학생들이 직접 활동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학습내용(소프트웨어)과 같이 병행된다면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청각적으로 아름다운 학교」에서는 음악 감상실에서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영화 감상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난 것은 그 동안 학교에서 음악이나 영화를 통해 문화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나 기회가 많이 부족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바른 언어 사용에 대한 실천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학생들의 언어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적으로 아름다운 학교」에 대해서는 숲이나 휴식 공간을 통해 바른 인성을 키워 나갈 수 있고, 바른 언어 사용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각적·청각적·인간적으로 아름다운 학교가 통합적·유기적으로 추진될 때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원하는 아름다운 학교가 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analyse the educational constituents' needs for holistic educational environment in beautiful schools. For thi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survey using questionnaire. The object of study for questionnaire was 30 schools(elementary 10, middle 10, high 10), and 450 teachers, 450 students, 450 parents(15 persons/each school). Questionnaire consisted of 94 items for teachers, 92 items for students, 94 items for parents, analysed frequency, ratio,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etc. For beautiful school visually, the locker room, the rest area and field learning corner should be provided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school should manage a wall painting on school fence, a plant cultivation on indoor. For beautiful school auditorily, the space for music and cinema impression should be provided. And, beautiful school humanly should realize humanity cultivation utilizing a walk, school making a friendly talk possible within rest space on school forest, humanity cultivation within an outing place on school forest. Above everything, beautiful school should connect with visual environment, auditory and human program each other.

      • KCI등재

        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정의 변천 및 내용분석

        방기혁(Bang Gi 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199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 and content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the curriculum framework of the 21th century in educational univers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Educational universities have opened the required and optional subject of liberal arts course, the optional subject of each subject education insufficiently. Therefore, they should open many practical arts subjects such as ‘Occupation and Career’, ‘Agricultural life science and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of daily living’, offer the opportunity of choice to students. Toward this point, educational contents should relate to practical arts education, reflect students’ interest. Also, practical arts subjects should be revised titles for the future. And educational universities should study the level, contents, and framework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 KCI등재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및 개선 방안

        방기혁(Gi Hyeog Ba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1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조사 연구를 위하여 조사 대상은 무선으로 문화다양성 관련 271개 기관 및 단체와 8 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 조사를 위한 11 문항과 전문가 조사를 위한 8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회수된 137 개 기관 및 단체의 조사 내용은 SPSSWIN 22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평균 차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조사 내용은 전문가 유형별로 분석한 후 다시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주제별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매우 높았으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전문가 조사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전문성 있는 기관 및 단체의 선정과 지원, 전문 인력의 양성 및 확보, 지역사회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추진, 충분한 예산 확보 및 행・재정적 지원, 적극적인 홍보, 프로그램 추진 결과의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아카이브 구축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추진 체계 구축, 지역사회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추진, 인적・물적 자원 확보, 충분한 예산 확보 및 집행, 운영 과정의 개선,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 문화다양성증진센터(가칭) 설립 및 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체계적인 운영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지역사회의 유기적 연계, 지역사회의 전문 인력 확보 및 활용, 예산확보 및 공정한 집행, 지역사회의 특성과 요구가 반영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추진, 지역사회 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공감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needs of the community for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For the research study, 271 institutions/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and 8 experts were randomly selected as subjects of a survey.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with 11 questions for the survey and 8 questions for the expert survey, and the SPSSWIN 22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cross-tabulation and mean difference analysis to the survey content of 137 institutions/ organizations that responded. In addition, the expert survey content was analyzed according to expert type, and then the analysis content was synthesized and analyzed by subject. Althoug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 were considered very high,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 The demands revealed in the survey and expert survey included the following: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institutions/organizations with expertise; the cultivation and securing of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various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mmunity; securing a sufficient budge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active public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rchive for the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program promotion result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essential: establishment of a program promotion system;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mmunity; secureme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ecurement and execution of sufficient budgets; improvement of operational processes; establishment of a public-private partnership network; and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center (tentative name). Therefore, to derive systematic operation and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creat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communities, secure and utilize local experts, secure and execute budgets fairly, and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oc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and promote existing programs and actively participate and sympathize with local residents.

