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캐비티 온도센서를 이용한 최적 사출공정 제어

        박천수,강철민,Park, Cheon-Soo,Kang, Chul-Min 한국금형공학회 2008 한국금형공학회지 Vol.2 No.5

        Injection Molding is the most effective process for mass production of plastic parts.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composed with several steps such as Filling, Packing, Holding, Cooling, Ejecting. Among them, filling and packing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o improve accuracy of dimension, surface quality of plastic parts. Usually the quality above-mentioned is managed with weight of part after molding on the field. In this paper, a series of experiment for molding automotive front bumper was conducted with cavitity temperature sensor to optimize switch-over time(V-P switching), hot runner vale gate sequence time during filling and packing step for the purpose of uniform quality, weight at every mold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is effective method to use temperature sensor in injection molding for quality control of plastic molding.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위식도접합부 선암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천수 ( Cheon Soo Park ),김태환 ( Tae Hwan Kim ),김범수 ( Beom Su Kim ),김갑중 ( Kab Choong Kim ),오성태 ( Sung Tae Oh ),김병식 ( Byung Sik Kim ),육정환 ( Jeong Hwan Yook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목적 : 위식도접합부 선암의 수술적 치료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연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에서 위식도접합부 선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289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를 T 병기(AJCC, 6th,2001)에 따라 T1 이하인 군(T1, n=66) 과 T2이상인군 (T2-4, n=223)으로 나누어 각군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위식도접합부 선암으로 수술 받은 289명의 환자중T1(n=66)에서는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2-4(n=223)에서는 병리학적 표본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0.5 cm 이하인 경우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보였다. (p=0.009) 결론 : 위식도접합부 선암에서 조기 위암은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행성 위암에서는 병리학적 표본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를 최소한 0.5 cm이상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determine the length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for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GEJ).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the 28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adenocarcinoma of GEJ in our institution between Janury 2001 and December 2003. Result: The 28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adenocarcinoma of GEJ were divided on T stage, below T1 group(T1,n=66) and above T2 group(T2-4, n=223). We studied the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in adenocarcinoma of the GEJ on survival. In T1(n=66) group,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no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in adenocarcinoma of GEJ on survival. In T2-4(n=223) group,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on survival ; 0.5cm, 2.0cm, 3.0cm, 3.5cm, 4.0cm. Multivariate analysis show that only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on survival; 0.5cm (p=0.009, HR:2.232, 95% CI:1.218-4.091) Conclusion: We should be undergoing surgery for T2-4 gastric adenocarcinoma of GEJ with safely proximal resection margin; >0.5cm for survival improvement.

      • XML기반 가상문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구조적 문서의 표현과 처리

        박천수(Cheon-Shu Park),임동수(Dong-Soo Lim),박종현(Jong-Hyun Park),강민구(Min-Gu Kang),강지훈(Ji-Ho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가상문서는 웹 상에 존재하는 내용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링크를 이용해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문서를 지원하는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에서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 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구조적 의미를 갖는 데이터를 처리 가능 하도록 DTD의 표기법을 확장하였다. 또한, 저작도구에서 생성된 내포링크, 참조링크, 총칭링크 등 다양한 의미의 가상문서를 브라우징 가능하도록 문서 변환기에서 멀티미디어 구조적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Kwon, Min,Park, Cheon-Soo,Hahm, Young-Il,Ahn, Yong-J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3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a previous report, 50 potato cultivars were screened for infestation levels by the coppery click beetle (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in the field. Subsequently, we selected 10 potato cultivars (Anco, Atlantic, Bintje, Dejima, Denali, Jopung, Irish Cobbler, Namsuh, Shepody, and Superior) to evaluate feeding preferences by wireworms, and to analyze some factor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he injury rates and number of holes in potato tubers damaged by larvae of S. puncticollis were checked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dditionally, some of their chemical characters (contents of glycoalkaloids, total-nitrogen, Ca, K, Mg, sugars, and starch) were quantified. And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there is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damage level. The tuber injury rates by S. puncticollis larvae were generally high showing 19% to 73% of damage level. The highest number of tuber hole damaged by S. puncticollis larvae was found on cv. Namsuh, but generally fewer on cvs. Anco, Atlantic, Bintje, Denali and Superior. No activities for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nd $\alpha$-tomatine at a concentration of 2,500 ppm were found to S. puncticollis larvae. The contents of glycoalkaloids in tube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ultivars. In tubers, cv. Superior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18.8 mg%, but cv. Irish Cobbler had the lowest level of 6.39 mg%. Concentrations of reducing sugars and total free sugars in tubers of cv. Namsuh were 0.71 % and 2.95%, but 0.26% and 1.77% in those of cv. Dejima, respectively. For the content of potato starch, cvs. Bintje, Dejima and Irish Cobbler showed higher level, but cvs. Jopung and Shepody lower.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nitrogen, Ca, K and Mg in tuber were found on cvs. Anco, Atlantic, Anco and Jopung, respectively. From correlation analyses, injury rate by S. puncticollis larvae was correlated with total nitrogen content (r = -0.71435*) and total sugar content in tuber (r = 0.78018*). Such information will become essential in develop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and also in breeding new potato cultivars resistant to the wireworms.

