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랑이란?- 바타이유와 레비나스의 에로스 개념을 중심으로

        박유정(Yu-jeong,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이 글은 성적 에로스를 포함한 사랑의 담론을 통해 사랑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사랑의 담론 중 바타이유와 레비마스의 논의가 실제적이면서도 철학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생각되었고, 그리하여 이를 고찰함으로써 사랑의 본질에 대해 나름의 결론에 이르기를 바랐다. 바타이유는 성적 에로스의 사랑을 에로티즘으로 규정하고, 그것이 인간본질을 형성한다고 했다. 노동과 의식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형성한 인간은, 다른 한편 그것으로 금기를 만듦으로써 스스로를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에로티즘은 폭력과 죽음의 양상을 띠지만 그러한 절대의 순간에 불연속적인 개체에게 혼미가 전혀 없는 연속성을 감지하게 하는 내적 체험을 선사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은 종교체험에 육박하는 존재의 진리를 포착할 수 있다고 한다. 반면에 레비나스는 에로스를 사귐의 한 양상으로 본다. 사귐을 통해서 인간은 존재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의미를 생산하고 참된 주체인 윤리적 주체로 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귐의 한 양상 중에서 남녀의 에로스적 사랑은 숨고 감추는 것을 본질로 하는 여성성을 만나고, 그러한 여성성의 타자성을 수용하는 데서 성립하는 둘로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타자성과의 만남은 결국 출산성을 통해서 아이의 얼굴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무한한 미래를 향해 나의 유한성을 구원할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것이다. 요컨대 성과 그 에로스에서 성립하는 사랑은 인간에게 금기시되어야 할 부정적인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겉으로 보기에 폭력과 죽음의 형태를 띠지만 그것을 통해 불연속적인 존재에게 연속성으로의 내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타자를 만나고 환대하며 책임을 지는 윤리적 행위를 통해 의미를 생산하고 미래를 열어 주어 인간의 유한성을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ursues to think about the essence of Love through the discourse of Love containing the erotic and sexual love. G. Bataille and E. Levinas give us excellent discourses, investigating these discourses we want to arrive at certain conclusion. According to G. Bataille sexual love gives human “Erotism”, which makes him to be human the same that Labor and Consciousness. Erotism has a form of Violence an Death, but through this it can give a man a kind of true experience about Life such as Religious Experience. On the other hands, E. Levinas regards Eros as a form of “Sociality.” According to him, through sociality a man is free from Anxiety of Being and can produce meanings, finally become a true Subject as a ethical Subject. Eros as a form of Sociality is the process of Receiving about the Other who has the essence in self-hiding, that is “the Feminine”. This Eros eventually leads a man to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from the limit of human, Death. To conclude, we arrive at a conclusion that Eros is not only the negativity of human life, but also gives a man true experience of life and lead to the possibility to overcome his limits.

      • KCI등재

        책봉호 및 압번사 명칭 변화를 통해 살펴본 8세기 渤海-唐 관계

        박유정(Yu Jeong Park)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3 중앙사론 Vol.- No.60