      • KCI등재

        한국 교양농업교육의 연구 동향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국내에서 발행되는 학술지에 게재된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 파악 및 연구 발전을 위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대상은 2018년 10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 중 학술 Web-DB 중에서 한국학술정보원 (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추출된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 204편으로 하였다. 분석 자료의 추출을 위해서는 교양농업교육의 주요 검색어인 교양(문해), 농업, 교육, 원예(식물), 경제동물, 애완(반려)동물, 생명과학 등을 적용하였으며, 추출된 논문은 연 도, 주요어, 학술지,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주요 통계 방법, 연구 대상, 연구진, 언어로 분석 틀을 마련하여 빈도와 백분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은 199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2010년대 이후에 더욱 활발해졌으며, 생활원예(식물)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나 경제동물교육 관련 논문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학술지 중에서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에 교양농업교육 연구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이 학회지에도 생활원예(식물)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 분야별로는 학교농업교육 관련 논문이 거의 대부분이었고,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초등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조사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 개발연구 등을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적연구에 적용된 통계 방법은 t 검증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교 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진에 따라서는 단독연구와 2인 공동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논문은 한국어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한국 교양농업교육의 연구 동향을 보면, 교양농업교육 연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욱 확대되고, 농업의 영역 중에서 경제동물교육 등 동물교육과 관련한 연구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연구 방법 및 통계 방법도 교양농업교육 연구 주제와 목적에 적합하게 다양한 적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다수 연구자가 참여한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고, 연구 논문도 영어 등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 을 많이 발표하여 국제적 학술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academic paper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ese research aims, 204 published academic papers extracted from RISS, KISS, and DBPIA by November 2018 were analyzed . Papers with key words such as literacy, agriculture, education, gardening(plants), economic animal, companion animal, life science were extracted. Extracted papers were classified by an analytical framework containing year, key word, journal,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s, main statistical methods, research object, researcher, language, analyse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cademic paper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ere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 late 1990s, become more active since 2010. Most papers centered on life gardening (plants) education in school agriculture education but no papers on economic animal education. They were published 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Most of them were applie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education, used t-verification, were performed by exclusive and 2 jount researchers, and were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carried out so far, It is necessary to expand studies to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ublic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More interest should devote to studies in investigating animal education like economic animal, applying various methods suitable for study subjects and purpose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expanding a joint study of many researchers, and raising international academic value by publishing in foreigm languages.

      • KCI등재

        실과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방기혁(Bang Gi 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 The reorganized content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as follows; (1) The integrated contents in 5 grade composed of 9 units such as ‘Flower and Interior’, ‘Vegetables and Simple Cooking’, ‘Our Home Life’, ‘Clean Living Environment’, ‘Breeding of Economic Animal’, ‘Spending Money and Economic Life’, ‘Life and Electric’, ‘Computer is My Friend’, ‘Supplies Manufacturing Using a Needle and a Thread’. (2) 6 grade composed of 8 units such as ‘Use of Rice and Bab’, ‘The World of Work and Occupation’, ‘Banking Organ’, ‘Computer and My Life’, ‘Breeding of Pet Animal’, ‘Life and Electronic’, ‘My Life for Environment’, ‘Supplies Manufacturing Using a Sewing Machine.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체계 및 내용 분석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써, 관련 문헌 및 연구 보고서, 교육과정 원문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등을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위계화 되어 있는 교육과정을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 외 교육과 정으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다. 즉 초⋅중등학교에서는 ‘실과’, ‘기술⋅가정’, ‘농업 생명 과학’ 교과와 ‘재량활동’, ‘특별활동’또는 ‘창의적 체험 활동’등을 학년별로 편제하고, 이수 시간을 배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외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에 의해 교육부 및 산하 관련 기관인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한국농어촌공사, 산림청 등과 연계하여 ‘팜 스쿨(farm school)’사업, ‘학교 텃밭 가꾸기’ 사업, 그리고 ‘농업 직업 진로 체험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사업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육부 중심의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과 농림 축산식품부 중심의 교육과정 외에 의한 교양농업교육 운영을 체계화하고, 국가 수준 교육과정 에서의 교양농업교육 강조, 관련 교육 내용의 체계적 조직과 운영, 새로운 교양농업교육 모형 개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교양농업교육센터(가칭)’신설, 시⋅도 및 지역과의 네트워크화 등을 통하여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operating system and content analysi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using related literature, research reports, original elementary ․ secondary curriculum material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press releases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curriculum was divided into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and school level including subject and non-subject curriculum. That is, Elementary·secondary schools in operation organize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setting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Agricultural life science’as subject curriculum as well as ‘Discretionary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rough non-curriculum that were in operation included ‘Farm school’, ‘School gardening’, and ‘Career experience in agricultural jobs’ projects in conjunc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C) etc. by MAFRA. Therefor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s should newly reconstruct the operating system between MOE-oriente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curriculum and MAFRA-oriente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non-curriculum, emphasiz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national level, organize and manage educational contents systematically, develop a new model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establish a ‘Center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entative name)’under MAFRA, and activate special city·province and regional networks.

