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착에 의한 AGS 및 Hep-G2 세포 표면 구조의 변화

        박동규 ( D. K. Park ),전훈재 ( H. J. Chun ),박재홍 ( J. H. Park ),박철희 ( C. H. Park ),진윤태 ( Y. T. Jeen ),이홍식 ( H. S. Lee ),이상우 ( S. W. Lee ),엄순호 ( S. H. Um ),최재현 ( J. H. Choi ),김창덕 ( C. D. Kim ),류호상 ( H. S. Ryu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최근 H. pylori 유착에 의한 세포 표면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지고 있으나 actin 의 변화여부 및 그 특성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Rho GTPase는 세포 표면의 미세돌기인 microvilli, filopodia 및 membrane ruffle의 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최근 AGS 세포에서 H. pylori가 Rac activation에 의하여 membrane ruffle을 형성한다는 것과 Rac

      • KCI우수등재

        Quadrupole Mass Spectrometer의 기체별 감도 특성

        신용현(Y. H. Shin),홍승수(S. S. Hong),이철로(C. R. Lee),임재영(J. Y. Leem),박재홍(J. H. Park),정광화(K. H. Chung) 한국진공학회(ASCT) 199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 No.1

        부분압 분석 장비의 감도 측정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분압측정기기로 많이 쓰이는 Quadrupole Mass Spectrometer의 N₂, O₂, Ar, CO, H₂에 대한 감도를 10^(-4)~10^(-8)torr 영역에서 측정하여 감도의 압력 의존성을 보고 검출 방식, Emission current, Secondary Electron Multiplier 전압 등이 감도에 미치는 영향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기체 종류에 따라서는 물론 사용조건에 따라서도 감도의 절대값 변화 및 압력 의존성 변화가 아주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Quardrupole Mass Spectrometer를 정량적인 측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감도 측정 및 특성조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The calibration system for partial pressure analyzer was designed and set up. Using this system, the linearity of two commercial Quardrupole Mass Spectrometer and the influence of operating parameter (emission current, detection mode, SEM voltage) on the sensitivity has been investigated over the pressure range of 10^(-4)~10^(-8) torr for N₂, O₂, Ar, CO and H₂ gases. Sensitivities of Quadrupole mass spectrometers were greatly influenced not only by gas species but also by operating parameters. Thus for all the quantitive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and calibrat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carefully.

      • KCI우수등재

        고진공 영역의 진공게이지 특성연구

        홍승수(S.S. Hong),신용현(Y.H. Shin),임재영(J.Y. Leem),박재홍(J.H. Park),이철로(C.R. Lee),정광화(K.H. Chung) 한국진공학회(ASCT) 199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 No.1

        당 연구실에서 개발 제작된 동적교정방법을 이용한 고진공표준기를 사용하여 10^(-6)~10^(-3) torr 영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spinning rotor gauge와 열음극 전리 진공게이지들의 특성을 상품화되어 사용되는 방법대로 측정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게이지들의 직선성, 단기간(15일)에 행해진 반복측정에서의 scattering을 조사하였고 또한 N₂, CO, He, H₂, O₂, Ar 가스에 대한 감도와 압력을 올릴 때와 내릴 때의 hysteresis를 조사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spinning rotor gauges and hot cathode ionization gauges, most widely used HV to UHV gauges, were studied in the pressure range of 10^(-6)~10^(-3) torr. The linearities and data scatterings in the time period of 15 days were investigated and also the sensitivities and the hysteresis in the up-down measurements in the N₂, CO, He, H₂, O₂, Ar gases.

      • KCI등재

        산삼 배양액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 능력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신오식,류경선,Park J. H.,Shin O. S.,Ryu K.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4