      • KCI등재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의 생태적 특성 및 감자포장내 유충밀도 조사법

        권민,박천수,이승환,Kwon, Min,Park, Cheon-Soo,Lee, Seung-Hw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3 No.3

        청동방아벌레의 발생소장과 생태적 특성을 야외의 망실(6$\times$70m, 3개동)과 사육실($20^{\circ}C$, RH$75\%$, L16/DB)내에서 조사하였다. 월동성충은 5월 상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6월 하순 이후에는 성충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총 마리수에 대한 발생비율은 6월 상순과 5월 하순이 각각 $42.1\%,\;31.7\%$를 차지하여 이 시기에 대부분의 성충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은 6월 중순부터 시작하였고, 부화는 7월 상순에 시작하였다. 7월 중순에 용화가 시작되어 약 한 달 후인 8월 중순에 성충으로 우화하기 시작하였다. 난기는 23일, 용기는 21일이었으며, 성충의 산란전기는 약 10개월, 유충기는 약 30개월로 추정되었다. 유충은 토양깊이 10-15cm 사이에서 $56.8\%$ (1997)-$45.8\%$ (1998)가 분포하였다. 감자포장내 방아벌레 유충의 밀도조사를 위해 6가지 유인미끼(감자조각, 당근조각, 고구마조각, 통밀, 옥수수 알갱이, 밀가루 반죽)를 토양깊이 15 cm에 묻고 5일, 10일 후에 각 미끼별 유인된 마리수를 조사한 결과, 방아벌레 유충을 가장 많이 유인한 미끼재료는 감자조각으로 10일째 회수 시에 개당 평균 1.8마리가 조사되었고, 통밀, 고구마 조각이 각각 1.6, 1.4마리였다. 따라서 감자포장내의 방아벌레 유충의 밀도조사법으로, 파종을 위한 경운 전에 감자조각을 땅속 15cm 깊이에 묻고, 10일 후 회수하여 감자 조각에 유인된 유충의 마리 수를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The occurrence pattern and bionomics of 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were surveyed in three net house (6$\times$70m) in the field and in a laboratory ($20^{\circ}C$, RH$75\%$, L16/DB). Emergence of hibernated adults of S. puncricollis started from early May, reached peak at early June and diminished in late June. Occurrence rate to total number was $42.1\%$ in early June and $31.7\%$ in late May, when most of hibernated adults emerged at these periods. Adults started to oviposit from mid June, and eggs hatched from early July Larvae turned into pupae from mid July and emerged to adults from mid August. Egg-period was 23 days and pupal period was 21 days. It is estimated that preovipositional period and larval period were approximately 10 months and 30 months, respectively. Wireworms were distributed at the soil depth of 10-5 cm, $56.8\%$ in 1997 and $45.8\%$ in 1998. To establish bait techniques to attract wireworms in the soil, six baits: pieces of potato, carrot, and sweet potato, wheat grains, corns, and flour dough wrapped with gauze, were buried at 15 cm of soil depth, and collected after 5 and 10 days. The numbers of wireworms attracted by potato pieces, wheat grains and sweet potato pieces after 10 days were 1.8, 1.6, and 1.4/bait, respectively. Therefore, burying potato pieces at 15 cm of soil depth and collected after 10 days could be recommended as a wireworm baiting technique.

