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 받은 과거력이 없는 고령 환자에 발생한 횡행결장간막 탈장 1예

        박훈석 ( Hoon Suk Park ),김진일 ( Jin Il Kim ),김명석 ( Myoung Seok Kim ),김순섭 ( Soon Sub Kim ),조세현 ( Se Hyun Cho ),박수헌 ( Soo Heon Park ),한준열 ( Joon Yeol Han ),김재광 ( Jae Kwa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4

        Internal hernia is defined as the herniation of viscera through an anatomic or pathologic opening within the boundaries of peritoneal cavity. Transmesocolic hernia, a subtype of internal hernia, has a herniated sac through the transverse mesocolon. Transmesocolic hernia has been rarely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nd most of reported cases were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operation or congenital anormaly. A 72-year-old female with chronic intermittent abdominal pain and bloating was admitted. Small bowel series showed multiple jejunal loops confined to the left upper quadrant of abdomen. Abdomen spiral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a cluster of mildly dilated small bowel loops with mesenteries on the same area. On the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scan, a herniated sac through the transverse mesocolon was identified. She was diagnosed as transmesocolic hernia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and small bowel series, without surgical exploration. The symptoms were managed with conservative measure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286-289)

      • KCI등재
      • KCI등재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과 전치환술의 비교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박훈석(Hoon Seok Park),조근호(Kun Ho Cho),김관수(Kwan 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양측 슬관절에 부분치환술과 전치환술을 각각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각 수술에 대한 환자들의 주관적 선호도와 만족도 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한 쪽 슬관절에는 부분치환술을, 반대쪽에는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던 51명의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4년의 추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부분치환술의 경우 술 전 평균 53.5점에서 최종 추시 시 90.7점으로 증가하였고, 전치환술에서는 술 전 평균 50.4점에서 89.8점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 운동 범위는 부분치환술에서 술 전 평균 124.7°에서 133.2°로, 전치환술에서 술 전 평균 122.5°에서 127.1°로 증가되었다. 대퇴 경골각은 부분치환술에서는 수술 전 평균 0.3° 내반에서 5.6° 외반으로, 전치환술에서는 수술 전 평균 2.4° 내반에서 5.8° 외반으로 교정되었다. 환자의 선호도는 23명(45%)은 부분치환술이, 19명(37%)은 전치환술이 더 좋다고 하였으며, 환자의 만족도는 양측 모두 42명(82%)에서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동일 환자의 양측 슬관절에 시행한 부분치환술과 전치환술의 결과는 평균 4년 추시 상 두 수술 모두 매우 양호하였으며, 부분치환술에서 관절 운동 범위가 좀 더 증가하였으나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UKA) an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the same patient, and to investigate patient preference and satisfac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56 patients who underwent a UKA in one knee and a TKA in the opposite knee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4, 51 patients were followed up.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 years. Results: The average Knee Society Score (KSS) improved from 53.5 preoperatively to 90.7 at last follow-up in the UKA knee, and from 50.4 to 89.8 in the TKA knee.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also improved from 124.7° to 133.2° in the UKA knee, and from 122.5° to 127.1° in the TKA knee.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0.3° of varus to 5.6° of valgus in the UKA knee, and from 2.4° of varus to 5.8° of valgus in the TKA knee. For patient preference, 23 patients (45%) preferred the UKA knee and 19 patients (37%) preferred the TKA knee. Most patients (42 patients, 82%) reported being 'very satisfied' or 'satisfied' with both knees. Conclusi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both the UKA and the TKA in the same patient were satisfactory at the 4-year follow-up. The UKA knee had a slightly better range of knee motion, but there wa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UKA knee and the TKA knee.