        본고는 8세기 渤海-唐 관계의 변화를 발해 왕이 받은 冊封號와 발해를 담당한 唐押蕃使의 명칭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발해는 713년 당과 외교 관계를 맺었는데 이때 高王大祚榮이 渤海郡王으로 처음 책봉되었다. 발해가 당으로 부터 받은 책봉호는 발해 초기 대외관계 시작의 기반이 되었다. 720년대 발해의 대일본 사신 파견 관련 기록에서 발해 무왕의 책봉호가 비교적 정확히 확인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당과 발해의 관계는 책봉호에 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당 玄宗이 발해 武王에게 보낸 勅書 4首에서 책봉호가 계속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발해 文王이 渤海國王으로 진봉된 것 역시 안사의 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해는 당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견지한 결과로 보인다. 안사의 난 이후 平盧淄靑節度使가 押新羅渤海兩蕃使를 겸직하며 발해와 신라를 관할하였다. 다만, 이는 8세기 전반 묘지명에서 등주자사가 신라와 발해에 관한 사무를 겸직한 사례에서 드러나듯 평로치청절도사가 신라·발해 사신의 入唐경로인 등주가 포함된 치청 지역의 최고 책임자였기에 겸직하였던 것이었다. 한편, 押新羅渤海兩蕃使는 거란·해를 담당하던 押奚契丹兩蕃使와 달리 변경 지역 지배를 의미하는 ‘經略’이라는 표현이 함께 드러나는 경우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당은 더 이상 발해를 ‘경략’의 대상으로 인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즉, 안사의 난 이후 발해는 당나라에게 방어나 전쟁의 대상이 아닌 외교·교역의 대상으로 변화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and the Tang Dynasty in the 8th century through the change in the name of appointment title and Apbeonsa. Balhae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Tang in 713, when the King Go was first appointed as Balhae-Gunwang. The appointment title of Balhae received from Tang served as the basis for the beginning of diplomatic relations in the early days of Balhae. This is evidenced by Balhae's record of dispatching diplomatic envoys to Japan in the 720s. It seem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Balhae was reflected in the appointment title. This can be guessed from the continuous change in Balhae King Mu’s appointment title. The fact that King Mun of Balhae was promoted to Balhae-Gukwang also seems to be the result of maintain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Tang Dynasty during the An-Shi rebellion. After the An-Shi rebellion, Pyeongno-Chicheong-Jeoldosa also served as the Ap-Silla-Balhae-Yangbeonsa. However, as revealed in the memorial inscription of Deungju-Jasa in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Pyeongno-Chicheong-Jeoldosa, the chief officer of the Chichung region, which includes Deungju, the route for envoys from Silla and Balhae to the Tang Dynasty, also served as the Ap-Silla-Balhae-Yangbeonsa.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p-Hae-Georan-Yangbeonsa, which was in charge of the Khitan and the Xi, the expression “Gyeongnyak”, which means domination of the border area, is not revealed at the same time, indicating that the Tang Dynasty no longer recognized Balhae as the object of “Gyeongnyak”. In other words, Balhae was changed to a target of diplomacy and trade, not a target of defense or war, for the Tang Dynasty after the An-Shi rebellion.

      • KCI등재후보

        논리학을 이용한 토론수업 사례 연구

        박유정(Yu-jeong, Park)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지식융합연구 Vol.3 No.2

        이 글은 논리학을 이용하여 토론수업을 시도하였던 강의 경험을 사례연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서구의 학문전통은 논리학을 대학의 기초학문으로서 토론의 기술로 가르쳐 왔다면 오늘날 논리학은 일반적인 추론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법론 으로서 PSAT시험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논리학이 단순한 추론능력 배양을 위한 방법론을 넘어 학문의 기초가 되는 토론 기술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논리학을 이용한 토론수업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수업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우선 강의의 기본 틀, 즉 그 기본 프레임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논리학의 논리규칙을 학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규칙을 활용하여 토론을 하는 것이다. 전자는 PSAT시험에서 활용되는 논증을 중심으로 한 논리학을 학습하 는데, 논증의 이해, 연역논증, 귀납논증, 오류추리로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추론 능력을 배양하기 쉽도록 하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함축을 보충하는 형태로 짜여져 있다. 그리고 후자인 토론수업은 네 번의 퀴즈와 두 번의 토론으로 구성했다. 즉 토론은 각각 중간시험 즈음과 기말시험 2주 전으로 하고, 각각의 토론을 위해 두 번의 퀴즈를 치며, 이에 따라 첫 번째 토론은 논증의 이해와 그 구조도를 그릴 것을 요구하고, 두 번째 토론은 주제논증을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으로 표현 하고 그 진리표를 그릴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특히 퀴즈는 조별로 치름으로써 학생들이 상부상조하여 멘토링 효과가 발생했고, 토론은 대주제를 학생들과 의논하여 정하고 찬반이 5:5정도 나오도록 교수가 유도하였다. 토론은 논리적 요구사항을 포함한 2-3장의 피피티를 이틀 전에 올림으로써 다른 조의 논의를 숙지한 가운데 토론을 선도할수록, 발언을 이해하기 쉽게 말할수록, 구체적인 사례조사가 충실 할수록, 조원이 골고루 발언할수록 좋은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채점하였다. 토론 후에는 10분 휴식 후 교수가 틀린 발언이나 피피티 등을 코멘트 하고, 각 조가 토론에 대한 프로토콜을 작성하여 제출함으로써 수업을 끝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an example of debate class using Logics. Western traditional scholarship regarded Logics as skill to proceed to universal scholarship, so Logics was taught in the connection with debating skill. In this context we would like to make debate class using Logics which is transformed by PSAT test because PSAT test is effective and comfortable to improve our logical inference ability. At first our debate class using Logics is consist of two parts, one is to study logical rules and the other is to debate each other using logical rules. the first is composed of “understanding arguments”, “deductive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false reasoning”, the second as debating class is performed two times as long as two times test about logical rules is taken before every debating class. Especially Test about logical rules should be taken in groups because group studying makes students to be mentors and is so effective to understand difficult logical rules. And professor proposes main arguments such as “AI is fortune or disaster?”, makes students to choose them, and asks them to road up their main arguments into E-class before debate class.

