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발생한 만성 골수성 백혈병 2예

        박해열 ( Hae Yeul Park ),최성은 ( Sung-eun Choi ),유영훈 ( Young Hoon Ryu ),장항석 ( Hang Seok Change ),박정수 ( Cheong Soo Park ),이경화 ( Kyoung Hwa Lee ),김유리 ( Yu Ri Kim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1 No.1

        저자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진단된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2세대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치료가 되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incidence of thyroid cancer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although most patients can survive for a long time without developing symptoms. While most thyroid cancers are treated with thyroidectomy alone, some patients are given additional radioactive iodine (RAI) in the form of 131I to treat thyroid cancer metastasis. RAI is associated with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s. Secondary malignancies are the most important in long-term cancer survivors. While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occurrence of acute myeloid leukemia after high-dose RAI, there are few reports on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after low-dose RAI treatment. Moreover, previous cases of CML following thyroid cancer were reported before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era. Here, we describe two cases of CML following thyroid cancer that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second-generation TKIs. (Korean J Med 2016;91:70-74)

      • KCI등재

        통계분석법을 이용한 낙동강 수질특성 평가

        박해식(Hae Sik Park),박청길(Chung Kil Park),송미경(Mi Koung Song),백경훈(Kyung Hoon Baek),신성교(Sung Kyo Shin) 한국물환경학회 2001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7 No.6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utilizing factor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 concentration and flow rate, weighted BOD concentration which it was considered BOD load and flow rate, show that water quality in the lower stream is affected by flow rate, especially, in winter and spring. The three factors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explained 75.0% of the variability within the data. Factor I (44.0%) was artificial pollution pattern by domestic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Factor II (19.2%) was metabolism pattern. Factor III (11.75%) was hydrological variation pattern. The upper stream was influenced of hydrological factor and the water clarity in the middle stream was related to artificial pollution. The lower stream including Mulgum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metabolised factor.

      • KCI등재

        투고논문 : 제국과 식민지 간 재현 경쟁의 장, 스포츠: 조선신궁체육대회와 메이지신궁체육대회를 중심으로

        박해남 ( Hae Nam Park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6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신궁체육대회 및 메이지신궁체육대회라는 식민지기 중요 스포츠 이벤트를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들 이벤트를 제국의 프로파간다 무대 혹은 피식민자들의 민족주의의 표출 통로가 아닌 두 세력 사이에 재현의 경쟁이 펼쳐지는 장으로 가정하고, 스포츠이벤트를 통한 재현 경쟁에의 참여 의도, 경쟁 양상, 결과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 스포츠는 이를 전유한 엘리트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신체의 근대화=서구화의 도구, 제국 및 식민권력과의 헤게모니 경쟁 수단이었다. 이를 위해 조선이라는 독자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세계적’ 무대에서 재현하고자 했다. 메이지신궁체육대회와 조선신궁체육대회는 제국과 식민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이벤트로, 전자는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기초한 국민통합을 위해 만들어졌다. 후자는 식민권력의 통치 과제에 따라 이벤트에 부여된 의미, 그리고 의미화에 기초하여 재현된 ‘조선’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1920년대 ‘내선융화’가 식민권력의 중요과제였던 시기 ‘조선’은 ‘일본인’과 ‘조선인’이공존하는 공간, 그러면서도 재조일본인이 주도하는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1920년대 엘리트 민족주의자들은 조선신궁체육대회 및 메이지신궁체육대회에 관여하지 않는 전략을 취했다. 하지만 1930년대부터 일본인 선수와 경쟁하여 승리하고 세계무대에 진출하는 선수들이 등장하자, 이 대회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바뀌었다. 그런데, 1930년대 중반 이후 제국과 식민권력은 이 이벤트들을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해 통합되고 단련된 ‘국민’의 ‘정신’과 ‘신체’를 재현하는 무대로 바꾸어 갔다. 따라서 피식민 엘리트들의 기대처럼 ‘조선’이 재현될 여지는 마련되지 못했고, 이들의 재현 전략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여전히 스포츠를 양 민족간 경쟁과 대결의 장으로 여기는 피식민지인들의 존재는 통합되고 단련된 제국의 정신과 신체를 재현하려는 시도 또한 실패였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wo major sport even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the Chosen shrine athletic meeting and Meiji shrine athletic meeting. This study assumes that the sport events were fields of “representation competition”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ized.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is study analyzes the goal of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the aspects, and the effects of the competition. Since its introduction, modern sport has been tightly intertwined with nationalism in Korea. T he sign ifican ce of modern sport f or e lite n ation alists i n colon ial Korea was composed of three basic elements: modernization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body, “hegemony competi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an “imagined community.” The Chosen shrine athletic meeting was created by the colonial rulers in Korea and was utilized for their campaign to the colonized people. Following the colonial government``s basic doctrine in the 1920s, at the opening ceremonies, Chosen was represented as a land of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s. But in the late 1930s, instead of the term “Chosen,” the term ”Japanese nation” was emphasized. The colon ized e lites d id n ot t ake part i n t he colon izer``s sport even ts i n the 1920s. However, after 1930, Korean players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sport events so as to win against the “Japanese players” and to advance to the “international stage.” In the late 1930s, “Chosen” could hardly be represented, as the Empire tightened its control over representation by the colonized. At the same time, unlike the Empire``s intention, the sport events could not represent “a well-integrated empire” because the colonized were continuing to view the events as a space for confro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척독 교본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성격 재고