        The wild ginseng culture by-products(WGCB) was added to the laying hens diets. A total of 420 Lohmann Brown laying hens were alloted to five levels of drinking water containing WGCB 0, 0.4, 0.8 1.6, $3.2\%$with seven replications and fed com-soybean meal based diets contained ME 2,800 kcal/kg, CP $16\%$.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egg yolk fatty acid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were measured. Egg Production and daily e99 mass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in birds fed the WGCB $3.2\%$ compared with no WGCB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in other treatments. Feed efficiency of birds fed $0.4\%$ WGCB showed the lowest of all treatments(p<0.05). Eggshell thickness was increased(p<0.05) by WGCB supplementation, whereas eggshell breaking strength, haugh unit and yolk color index were not affected. No significant change in yolk fatty acids and cholesterol were observed by the addition of WGCB. 본 연구는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삼 부정근을 배양하고 폐기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및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19주령 로만 브라운 산란계 420수를 공시하여 산란율 $5\%$ 시기부터 8주 동안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산삼 배양액은 음수로 급여하였으며, 0, 0.4, 0.8, 1.6, $3.2\%$ 수준으로 5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을 비슷하게 배치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로 모든 처리구의 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산란율과 산란량은 산삼배양액을 $1.6\%$ 수준까지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3.2\%$ 급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3.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난중과 사료섭취량은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난각 강도, 난백고, 하우유닛 및 난황 색도는 처리구 상호간 통계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산삼 배양액 급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한편,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 산삼배양액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황내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사료내 비태인과 에너지 수준이 산란계의 간지방과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박수영,류경선,Park J. H.,Park S. Y.,Ryu K.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비태인의 급여가 산란계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혈액의 성상, 복강지방과 간 지방 함량,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 조직내 중성 지방 함량 그리고 간 조직의 HMG-CoA reductase activity를 조사하기 위하여 2차례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18주령 ISA-Brown 산란계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18수씩 총 72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CP $16\%$, ME 2,800kcal/kg의 기초사료에 비태인 0, 300, 600, 1,200ppm 수준으로 첨가$\cdot$급여하였다. 시험 2에서는 70주령 ISA-Brown 산란계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18수씩 총 72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사료내 에너지 2수준(2,800, 2,900kcal/kg)과 비태인 2수준(0, 600ppm)으로 $2\times2$ 요인분석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비태인 600, 1,200ppm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태인 300ppm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중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그리고 중성지방 함량은 비태인의 첨가 수준에 따라서 그 수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시험 1). 에너지 수준(2,800kcal/kg, 2,900kcal/kg)에 따른 비태인의 첨가 효과를 조사한 결과, 혈중 total cholesterol, LDL 및 중성 지방 함량은 에너지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비태인 600ppm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사료내 에너지와 비태인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시험 2).총2회의 시험에서 생체중에 대한 복강지방의 비율$(\%)$은 일관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간의 총지질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비태인 1,200ppm 급여구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의 중성 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비태인 급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한편,간 조직의 HMG-CoA환원 효소의 활성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etaine intake on blood and yolk cholesterol, abdominal fat, liver fat, tissue triglyceride(TG) and liver HMG-CoA reductase In laying hens. In Expt. 1, a total of 72 ISA-brown laying hens were individually assigned into four treatments from 18 to 21 weeks old. Com-soybean meal based diet were fed with the addition of 0, 300, 600 and 1,200ppm. In Expt. 2, 72 ISA-brown laying hens were housed into individual cage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betaine(0, 600ppm) and energy(ME, 2,800, 2,900kca/kg) from 70 to 74 weeks. Serum total cholesterol, LDL and HDL-cholesterol and TG concentration in blood of hens fed betaine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betaine supplemen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yolk cholesterol(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dominal fat among the treatments. Liver fats and 7c of birds 130 betain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eased by ffeding a diet containing 600ppm betaine in Expt. 2(P<0.05), but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energy levels. Yolk cholesterol, abdominal fat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were affected neither by dietary energy nor betaine level.

