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세대의 패션의식에 따른 상표 포지셔닝 연구

        박은순(Eun Soon Park),이은경(Eun Kyung Lee) 한국복식학회 1999 服飾 Vol.44 No.-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classify the new generation by the consciousness of fashion and to make out positioning map, for brands of which each of the classified groups were aware. It`s also intended to show a strategic brand marketing strategy by comparing the attributes t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atheres into stratified sample groups from women whose age were ranged from 18 to 24 in Taejon. The subject brands of this study were Nice Claup, Y`sb. SYSTEM. i.n.v.u. On & On, EnC, ZOOC and Tomboy, which were selected because of high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new generation was grouped into a individuality-oriented group and an utility-oriented group. 2. As a result of analyzing brand image similarity, it`s found that each group perceived the similarity differently. The individuality-oriented group perceived brand differentially more than the utility-oriented group. 3. Concerning brand image preference, the individuality-oriented group preferred EnC most in light of self-expression and fashion, and preferred ZOOC most in view of utility. What was most preferred by the utility-oriented group was EnC in view of fashion and quality and ZOOC in the aspect of fashion, quality, price and design. 4.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at brand image attributes, both of the groups showed satisfaction at On & On and Y`sb in light of self-expression. The individuality-oriented group was contented with SYSTEM`s price and Nice Claup`s utility and quality.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s`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monthly mean inco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繪畵를 통한 疏通: 새로운 맥락으로 보는 韓日繪.交流(1) -일본 다이묘(大名)가 소장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의 다이묘가에서 오래 전래된 작품들인 동시에 회화 사적으로 볼 때 조선시대 회화사의 논의에서 기준작으로 거론될 만한 의미를 가진 작품들을 선정하여 일본에 전래된 경위와 제작시기, 작품 자체의 화풍과 회화사적 의의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17세기 중엽 경 조선국왕이 일본에 선사한 한 쌍의 영모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모리가의 세 폭 산수화와 두 폭의 영모화, 깃가와가에 전래된 이정의 <용호도> 두 폭, 마에다가에 전래된 최명룡의 <하경산수화>, 조선국왕이 선사한 원체 <춘일송록도>와 <추월죽학도> 등은 작품이 규모가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크고, 제작한 화가가 당대 최고의 화가로서 작품의 수준이 높으며, 그 제작시기와 전래경위가 분명하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그간 한국 회화사에서 주요하게 거론되지 못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본고를 작성하여 한국회화 연구에 새롭고 의미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을 소장하였던 일본의 다이묘가는 일본의 다이묘가 중에서도 대표적인 가문들이었다. 세 가문 모두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하였고, 조선에 대한 관심과 취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때로는 조선에서 작품을 직접 가지고 갔거나, 조선 미술품을 수집하는 등 조선과 관련되어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본고에서 다룬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서 일본에 전래된 많은 중요한 작품들을 재고하고 한국회화의 논의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많은 조선 회화가 17세기 이후 통신사와 관련하여 건너가거나 제작된 작품들이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숫자의 작품들이 그 이전, 즉 임진왜란 즈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빠른 시기에 다양한 교섭통로를 통해서 일본에 건너간 작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한국의 도자기와 불교미술품, 회화에 관심이 높았던 일본인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또한 임진왜란 중에 많은 문화재를 일본에 반출하였다. 17세기 이후 진행된 통신사를 통한 교류과정에서도 많은 작품들이 상호합의 하에 선사, 교환되었다. 일본에 소재한 조선 회화에 대해서는 이처럼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소장경위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면서 접근하여야 하며, 때로는 일본에서 유통된 적지 않은 조선작품의 국적이 한국이라는 사실을 모른 경우도 있었다는 일본측의 시각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일본 소재 조선 그림의 전래경위 및 일본에서의 위상, 회화사적 의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일본 소재 한국회화의 반환 문제 및 활용방안을 모색할 때에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In this article several paintings considered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owned by daimyo families in Japan, will be discussed in their historical context. An account will be given of their introduction to Japan and their significance in Korean art history. The following paintings achieve a high standard, are well preserved, and have critical meaning in Korean art history that has not been acknowledged; “Four Season Landscape”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Mori family, “Dragon & Tiger”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Kitkawa