      • KCI등재후보

        현대사회의 인성, 희망은 있는가? : 칸트와 하이데거를 통한 해법 찾기

        박유정 ( Yu-jeong Park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현대사회의 인성이 갖는 문제를 논하기 위해 칸트의 윤리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사회의 인성은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샤일록처럼 강퍅하고 잔인하며 거짓을 일삼는 쪽으로 타락하고 있다. 그런데 칸트 윤리학의 인격개념을 받아들인다면 이러한 현대의 인성이 변화되도록 도울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칸트에서 도덕적 행위는 도덕법칙에 따르는 선의지를 가진 인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선(善)은 자연적 경향성을 극복하고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에서 의무를 행하는 인격에 의해서 산출되고, 그러한 인격은 우리가 지향해야 할 본래적 도덕성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인성은 칸트의 인격 윤리학을 수용할 수 없을 만큼 너무 타락해있다. 그래서 이러한 인성타락을 야기하는 존재론적 구조, 즉 기초존재론을 검토해야 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기초존재론은 모든 존재론이 발원하는 근원이고, 거기서 인간은 어떤 기분에 처해서 이해하고 말하는 ‘존재론적 기분’을 드러낸다. 특히나 현대의 기초존재론에서는 자본의와 과학기술이 가져온 기술 존재론이 지배하고 있다. 그것은 존재를 표상하고 대상화하여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내도록 인간을 몰아세우고, 거기서 인간은 일종의 신경증(우울과 피로)을 느끼는 존재론적 기분을 드러낸다. 이러한 존재론적 기분 속에서 인간은 더 이상 칸트적 의미의 인격적 행위를 지향할 수 없는 존재론적 상황에 처해진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대의 존재론적 기분은 칸트 윤리학이 제시하는 인격 개념을 수용할 수 있는 기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전환의 논리 혹은 그 방법론이 강구되어야 하고, 만약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현대의 인성타락은 급기야 미래의 인격파괴의 황야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우려를 감출 수 없다. This paper pursues to investigate Kant``s ethics and Heidegger``s hermeneutics in order to discuss Humanity problem in modern society. In modern society humanity gradually degrades, so we can often suffer events caused by humanity degradation. If we accepts the concept of Person in Kant``s ethics, it will help to change humanity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Kant, moral conduct is performed by a person with a good will which followed to moral law. So the good is produced by the person who conducts with respect for moral law with overcoming inclination. By the way, modern society can``t accept the concept of person in Kant``s ethics because humanity in modern society degrades so much. So we should investigate ontological horizon which produce humanity degradation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Heidegger, we understand and speak in ontological feeling of fundamental ontology. But ontological feeling in modern society shows us a kind of neurosis(melancholy and fatigue) because fundamental ontology drive us to produce more and more products in capitalism and technology. To conclude, we should transform our ontological feeling to accept the concept of person in Kant``s ethics. If we do that, I think that humanity in modern society can stop to degrade and change it``s feature in near future.

      • KCI등재

        다문화,언어적 배경을 지닌 아동들의 부적절한 특수교육 의뢰 감소를 위한 다면적 관점 고찰

        박유정 ( Yu Jeong Park ),( Clara Lee Brow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생들이 보이는 학습 및 행동 적응 문제 등에 대한 교사들 및 관련 교육자들의 이해 부족으로 학생들을 특수교육 대상자로 판별하거나(과잉판별) 혹은 특수교육 대상에서 제외시키는(과소판별) 등의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다문화·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특수교육 대상자로 판별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학생 평가 및 특수교육 대상자 판별 과정 등의 문제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체제에 근거하여 각 단계별로 ESL 교사를 비롯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에 대해 논의 한다. 끝으로, 다문화·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이해하고 정확히 판별하는 데에 필요한 학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구체적 접근에 대해 제시한다. The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backgrounds has received close attention lately due to their languishing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the Korean school system. While nationwide data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is student population in Korea, the numbers reported are likely to either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true population due t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definitions and criteria used to identify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causes and impacts of misidentification made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educators on how to effectively collaborate to help these students in school settings. A conceptual review based on critical perspectives was presented for classroom teachers with the aim of reducing inappropriate referral of CLD students to special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Useful tip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utiliz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and classroom level checklists.