      • KCI등재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김진학 ( Jin Hak Kim ),이송 ( Song Lee ),김경태 ( Kyung Tae Kim ),박훈석 ( Hoon Seok Park ),전영원 ( Young Won Jeon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1

        목적: 근위 대퇴부의 골결손 및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사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3년 4월까지 무시멘트성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한 14예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3개월(24-53개월)이었고, 평균연령은 52.3세(33~66세)였으며, 남자 10예 여자 4예였다. 재치환술의 원인으로는 무균성 해리 11예 (78.7%), 진행되는 골용해 1예 (7.1%), 감염성 해리 1예 (7.1%), 대퇴스템 주위 골절 1예 (7.1%)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는 술전 평균 50.4점에서 술후 평균 88.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합병증으로 대전자부 골절이 2예(14.3%), 대퇴스템 주위 골절 1예(7.1%), 고관절 탈구 2예(14.3%)가 있었으며, 경도의 대퇴부 동통이 2예(14.3%)에서 관찰되었다. 대퇴 삽입물의 고정도는 11예(78.6%)에서 골성 안정소견을 보였으며 3예(21.4%)에서 섬유성 안정소견을 보였다. 5 mm 이상의 대퇴스템 침강을 보인 경우가 1예(7.1%), 10 mm 이상의 대퇴스템 침강을 보인 경우가 2예(14.3%)있었으나 술후 1년 이후에는 더 이상의 진행 소견은 없었다. 중등도의 응력방패 현상을 보인 경우가 4예(28.6%) 있었으나 현재까지 심한 마모나 골용해를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무시멘트성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은 근위 대퇴골 결손이 심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시 단기적인 결과로는 유용한 선택으로 보여지나 수술 후 합병증 등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추시 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outcomes of extensively porous-coated femoral stems based on diaphyseal fixation caused by extensive bone loss and osteoporosis of the proximal femur i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14 cementless femoral revision procedures performed between Aug, 2000 and Apr,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24 to 53 months, with an average of 33 months.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52.3 years, there were 10 males and 4 females. The reasons for the revision surgery were aseptic loosening in 11(78.7%) hips, progressive osteolysis in 1(7.1%), septic loosening in 1(7.1%) and periprosthetic fracture in 1(7.1%). Results: Th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50.4 points preoperatively to 88.5 points postoperatively. The complications encountered were a greater trochanteric fracture in 2 hips (14.3%), periprosthetic fracture in 1(7.1%), dislocation of the hip in 2(14.3%), and minimal thigh pain in 2(14.3%). Radiographic evidence of a bone ingrown stem was found in 11 hips (78.6%), and 3 hips (21.4%) showed stable fibrous fixation. Stem subsidence > 5mm was noticed in 1 hip (7.1%) and > 10mm in 2 (14.3%) but there was no further progression after 1 year. Moderate stress-shielding was noticed in 4 hips(28.6%). To date, no significant wear or osteolysis has been observed. Conclusion: An extensively porous-coated revision stem appears to be a reasonable choice in the presence of proximal femoral bone loss as a short term follow up. However, the concerns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ll require a longer term follow up.

      • 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에서 혈관접근로의 동맥 미세석회화가 관상동맥 석회화와 심혈관 사망률에 끼치는 영향

        이영복 ( Yeong Bok Lee ),최보미 ( Bo Mi Choi ),황현석 ( Hyeon Seok Hwang ),박훈석 ( Hoon Suk Park ),박순철 ( Sun Chul Park ),김영옥 ( Young 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3

