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를 위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디자인교육지도안 개발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 디자인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놀이와 재미`를 중심으로 한 에듀테인먼트 형식의 디자인교육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디자인교육현황의 고찰, 초등교사의 디자인이해도 분석 등을 통하여 초등디자인 교육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의 방법으로서는 초등교과서를 분석하고 디자인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내용에 새로운 디자인교육안을 적용하여 모의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에듀테인먼트 중심의 구체적인 디자인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교육안은 `전달과 소통`, `실험과 적용`, `계획과 분석`에 관한 내용이 핵심적인 중심내용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통합적인 사고과정을 요구하는 디자인교육을 초등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창의적인 차세대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 비전공자인 교사를 위하여 초등디자인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교육안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d to develop desig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dutainment with play and fun elements. As a preparatory research,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design were looked into. It was learned how design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elementary schools and what problems it has.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school courses were also examined and design sections were selected out of them. Newly devised education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selected sections and experimental teachings were performed. Concrete edutainment-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Underlying the new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communication, experimentation, planing & analyzing` in this study. The final object of this study is to apply education of design, for which integrated thinking process is required, to elementary courses effectively, and this is expected as a creative educational method for future generation. Accordingly,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to present goals and contents for elementary design education for teachers who are not design specialists.

      • KCI등재

        모홀리 나기의 조형원리에 근거한 빛을 이용한 디자인 교육사례

        방경란 ( Kyung Rhan B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새로운 조형언어로서의 포토그램(photogram)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빛과 공간을 통한 키네틱(kinetic) 아트의 실험적 작품과 교육철학을 적용한 모홀리 나기의 조형교육방법에 주목하여 기초디자인 교육에 적용하고 그 과정과 내용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빛과 물체와의 상호관계성에서 새로운 조형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는데, 빛이 가지고 있는 반사, 흡수, 투과 등의 속성에 따라 우연하게 발견되는 시각적인지과정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그것이다. 또한 빛의 우연적 효과를 관찰하고 실험함으로써 상상력에 대한 새로운 탐색이 가능하며, 우연적 효과에서 발견되는 조형적 요소를 구성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의미를 부여하고 개념을 설정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발상력 확장이라는 디자인 교육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모홀리 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적용된 교육적 실험과정을 통하여 조형매개체로서의 빛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빛으로 생성되는 음영의 불확실성, 비정형성, 비예측성, 유동성에서 빛의 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동적인 긴장감과 공간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적 발견과 그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실험을 지속해서 새로운 형태로 제시하였던 모홀리 나기의 작품과 교육철학을 통해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uggested the vision of photogram as a new design language and looked into the design teaching method of Moholy-Nagy that applied the experimental wor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kinetic art, to suggest its methods and contents. In the educational courses, the learners can discover new design factor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light and objects. The new experiences are the visual recognitions that they happen to discover in terms of reflection, absorption, and penetration of the light. The learners can carry out new exploration into the imagination, by observing and experimenting with the chance effects of the light. The positive effect of design education, which is called the extension of various thinking, is expected to be created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and defining the design factors in the chance effects and establishing the their concepts. In other words, we address the importance of the light as a design mediator, in the educational experiments which are based on the theory of the design concept of the light. We discuss the visual discovery and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dynamic tension and spatial structure that the light energy has, in terms of uncertainty, atypical form, unpredictability, and fluidity of the shade and shadow.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ght can be used in various educational forums of design, by looking into the artwor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Moholy-Nagy who suggested the experiments of new technologies in new forms.