      • KCI등재

        하이데거의 트라클 시에 대한 해석

        박유정(Yu-Jeong Park)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이 글은 트라클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정리한 것이다. 전회 이후의 후기 하이데거는 예술, 특히 시의 문제를 가지고 존재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가 거론하는 시인들 중 휠더린과 릴케, 게오르게에 대한 연구에 비해 트라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게다가 색깔의 이미지를 가지고 존재의 장소론을 논의하는 트라클 시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하이데거 시론 중 존재사유의 문제를 가장 색채감 있게 서술하고 있는 트라클 시론을 정리하게 된 것이다. 하이데거는 『언어의 도상』의 「시에서의 언어」에서 트라클 시에 대한 해석을 한다. 트라클의 시 〈영혼의 봄〉의 한 구절, 즉 “영혼은 지상의 나그네 이다”를 가지고 영혼이 겪는 존재사건의 도정을 추적한다. 여기서 하이데거는 영혼이 존재를 찾아 떠나는 한에서 영적이고, 그런 한에서 정신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푸른 들짐승”이라고 규정한다. 푸른 들짐승인 영혼은 그 “푸름”이라는 색채가 보여주듯이 밝음과 어둠 양자를 함축한 이중성을 가지고 있고, 그로써 그것은 영적인 죽음을 감행할 수 있는 “세상을 등진 사람”이다. 세상을 등진 사람은 존재의 죽음을 감행할 수 있는 까닭에 영적인 정신을 지닐 수 있고, 그로써 그는 황금빛 얼굴의 엘리스, 즉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 세대의 후손이며, 그의 죽음에의 여행은 금빛 거룻배를 타고 수레국화다발을 지나 존재의 그윽한 장소로 데려다 준다. 이 그윽한 장소가 곧 시작과 사유가 공속하는 존재의 장소인 것이다. 이러한 장소의 본질, 즉 장소의 장소성을 자리매김하는 것이 바로 어떠한 설명도, 명증도 아닌 ‘자리밝힘’(erortern)이고, 그러한 자리밝힘의 사유인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의 자리를 자리밝히는 데서 시작과 사유의 근원이 되는 언어의 본질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존재의 자리밝힘은 존재에 대한 사유이다. 자리밝힘이 이렇게 존재사유이기 때문에 그것은 대상에 대한 근거율을 추구하는 ‘설명적 밝힘’(erklaren)도 아니고, 그러한 근거의 사태 자체의 드러남을 기술하는 ‘명증적 밝힘’(erlautern)도 아니다. 전통형이상학이 설명적 밝힘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면, 그러한 존재-신론적 형이상학의 한계를 현상학은 명증적 밝힘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의식주관의 선험적 관념론에서 명증적으로 자명한 사태자체라는 개념으로는 자신의 존재론적 기반까지 기술할 수 없었기에, 현상학의 명증적 밝힘은 자리밝힘의 사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하이데거는 주장한다. 왜냐하면 존재의 자리를 주목하는 이러한 자리밝힘에서 비로소 우리의 존재이해 속에 있는 존재가 자신을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리밝힘의 사유에서 존재는 자신의 장소를 역사적으로 말해주는 사건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의 트라클 시론은 단순한 문학론이나 문학 비평을 넘어서 기존의 형이상학적 사유에 대한 도전이고 그 극복에 대한 고뇌이며, 나아가 새로운 존재론에 대한 치열한 모색이며 그 방향 제시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미학