      • KCI등재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방기혁(Gi-hyeog Ba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실과교육 관련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게재 논문을 분석하여 실과교육 연구의 경향과 연구 발전을 위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 대상은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674편과 「실과교육연구」의 675편에 해당하는 전체 1,349편으로 하였으며, 연도,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주요 통계 방법, 연구 분야에 따른 각 변인 비교, 연구 대상, 연구진, 언어 등의 분석 틀로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학술지 게재 논문 편수는 2종의 학술지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발표 연도에 따라서는 논문이 2008년부터 상대적으로 많이 발표된 후 2011년부터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실과교육 연구 분야에서는 가정과학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주제에 따라서는 교과서 및 교육자료 영역의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라서는 조사연구 적용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대부분 질문지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양적 연구로 수행된 논문은 t 검증 통계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연구 분야에 따른 각 변인 중 연구 주제와의 비교에서는 대부분 분야에서 교과서 및 교육자료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연구 방법과의 비교에서는 대부분 문헌연구와 질문지법을 활용한 조사연구를 적용하였으며, 주요 통계 방법과의 비교에서는 모든 연구 분야에서 t 검증 통계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실과교육 관련 논문은 전체적으로 초등학생 대상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연구진은 거의 과반수의 논문이 단독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논문 작성 언어는 한국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 실과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과교육 연구에 관한 관심과 학술 활동 확대, 실과교육 관련 학문에 관한 연구 노력, 교육시설과 철학 및 이념 영역에 관한 연구 증진, 다양한 연구 방법 및 분석 기법의 적용, 논문 공동연구 및 외국어 작성 등이 더 요구되고 있었다. This study identifies trends in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and outlines directions for research development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ffiliated with academic societies related to practical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1,349 papers, comprising 674 papers from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675 papers from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2.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a framework that considered publication year, research field, research area, research method, main statistical method, comparison across variables according to research field, research subject, researchers, and language.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from 2006 to 2022 exhibited almost identical trends. Regarding the year, publications peaked in 2008 and then exhibited a downward trend from 2011 onward.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home science emerged as the largest area of focus, while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most popular across most research fields.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most papers employed survey research, primarily utilizing the questionnaire method. Quantitative studies primarily employed the t-test. Concern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earch field, when compared to research areas, the field of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had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across almost all fields. Similarly, when comparing research methods, the majority of papers used research methods involving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s. Regarding major statistical methods, the t-tes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 in all research field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papers related to practical education were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nearly half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s independent research by the research team. The predominant language used in most papers was Korea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requires a discernible need for heightened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efforts on academic aspects of practical education, promotion of research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spects, utilization of diver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is techniques, and collaborative research undertakings in producing papers and writing in foreign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