      • KCI등재

        사료내 비태인과 단백질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 능력, 혈액의 조성, 복강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박수영,류경선,Park J. H.,Park S. Y.,Ryu K.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산란계 사료내 비태인의 첨가가 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라 산란계의 생산성, 난 품질, 혈액 성상, 복강 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18주령 ISA-Brown산란계 432수를 이용하여 2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조단백질(14.5, $16.5\%$)과 비태인(0, 600ppm)을 각각 다른 수준으로 급여하여 $2\times2$ 요인분석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대사 에너지 수준이 2,800kcal/kg, methionine과 lysine, cysteine의 수준은 단백질 수준에 비례하도록 배합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사료 섭취 량과 계란 품질은 4주마다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시 복강지방과 간을 채취하였으며, 혈액중의 총단백질과 알부민, 요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단백질 $16.5\%$ 처리구가 $14.5\%$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비태인 급여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중은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산란량 또한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도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 두께, 호유닛은 비태인 첨가로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의 total protein과 albumin 함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uric acid는 사료내 단백질 수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비태인 급여 수준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복강지방 함량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의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단백질 수준$(16.5\%)$ 또는 비태인(600ppm) 첨가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14.5\%$ 처리구에서는 비태인을 첨가함으로써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본 시험 결과, 비태인은 산란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며, 복강 지방을 감소시키고, 저단백질 사료에서 간의 아미노산 함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betaine and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internal e99 Qualify, blood composition, abdominal fat and liver amino acid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A total of 432 ISA-Brown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s with six replications for twenty few weeks. Treatments were factorially designed with two levels of crude protein(14.5 and $16.5\%$) and two levels of betaine(0 and 600ppm). The egg production was increased by feeding $16.5\%$ protein-fed group compared to that of $14.5\%$ protein-fed groups(P<0.05), but was different from betaine supplementation. Increasing protein and betaine supplementation to diets improved egg weight, egg mass and fred conversion(P<0.05). Eggshell breaking strength, thickness and Haugh unit were not influenced by either dietary betaine or protein levels. Dietary betaine did not affect serum total protein, albumin and uric acid concentration, whereas uric acid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16.5\%$ protein-fed groups(P<0.05). The deposition of abdominal fat was lower in 600ppm betaine groups compared to those fed on 0ppm betaine groups(P<0.05). Concentration of the most hepatic amino acids were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s and betaine supplementation. There were synergistic effect between dietary protein and betai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etary betaine can improve the egg weight, mass, feed conversion and decrease the abdominal fat, but increase the hepatic amino acid contents.

      • KCI등재후보

        비태인이 산란계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류경선,Park, J.H.,Ryu, K.S.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1

        비태인이 산란계의 면역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와 in vivo 시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당 18수씩 총 72수를 공시하였고, 비태인 0, 300, 600, 1,200 ppm 수준으로 산란계 사료에 첨가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in vitro 시험에서 비장 림프구 증식은 비태인 만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증식 반응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Con A와 PWM을 처리하였을 때 증식 반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Con A만을 처리했을 때보다 Con A와 비태인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 반응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WM과 비태인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는 PWM만을 처리했을 때와 비교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에 비태인을 첨가 급여한 in vivo시험에서 Con A의 자극에 대한 비장 림프구 증식반응은 비태인의 첨가 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200 ppm 급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Con A와 함께 비태인(0.1 mM)을 처리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PWM의 자극에 대한 반응은 Con A에 비하여 약하게 나타났으며 비태인 급여 수준에 따른 차이도 적게 나타났다. 비태인을 급여한 산란계 비장의 무게에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비태인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비태인 300 ppm 첨가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비태인을 수준별로 급여하여 SRBC 항체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 비태인의 처리는 in vivo 상에서 Con A로 비장 림프구의 증식을 유도한 경우 유의하게 비장 림프구의 증식을 증가시켰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taine on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A total of 72 ISA-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18 hens each and fed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with addition of 0, 300, 600 and 1,200 ppm betaine for four weeks. The effect of betaine on splenocyte proliferations with mitogens, concanavalin A(Con A) and pokeweed mitogen(PWM), were assayed after incubation using [3H] thymidine uptake. Proliferations of splenocyt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ctivation of mitogen Con A or PWM. Mitogen effects of Con A were increased by Con A plus betaine injection(0.1 mM), whereas PWM effects did not affect in PWM plus betaine injection(0.1 mM) in vitro. Splenocyte of laying hens fed betaine tended to proliferate in the presence of PWM, but appeared to be slightly suppressed in the presence of Con A in vivo.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hich were stimulated by Con A or Con A+betaine injection(0.1 mM) were increased in dietary 600 ppm betaine, but inhibited in dietary 1,200 ppm betaine supplementation. Spleen weights and sheep red blood cell(SRBC) titers of hens fed betaine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taine could increase splenocyte proliferation in vitro.