        목적: 혈액투석 환자에서 혈관접근로의 AMiC와 관상동맥 석회화 간의 상관관계 및 AMiC 유무가 심혈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2011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혈관접근로 수술과 CACS 검사를 시행한 1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접근로의 AMiC는 수술 중 획득한 동맥 표본의 von Kossa 염색으로 진단하였다. 모든 환자는 비조영 증강 다중 검출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CACS를 계산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AMiC와 CACS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 2월까지 추적 조사하였고 환자를 AMiC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심혈관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남녀 대상자 수는 각각 76명(64%)과 43명(36%)이었고 평균 나이는 64.3 ± 13.0세였다. 67명(56%)의 환자에서 von Kossa 염색에서 혈관접근로의 AMiC가 관찰되었고 평균 CACS는 430.4 ± 720.2였으며 99명(83%)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가 관찰되었다.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CACS(OR: 1.002, 95% CI: 1.001-1.004, p < 0.05)는 AMi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전체 사망은 26명이었고 그중 17명이 심혈관 사망이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에서 AMiC 양성인 군에서 음성인 군에 비해 심혈관 사망률(log rank = 9.0, p < 0.05)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에서 AMiC와 CACS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AMiC와 CACS는 심혈관 질환 사망의 위험 인자임을 시사한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micro-calcification (AMiC) an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MiC on cardiovascular mortality in incident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and nineteen hemodialysis patients who received vascular access surgeries between April 2011 and May 201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iC was diagnos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f arterial specimens acquired during surgery, using von Kossa stain. All patients underwen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maging,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s (CACS) were calculated.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MiC and CACS in these patients, and examined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eath (through Febraury 2017)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MiC.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 group was 64.3 ± 13.0 years, and 64% were male (n = 76). Of 119 patients, 67 (56.3%) were positive for AMiC of the vascular access. The mean CACS was 430.4 ± 720.2 (0-3,954), and 99 patients were considered positive for CAC (83.1%).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ACS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MiC.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5.5 ± 17.8 months. During this time there were 26 all-cause deaths, of which 17 were cardiovascular.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revealed that AMiC wa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mortality (log rank = 9.0, p < 0.05). Conclusions: AMiC may be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incident hemodialysis patients, and may also be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mortality. (Korean J Med 2017;92:269-276)

      • KCI등재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발생한 유동성 삽입물 아탈구의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 -1례 보고-

        김경태 ( Kyung Tae Kim ),이송 ( Song Lee ),김희선 ( Hee Seon Kim ),박훈석 ( Hoon Seok Park ),조근호 ( Kun Ho Cho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A polyethylene mobile bearing subluxation is a very rare complication after mobile type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Of 436 cases which had been followed up for 1 year after UKA, we experienced 9 cases of bearing dislocation and a case of bearing subluxation. We treated a case of mobile bearing subluxation by arthroscopy. We achived stable reduction of the bearing using arthroscopic surgery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outcome. So we report a case of mobile bearing subluxation after UKA treated by arthroscopy.

      • KCI등재

        최소 침습 슬관절 부분치환술에서 대퇴경골간 정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배은환(Eun Hwan Bae),최대정(Dae Jung Choi),박훈석(Hoon Seok Park),조근호(Kun Ho C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슬관절의 내측 구획에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대퇴경골간 정렬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슬관절의 내측 구획에 발생한 퇴행성 관절염으로 최소침습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 받은 114명, 128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및 수술 후 3개월에 체중부하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대퇴경골각, 경골 및 경골 삽입물의 후방 경사각, 대퇴 및 경골 삽입물의 각변형 동을 각각 측정하였다. 방사선학적 측정값과 삽입물의 종류, 삽입물의 가동성 유무 및 두께, 술자, 환자의 연령 등 여러 인자들의 교정된 대퇴경골각에 대한 영향 여부를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전체의 술전 평균 대퇴경골각은 내반 0.6도에서 술후 외반 5.2도로 평균 5.8도 교정이 되었다. 가동형 삽입물을 사용한 군의 평균 교정각은 6.1도로 고정형 삽입물을 사용한 군의 평균 교정각 3.6도에 비하여 의미있게 컸다(p<0.0001). 술전 대퇴경골의 내반 변형이 심할수록 대퇴경골각의 교정이 많이 이루어졌으나(p<0.0001)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두께에 따른 의미 있는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대퇴 및 경골 삽입물의 각변형이나 후방 경사각 등은 대퇴경골각의 교정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술자 및 연령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결론: 최소 침습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대퇴경골각은 평균 5.8도 교정이 되었으며, 수술 후 대퇴경골간 정렬은 수술 전 대퇴경골간 변형의 정도와 삽입물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Purpose: We analyzed affe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ibiofemoral alignment after minimally invasive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used to treat medial compartment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3, 128 UKA were performed in 114 patients with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e revealed tibiofemoral angle, tibial translation, posterior slope and the coronary orientation of the tibial and femoral component were measured using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weight-bearing radiographs. The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rrective tibiofemoral angl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corrective angle of the tibiofemoral axis was 5.8˚ from varus 0.6˚ preoperatively to valgus 5.2˚ postoperatively. The average corrective angle of the tibiofemoral axis was 6.1˚ in the mobile bearing group and 3.6˚ in the fixed bear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corrective tibiofemoral angle postoperatively with a larger varus deformity of the knee preoperatively (p<0.0001). The corrective tibiofemoral angle had an increasing tendency with increasing bearing size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rgeons, the age of the patients, tibial translation, posterior slope of the tibial component, and coronary orientation of the tibial component and femoral component did not affect the degree of the corrective tibiofemoral angle. Conclusion: The average corrective angle of the tibiofemoral axis after minimally invasive UKA was 5.8°. The preoperative tibiofemoral angle and the types of implants affected the postoperative tibiofemoral axis after minimally invasive UKA.