      • KCI등재

        소셜 이노베이션에 기반한 디자인 연구 동향 분석 -2000년~2019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방경란 ( Bang¸ Kyung Rh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관심이 중가하고 있는 ‘소셜 이노베이션’이라는 측면에서 2000년 이후의 디자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자료검색을 통해 추출된 2000년부터 2019년 까지의 논문을 대상으로 국내 디자인관련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2단계에 따라 진행된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국내 학술지논문 227편을 대상으로 논문의 제목과 주제어를 중심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빈도분석과 연구방법의 연도별 추이와 동향을 고찰하였다. 둘째, 227편 중에서 초록과 결론의 내용에 따라 추출된 46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주제와 연구 목적에 따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의 유형은 텍스트마이닝 결과에 따라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연구 목적의 유형은 에치오 만치니의 이론을 중심으로 3가지의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키워드 텍스트 빈도분석에서는 ‘혁신’, ‘서비스’, ‘공공’, ‘가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초록과 결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방법론을 분석한 결과 사례분석이 78%로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연구주제 분류에서는 ‘디자인의 혁신성’과 ‘사회적 역할’이라는 주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목적 분류에서는 지역사회와 기업, 산업현장 등에서의 디자인 시스템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새로운 디자인 가치창출과 공동체적인 디자인 영역의 확장된 시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디자인이 가지는 사회적 가치에 관한 중요성을 제고할 수 있었으며 2000년 이후 ‘소셜 이노베이션’기반의 디자인 연구 동향과 추이 변화에 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design research after 2000 in terms of 'social innovation', which is gaining social interest. The scope of the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domestic design-related journals among the papers from 2000 to 2019 extracted through data search of the RISS. The method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conducted according to the second stage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ollected 227 journal articles in Korea, frequency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and trends of research methods by year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titles and main words of the articles. Second, out of 227 papers, 46 papers extrac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abstract and conclusion were analyzed by typ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urpose. Third, the types of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ext data mining, and the types of research objectives were analyzed into 3 types based on Ezio Manzini's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keyword text frequency analysis, 'innovation','service', 'publics', and 'valu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ology centering on the contents of the abstract and the conclusion, case analysi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78%. In the category of research topics, the themes of 'design innovation' and 'social role' occupied a lot of weight. In addition, in the category of research purpose, design system research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ies, companies, and industrial sites, creation of new design values, and expansion of community-centered design areas were being attemp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s social value. In addi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 forum for discussion on trends and changes in design research based on 'social innovation' since 2000.

      • KCI등재
      • KCI등재

        교양 교육으로서의 시네틱스 기반 창의 교육 사례

        방경란 ( Kyung Rhan B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양교과목에서 진행된 교육 사례로서, 디자인 사고가 적용된 아이디어 발상 교육에 관한 것이다. 수업의 목표와 평가 기준(새로움, 독창성, 객관화)을 설정하여 교육진행의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수업평가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창의 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가늠하고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교과목의 중요한 내용이자 목표는 최초의 아이디어 생성단계에서 학문적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관점으로부터 통합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경험이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창의적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양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바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문적 상상, 공학적 논리, 예술적 감성이 융합되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발상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문제인식과 문제발견을 통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업의 평가결과, 학습자는 시네틱스 기반의 유추적 발상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고착된 자신의 사고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상법을 터득하게 되었다는 창의 교육의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반면, 과도한 학습 분량과 자기주도식 과제진행에 대한 부담과 함께 창의성 평가기준의 모호함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As a case of education conducted in general courses for creativity improvement, this study is about idea generation education utilizing design thinking. By setting the goals and evaluation criteria of classes(novelty, originality, objectification), the contents of conducting edu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materials such as the students’ evaluation of classes, the positive effects of creative education were estimat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important content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he experience of thinking that recognizes and discovers and resolves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from a new perspective while crossing the academic boundaries at the first stage of idea generation. Through this, ultimately, we hope to obtain the goal of fostering creative talents toward which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And this can be expressed more effectively when humanistic imagination, engineering logic and artistic sensibility are fused together.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classes, a positive result for creative education where the student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analogical creation based on synetics escaped from one’s adhered way of thinking and learned new method of creation was derived.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as problems were the burdens from excessive amounts of learning and self-leading style task, ambiguity of evaluation criteria, etc.

      • KCI등재

        국내 고등학교 디자인교육 내용 분석 - 2009 개정 미술 검정 교과서 내 예시자료를 중심으로 -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7 No.-