        박해남 ( Hae Nam Park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척독 교본을 ‘근대적 글쓰기’의 한 예로 삼아 설명하였다. 하지만 근대 척독 교본의 경우 대부분은 ‘언문일치’ 등으로 대표되는 근대적 글쓰기와는 상관성이 약하고 오히려 전근대적인 한자(또는 한문)에 기댄 경우가 더 많았다. 겉으로 봐서는 편지의 유통을 촉진하는 등의 근대적인 성격을 가졌을 것 같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내용이나 표기 수단에 있어서 상당 부분을 전근대성에 기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척독 교본을 근대적 글쓰기의 증좌라고 단선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일차 결론이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신찬국문가뎡간독』이나 『신찬국문간독』의 경우로 보자면 다른 한편에서는 분명 한글로 된 편지의 보급을 강조한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척독 교본의 맥이 계속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건대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이후의 출판 상황으로 보자면 한문에 기반을 둔 척독 교본이 대세였다. 또한 중세적 산물이라는 척독 교본의 경우 근대 시기에도 방각본으로 출판이 된 것으로 보아 척독 교본만으로 중세와 근대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물론 출판의 형태나 내용에 있어서 일정 정도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중세의 대체품 또는 극복의 결과로 근대 척독 교본이 등장했다고 보기도 어렵다는 것이 또 하나의 결론이다. The modern letter textbook has been considered as a example of modern writing in many researches. However, modern letter textbooks not necessarily related with modern writing represented the ident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It was written by chinese letters not Hangeul. Active commercial publication of modern letter textbook mostly depended on premodern charac teristics in respects of content and means of writing. So, it is difficult that the modern letter textbook regards as a example of modern writing. Around the same time, many Hangeul letter textbooks were published also. It was so complicated situation in the course of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In a word, the publication of modern letter textbooks represented the change of letter culture. It was not replacement of medieval letter textbook but result of transfer to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근대 대학에서의 국학 전통 양상과 의미

        박해남 ( Hae Nam Park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3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해방된, 특히 대학이라는 연구 중심의 공간에서는 한동안 억눌렸던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였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실상은 그 기대에 부합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좌우의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인한 연구자들의 분산도 한 이유가 되겠지만, 근대 대학의 설립과 운영이 서양 학문의 수용에 초점을 맞춘 미 군정청의 교육 정책을 따라야만 했던 현실 정치적 상황이 더욱 결정적인 이유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도남 조윤제를 비롯한 개별 연구자들의 노력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과 같은 대학 소속 연구기관의 활동 등을 통해 국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흐름이 면면히 이어졌고, 이런 전통이 197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증대하는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ordinary, it is natural that the Korean studies have taken more active interests and research activity in spac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ontrary to public expectations, there were not much notable research results from traditional Korean studies in modern universities. This involved in the scattered scholars because of an ideology confrontation in some ways. But it was more critical that modern universities must complied with education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which based on Western studies. However, the stream of interests and research has continued on without ceasing until now due to a lot of effort of individual researcher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ese activities were assessed as a foundation of an explosion of interests and researches in the Korean studies starting in the 1970s.

      • 문화 연구와 담론 분석

        박해광(Park Hae-Kwa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의미와 상징을 둘러싼 실천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문화를 분석하는 핵심적인 접근법이다. 하지만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충분히 토론되지 않았고, 그 쟁점들도 명확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문화연구에서 담론 분석이 가지는 위상과 의의를 방법론적, 이론적 차원의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다양한 담론 분석의 방법론들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사회언어학적 접근과 화용론적 접근, 그리고 텍스트 분석을 살펴보았다. 담론 분석은 언어의 중립적 외양을 해체하고 권력과 지배가 작동하는 실천 장으로서의 담론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점에서 사회적 조건과의 연관을 보다 강하게 확인하면서 기존의 접근법을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여지를 탐색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판적 담론분석(CDA) 접근을 간략히 검토하면서 이 접근법이 가진 구성적 실천 개념의 허약성을 비판하였다. 구성적인 실천은 무매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정치적, 실천적 조건이라는 제약하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 구성적 실천을 언어의 다차원성 및 실천적 의식과 연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담론적 실천은 관습적인 것이 아니라 의미를 둘러싼 투쟁이라는 담론 투쟁의 개념으로 급진화될 필요가 있으며, 지배적 담론에 대한 거울상이 아니라 일탈 해독과 낯설게 하기를 활성화시키는 창조적 실천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discourse analysis in relation with cultural studies. While semiotic approaches have shown the weakness of dealing discourse as social practice, discourse analysis has been trying to make connections with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its social characteristics. Evaluating these studies, this study also raises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for further research. Methodologically I examine three approaches, sociolinguistic approach, speech act theory and text analysis, and try to raise issues for further study. First, I argue sociolinguistic approach should be expand to deal utterance as not only representation of social group but also the core containing power relation among social groups. Second, speech act theory, as a study on utterance and context should be redirect to analyse a social situation in which utterance and social context interplays. Third, though text analysis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ideology critique or analysis of narrative form,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it to analyzing textual transformation which content emerges into a certain form. In theoretical issues, consenting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I argues that the concept of practice should be treated as a symbolic struggle in a strong sense, where as the concept constructive as restricted in relation with soci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