      • KCI등재

        요추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재수술

        안동기(Dong Ki Ahn),이송(Song Lee),정기웅(Ki Woong Jeong),박준성(Joon Seong Park),차상규(Sang Kyu Cha),박훈석(Hoon Se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의 위험인자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로 재수술을 시행한 35예의 실험군과 수술 방법 및 시기를 기준으로 층화 표집된 73예의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성별, 나이, 수술 방법, 유합분절 수, 유합분절의 고정, 최초 수술 시 인접분절의 불안정 및 퇴행성 변화, 요추 전만각, 전체 요추의 퇴행성 척추증, 최상위 척추경 나사못의 위치, 주거지역, 노동정도, 운동정도, 흡연, 생활 습관 그리고 BMI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다변량의 로지스틱 희귀분석상에서 요추 전만의 감소(odds ratio=3.04l)와 원위 인접분절의 불안정(odds ratio=17.196), 심한 육체노동(odds ratio=2,462), 운동의 결핍(odds ratio=2.534) 그리고 농촌주거(odds ratio=46.729)가 유의 하게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켰다. 결론: 요추 전만각의 감소, 원위 인접분절의 불안정, 심한 육체노동, 운동의 결핍 그리고 농촌 주거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술 후 생활 형태는 인접분절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이 있었다. 현재의 증상과 무관하여도 원위 인접 분절의 불안정이 있을 경우에는 유합 범위에 포함시킬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요추 유합술 시 적절한 요추 전만의 재건은 여타의 기술적 인자보다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ver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djacent segment failure after lumbar spine fusion using pedicle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35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spine fusion using pedicle screws and required revision surgery due to adjacent segment failure. These were compared with 73 control patients who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surgical method and period. Gender, age, surgical procedures,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the fixation of the sacrum, initial instability and degeneration of the adjacent segments, lumbar lordosis, whole lumbar spondylosis, placement of most proximal screws, habitat, the demand of physical work, physical exercise, smoking, life style and 8MI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nsufficient lumbar lordosis (odds ratio=3.041), instability of the distal adjacent segment (odds ratio=17.196), physically demanding jobs (odds ratio=2.462), delinquent exercise (odds ratio=2.534) and rural habitat (odds ratio=46.729)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adjacent segment failure. Conclusion: Insufficient lordosis, instability of the distal adjacent segment, physically demanding jobs, delinquent exercise and rural habitat were found to be risk factors. The postoperative life style has a large impact on adjacent segment failure. The extension of fusion to an unstable distal segment should be deliberated even though it is not attributable to the current symptoms. A reconstruction of the proper lordosis far outweights the other methodologic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