        현행 국내 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은 미술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창의성 함양이라는 목표에 따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점차 증대하고 있음에도, 그 중요성에 비하여 교육의 내용과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일반 교양과정으로서의 디자인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며,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교과 과정 및 내용 분석을 통하여 교육의 연계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변화에 의해 미술 교육의 목표와 가치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009년 제7차 개정 미술 검정 교과서 총 5종에서 제시되고 있는 디자인영역의 그림예시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족한 이수 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용이 방대하고, 단원별 학습 목표와 수업 예시의 연계에 있어서 난이도 및 영역별 선정이 일정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특히, 현재 국내 미술 교육의 중점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역사적·문화적 가치, 개인적·사회적 기능의 활용, 교과적 기초라는 세 가지 방향과도 다소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 현실을 감안한 교과과정 및 교육 목표와 내용의 수정이 요구되며, 초·중·고등 교육이 서로 유연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esign education in domestic high schools is currently being included as part of the art curriculum. In particular, although the social demand for design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goal of improving creativity, there are lots of problems with the content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 This basic research aims to develop design subjects for a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Taken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the fact that the objectives and values of art education change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and design illustrations in a total of five art textbooks for the seventh curricular revision in 2009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too many contents despite insufficient hours and that there was inconsistency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area selection to associate a learning objective for each unit with instructional illustration. In particular, they had a little difference in aim from those currently suggested as central to domestic art educati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use of personal and social functions, and the textual ba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tents of curricula and educational goals in consideration of this educational reality and conduct cons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ursuit of flexible associ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메카니칼 발상법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교육 사례 연구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대학교육과정 내에서의 저학년을 위한 기초디자인교과목은 각 세부전공으로의 진입을 위한 필수과정이므로 교육의 내용과 구성이 다양한 전공을 고려한 통합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기초실기교육은 전공심화 단계 이전의 가장 본질적이고 기초적인 디자인의 개념을 파악함과 동시에 창의적인 디자인사고를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형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발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사고를 새롭게 전환하고, 대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이디어 발상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창의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메카니칼 발상법에 근거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기초디자인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방안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메카니칼 발상법은 사고를 전환함에 있어 기존의 개념에서 탈피하고 변환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을 착안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발상교육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 사례는 사고의 논리적 접근에 기반하여 이중적 사고, 연동적 사고, 감각적 사고라는 세 가지의 접근법을 제안하면서 동시성, 필연성, 우연성이란 요소별 특성을 제시하였다. 즉, 이러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력에 대한 그 해결의 실마리를 논의하고, 그 한계점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Curriculum of basic design for the lower grades in university education courses is a required course to take for each particular major, and the curriculum should be progressed into an integrated way that considers majors which contain diversity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Especially, basic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the most essential before the stage of the deepening major, and also be able to find out the basic design conception along with being formed with contents that could solve problems of formativeness with various ways through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For creative thinking, we need to transform our existing idea in to a new idea and to analyze objects in a variety of ways resulting in expected positive effects of the new ideas by doing that.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new education methods and to ferret out the possibility of the method in the design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education based on Mechanical Thinking. Mechanical Thinking is one of the Thinking methods of education, consisting of thinking logically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new idea and establish it with a detailed process that is suggested by Mechanical Thinking, which is where we transform our existing conception into the new one during the change of thinking. Education examples adduced by this study suggested double think, linked thought, and sensible thought based on the logical approach of thought, as well as simultaneity, necessity, and possibility, which are characteristic elements. So, we have tried to discuss the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and find the critical point on the creative ability of thinking about design through these education examples.

      • KCI등재

        디자인 대학교육 연구에 나타난 연구주제 동향 분석 - 2012년~2018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방경란 ( Kyung-rhan B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4

        연구배경 현재 대학의 디자인교육은 20세기 초부터 적용되었던 전통적인 조형표현 중심의 교육으로부터 사회변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라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래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에서의 디자인전공 통합 및 타 전공과의 융합교육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서 향후 한국 대학현실에 적합한 디자인교육의 방향설정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최근 디자인교육의 연구주제를 고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디자인교육의 목표 및 내용의 변화에 대한 연구동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총 151편의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문헌조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3가지의 키워드인 ‘기초’, ‘창의’, ‘융합’을 중심으로 디자인교육 전문가들의 3차 분석과정을 거쳐 각 주제별 10편씩 총 3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기초 교육’연구에서는 조형표현중심의 교육사례, ‘창의교육’에서는 디자인 기반의 창의력 향상, ‘융합교육’은 디자인과 공학중심의 통합적 교육방향에 관한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 결론 최근 국내 대학에서의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는 기초교육의 조형표현중심으로부터 점차 창의성 향상에 대한 관심으로의 변화를 거치면서 타 학문과의 통합교육에 관한 내용 중심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디자인 학문 단일의 세부전공에서의 교육연구에서 벗어나 인문과 공학과의 연계된 교육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t present, the design education of universities is undergoing a lot of changes according to the new paradigm of social change from education focusing on the traditional formative expression which was applie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as the integrated design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majors are carried out frequently in order to cultivate future talents, it is urgent to set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future reality of universities in Korea. Methods According to this background and necessity, this study examined the latest research topic of design education, analyzed its contents, and looked into research trends on the goal and changes in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focusing on total 151 academic journals in Korea. Based on these derived three core keywords-basic, creativity, converg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a third analysis on total 30 articles (10 articles for each core keyword) made by experts in design education. Resul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ain topic is ‘curriculum’ focusing on formative expression in ‘basic design’, ‘improvement’ of creativity based on design in ‘creativity’, and ‘integrated educational direction’ focusing on design and engineering in ‘convergence’. Conclusion In addition, research on the latest desig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is gradually undergoing changes from basic design focusing on formative expression to the interest in improving creativity an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with other disciplines. It is also found out that researches are seeking to changes into education linked to humanities and engineering beyond education and studies in the detailed major of a single design disciplin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