      • KCI등재

        육용종계 사료에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첨가가 생산능력, 혈액의 성상 및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강창원,류경선,Park J.H.,Kang C.W.,Ryu K.S.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이 연구는 시호의 첨가가 육용종계의 생산성, 혈액의 성상,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8주간 실시하였다. 총 800수의 20주령 육용종계를 4개 처리구에 각각 200수씩 배치하였고, 시호는 사료에 0, 0.5, 0.1, 0.2%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기초사료의 영양소 함량은 육성기와 산란기로 구분하여 각각 CP 15.0%, ME 2,900 kcal/kg 수준과 CP 17.5%, ME 2,800 kcal/kg 수준으로 하였다. 시호를 육성후기에($20{\sim}24$주) 급여하여 육용종계의 증체량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산란초기($24{\sim}28$주)의 산란율과 산란량은 시호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시호의 첨가에 따른 육용종계의 혈중 변화를 관찰한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시호 2.0% 급여구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와는 다르게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서는 시호의 급여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혈중 헤마토크릿, 포도당, 칼슘, 인 및 마그네슘 농도에서 시호의 첨가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혈중 총 단백질과 알부민 함량 또한 시호 급여에 따른 변동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알부민/글로불린 비율은 시호 급여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5). 혈중 GGT, AST, ALT 및 BUN 농도에서도 시호 급여구와 대조구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8주령 육용종계의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는 시호 급여구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그 중 시호 0.5% 급여구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IGF-I 농도는 시호 급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 연구의 결과 육용종계 사료에 시호의 첨가는 생산능력을 개선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A/G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에스트로겐과 IGF-I 분비를 증가시켰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Bupleurum falcatum L.(BFL) 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 and hormonal secretion in broiler breeder hens. A total of 800 broiler breeder hens were allotted to four treatments(BFL ; 0, 0.5, 1.0, 2.0%) with four replications for eight week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n growing period($20{\sim}24$ weeks), but egg production and egg mass of broiler breeder hens fed BFL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in laying period($24{\sim}28$ weeks). Dietary BFL did not affect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hereas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in 2.0% BFL-fed group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serum glucose, Ca, P, Mg, total protein, albumin, GGT, AST, ALT and BUN concentrations. However, albumin/globulin ratio was statistically higher in BFL-f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p<0.05). Serum estroge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feeding a diet containing 0.5% BFL, but progesterone were not influenced. Serum IGF-I of BFL groups was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at 28 weeks(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BFL into broiler breeder diets improved egg production, serum estrogen and IGF-I concentration, and decrease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albumin/globulin ratio.

      • KCI등재

        Effects of Feeding Betaine on Performance and Blood Hormone in Laying Hens

        박재홍,강창원,류경선,Park, J.H.,Kang, C.W.,Ryu, K.S.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4

        이 연구는 산란계 사료에 비태인의 첨가가 산란율, 에스트라다이올, 프로제스테론, 멜라토닌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사양 실험은 산란 피크에 도달한 35주령 이사브라운 72수를 개체별 케이지에 배치하여 CP 16%, ME 2,800 kcal/kg의 기초 사료에 비태인을 0, 300, 600, 1,200 ppm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다. 비태인 첨가구에서 난중과 1일 산란양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산란율에서 일관성은 없었다. 혈청의 에스트라다이올은 비태인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p<0.05). 혈청내 프로제스테론은 처리 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멜라토닌은 비태인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산란계 사료에 비태인의 첨가로 1일 산란양, 난중이 증가하였으며, 혈청내 에스트라다이올과 멜라토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betaine on egg production, estradiol, progesterone, and melatonin secretion in laying hens. Seventy two ISA-Brown laying hens were placed into individual cage and fed four different levels of betaine (0, 300, 600, 1,200 ppm) in diets for four weeks. Basal diets were mainly mixed with corn-soybean and contained 2,800 kcal/kg ME and 16% CP.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in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egg weight and daily eggmass than controls, but did not have consistent influence on the egg production. The serum estradio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betaine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0.05). No significant changes in serum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y the addition of betaine in diets. Serum melatonin concentrations also increased with betaine supplementation in diets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etary betaine may contribute to increase daily eggmass, serum estradiol and melatonin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