family, Choe Myoungryong`s “Summer Landscape”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owned by Maeda family, and lastly, “Animal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presented to Japan by the king of Joseon dynas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accounts for imported Korean paintings in Japan and lay the ground work for a restitution and utilization. In addition, the significant paintings, previously unknown in Korean art history, will be excavated providing further insight on current academic debates. These distinguished daimyo families possessing the paintings ha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Joseon dynasty. They shared a common connection with Joseon, for instance, sending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having taste and interest in the Korean art, and occasionally purchasing products and collecting Korean art works. It is evidenced through these instances that many Korean paintings in Japan were imported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r conveyed by Korean envoys sent to Japan, through both an official and private exchanges. As discussed above, identifying the history of transmission, the date of paintings, and their art-historical importance of Korean paintings in Japan will be carefully considered in seeking ways of restitution and utilization afterward.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재(恭齋) 尹斗緖의 화학(畵學)과 유화(儒畵)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恭齋 尹斗緖(1668-1715)는 조선 후기 화단의 다양한 경향을 선도한 선구적인 선비화가이다. 그는 선비로서 시대와 국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지닌 채 학문과 사상을 담은 회화 예술을 창조하였다. 선비로서의 의식과 실천이 회화의 주제와 수준, 내용, 양식을 전반적으로 진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윤두서가 추구한 선비화가로서의 역할, 이를 토대로 형성된 새로운 성격의 선비그림, 儒畵의 대두를 통하여 조선 후기 화단은 크게 변화, 발전할 수 있었다. 그가 시도한 새롭고 다양한 주제의 모색, 화보와 판화 등 새로운 매체의 활용, 선비의 이상과 격조를 담아낸 남종화와 시의도를 새롭게 시도한 점, 사실적인 정신과 수법을 담은 영정, 풍속화 및 정물화 등의 개척, 회화의 수장과 감평의 선호, 화론의 저술, 새로운 서예와 전각의 추구 등 다방면에서의 활약은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자극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윤두서의 회화를 寫意와 寫實이라는 두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사의란 윤두서가 유학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추구한 尙古的古學과 관련된 분야로서 詩書畵三絶의 추구, 南宗畵및 詩意圖등을 통해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실은 博學과 西學등 새로운 학문적, 사상적 경향과 관련된 분야로서 影幀과 風俗畵, 靜物畵, 사실적 動物畵등에서 그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서학을 토대로 이루어진 과학적 응시라는 새로운 인식과 관찰 및 사생이라는 새로운 회화 방법론은 유학의 형이상학적 논의를 극복하려는 문제의식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조선후기 회화가 이전과 다른 새로운 경지로 변화하였다고 할 때, 그 출발점에 서 있던 선비화가 윤두서의 역할과 공로는 충분히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Yun Duseo(1668-1715), a seonbi painter was ahead of the various new trends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He could create a new level and concept of paintings through new knowledge and thinking. He groped for new themes of paintings, painting manual and prints as new methodologies for paintings, and introduced new genres of Southern school painting and painting based on poetry. And he opened up the realistic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and still life, developed painting collecting, painting criticism, and painting theory, and started new calligraphic style and art of seal making. He could resulted in the new development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tudy, Yun Duseo’s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one is ‘sayui 寫意’ and the other is ‘sasil 寫實’. ‘Sayui 寫意’ is related with Yun Duseo’s classical studies focused on the reactionary Confucianism. Through reactionary studies, he tried to set up a new cannon in the field of painting. He suggested a new emphasis on Three Excellence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introduced new trends of Southern school of painting and paintings based on poetry. ‘Sasil’ is specially related with Yun’s extensiv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e field of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still life etc., Yun’s new knowledge was adapted successfully. Yun Duseo is a pioneer who set up a new vision of seonbi painting, that is ‘yuhwa儒畵’. The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broke a new ground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And the pioneer, Yun Duseo’s role and achievements can not be praised too mu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