      • 희토광물계 비료의 시용이 스트로브잣나무와 곰솔의 내염성에 미치는 영향

        박종민 ( Chong Min Park ),박천수 ( Cheon Soo Park ),박우진 ( Woo Jin Park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oliar application of rare earth fertilizer on the salt tolerance of Pinus strobus and Pinus thunbergii. Towards this end, 170 days of cultivation was performed after irrigation treatment by NaCl concentration (5 levels) and treatment of rare-earth mineral fertilizer by concentration (4 levels) and the number of spr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oth Pinus strobus and Pinus thunbergii showed a tendency that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s, the final survival rate decreases, and Pinus thunbergii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survival rate compared to Pinus strobus. Pinus strobe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survival rate when treated once with rare-earth 1/2000 diluted solution, and Pinus thunbergii the greatest improvement in survival rate when treated twice with rare-earth 1/2000 diluted solution. In addition, the two tree species were found to show higher increase in survival rates at 200mM treatment section, the high concentrations of NaCl treated section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section, which is due to the effect of rare-earth fertilizer treatment. The relative growth rate of height and diameter was greater in 50 days after treatment than in 100 days after treatment, and the two species showed a higher relative growth rate in diameter than in height. The effect of rare-earth treatment on the proline content of the two species was not significant, but Pinus strobus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compared to Pinus thunbergii. In Pinus strobus, the result which leads to the estimatio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roline content and survival rate was found.

      • KCI등재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4. 우렁쉥이 육의 갈변 및 그 방지-

        이강호,조호성,김동수,홍병일,박천수,김민기,LEE Kang-Ho,CHO Ho-Sung,KIM Dong-Soo,HONG Byeong-Il,PARK Cheon-Soo,KIM Min-Gi 한국수산과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3

        최근 과잉생산단계에 이르고 생식이외의 소비방법이 없는 우렁쉥이는 봄부터 여름 사이에 집중적으로 대량출하되므로서 선도의 보존과 소비에 한계가 들어나고 있다. 또한 젓갈 등의 제품가공시에는 처리중에 일어나는 변색 즉 갈변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갈변의 원인을 밝히고, (2)그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반응요인, 그리고 (3)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방법 등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1. 우렁쉥이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액을 L-tyrosine과 catechol을 기질로 하여 polyphenol ox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L-tyrosine의 경우 육과 내장에서 20.6 및 63.5 unig/mg의 비활성도를 각각 나타냈으며 특히 내장의 경우가 육보다도 3배정도 높았다. 이 결과 보아 갈변의 주된 원인이 tyrosinase의 작용이 아닌가 추정된다. 2. 우렁쉥이 조효소액의 tyrosinase활성 최적 pH는 6.0, 최적온도는 $30^{\circ}C{\sim}35^{\circ}C$였으며, 열안정성은 $70^{\circ}C$에서 9분, $80^{\circ}C$에서 3분 그리고 $90^{\circ}C$와 $100^{\circ}C$에서 1분 처리로 완전히 실활하였다. 3. 효소활성 저해효과에 있어서 육의 경우 0.5mM의 농도에서는 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cystein, citric acid, cyanide 등이 효과가 있었고, 0.1mM의 농도에서 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cystein만이 유효하였다. 그러나 내장의 경우와 같이 효소활성이 클 때는 sodium bisulfite만이 tyrosinase활성을 저해했다. 4. 갈변방지를 위하여 산, buffer, sulfite, 기타 갈변억제처리 효과를 검토한 결과 0.2M citric acid에 5분, 또는 $0.2\%\;NaHSO_3$에 1분 침지한 것이 갈변방지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젓갈 등의 가공제품의 개발에 있어서도 유용한 전처리 방법이라 생각되었다. 또 $0.2\%\;NaHSO_3$에 1분 침지한 경우의 잔존 $SO_2$양은 100 ppm 이하였으며 $NaHSO_3$에 침지후 상온숙성의 경우는 약 30일 정도, 저온숙성의 경우는 50일까지 갈변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Browning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meat occurres very rapidly when skinned off or cut during processing and it resulted the quality loss of fresh frozen, dehydrated or fermented products. In this study, the causes of color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browning were experimented. The browning of ascidian meat may be occurred enzymatically by a tyrosinase contained in meat and viscera which acted specifically on L-tyrosine as a substrate rather than on catechol. Activity of the enzyme in viscera was three times higher than in meat.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n the tyrosinase activity of crude enzyme obtained from ascidian was 6.0 and $30{\sim}35^{\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inactivated heating at $80^{\circ}C$ for 3 minutes or $90{\sim}100^{\circ}C$ for 1 minute and it was inhibited by $0.1{\sim}0.5mM$ solutions at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cystein, citric acid, cyanide but only sodium hydrogen sulfite treatment was effective to retard such a high content of enzyme as in case of viscera. In practical use for processing of ascidian meat browning was retarded by dipping the viscera removed ascidian meat in 0.2M citric acid for 5 minutes or $0.2\%$ sodium hydrogen sulfite solution for 1 minute resulting in sulfur dioxide residue less than 100 p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