        박유정(Yu-jeong Park)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6 No.-

        이 글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예술론을 검토하고 그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우선 하이데거의 예술론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미학이론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론을 위해 예술을 논의한, 즉 전회 이후에 자신의 존재 사유를 전개할 방법론으로서 예술이 지목된 존재론적 예술론이다. 왜냐하면 하이데거는 예술을 새로운 사유의 지평, 즉 존재의 지평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존재로서의 예술의 본질은 존재사건(Ereignis)이다. 존재사건으로서 예술의 본질은 세 개의 본질적 계기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즉 (1)비은폐성으로서의 존재진리가 작품 속으로 자기정립 된다는 것, (2)그러한 진리의 자기정립 과정이 곧 시 짓기(Dichtung)라는 것, (3)진리가 작품 속에서 세계와 대지의 투쟁으로 구조화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존재사건 속에서 빛남으로 밝혀지는 것이 아름다움이라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예술론에 대해 아도르노는 존재신화라고 비판한다. 즉 하이데거의 존재는 구체적인 역사의 맥락과 그 변증법적 매개 없이 그 이전에 존재하는 피안이므로 아우라밖에 없는 공허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또한 존재를 위해 고안된 개념들은 언어와 진리의 객관적인 관계보다 언어의 명명력을 불러오고자 하는 하이데거의 태고주의에서 비롯된 은어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존재신화는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그 부조리를 숨기고 신비화시켜서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무력화시키는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수 있음에 우려를 표한다. 이런 점에서 아도르노는 존재론을 벗어나는 것이 선(善)이라고 말한다. 요컨대 하이데거의 예술론은 미학이론이 아니라 존재론으로서 예술의 근원을 존재사건으로서 드러내어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체험의 존재지평 또한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과 그 매개와의 존재론적 소통 속에서만 유의미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본다. This paper attempts to faithfully explicate and critically discuss the theory of art in Heidegger. Heidegger’s theory of art is not aesthetics but ontology because he would like to show us the thinking of Being after “Kehre” and to choose art as a methodology for such thinking. First, Heidegger rejects scientific discussions about aesthetics and wants to bring art to a new horizon, i.e. the horizon of Being. He thinks that only art as ontology can reveal the essence of art(Ursprung) without forgetting of Being(Seinsvergessenheit). So he regards the essence of art as “Ereignis”. It has three essential moments, that is (1)the self-setting-in-the work of Truth of beings, (2)the strike between World and Earth, (3)Poiesis of Truth of Being. The thing that is revealed in Ereignis is Beatuty; Beauty is one excellent way that Being reveals itself. But this art as ontology in Heidegger is criticized by Adorno as the myth of Being. According to Adorno, Being in Heidegger is merely an “Aura” because it stands without actual media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s. And languages for the sake of Being are only a “Jargon” which cannot express concrete realities. So Adorno insists that the transition from Ontology to Industry of Culture is needed. To conclude, I maintain that Heidegger wants to show the real essence of art in Ontology. But we must not forget that the essence(Being) could be meaningful in getting in touch with actual realities(beings).

      • KCI등재

        하이데거와 건축의 해석학

        박유정(Yu Jeong Park)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n investigation on Modern Architecture through Heidegger`s ontological Hermeneutics. At first, Modern Archite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profound thinking within its world. Because Modern Architecture has to find its new way with paradigme shift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kill.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is stream is Functionalism with a famous name, Le Corbusier. He suggested several architectural principles about Functionalism, and Villa Saboye is the architecture followed by those principles. Unite d`habitation and Ronchamp is another his famous architecture, and the first is the innitiative of appartement architecture, the second reveals the movement to Organic Arcitecture. Frank Lloyd Wright is a framous architect of Organic Architecture. Falling Water is his representative work characterized by clear horizontal line and harmony with external nature. And Gugenheim Museum gives deep impression with space structure. The famous architect who gives us pictural beauty in following Functionalism is Philip Johnson. His Glass House is a beautiful house situated in the middle of green grass. With transcending the limit of Functionalism, Louis Baragan shows us architectural world with strong attraction. Silence with strong color in his architecture says that architecture is an emotion to transmit profound peace. Last, Ando Tadao is famous Japan architecture with series of Chapel. According to Heidegger, Art is a way of the event in Opening of Being. Greece Chapel is the Occurrence of Setting-itself-in work of Being of Divine. In the sense of creating the origin of Being, Art is Poetry. And Building architecture originally belongs to Dwelling. Building is the Thinking of Dwelling. Because we can build as far as we can dewell. Dwelling is not simply living, but living with listening to Being, namely collecting the Four(das Geviert). With accepting Sky and Earth, waiting Divine, and leading Human, Dwelling is occurred. In the sense of answer of this original Being, Building is Poetry. In another point of view, Thinking belongs to Dwelling because we can think as far as we can dewell. So Building and Thinking is indispensible factor in our Being. When The two listen to each other, we can dewell sufficiently well. To conclude, Building is the Thinking of Dwelling, the Answer of Being. Consequently,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Modern Architecture has the thinking world in the sense of Heidegger`s Hermeneutical Ontology. Because Modern Architectures show the Thinking about fundamental Space which can be called Being-Thinking, the modern architectural world can be interpreted by Heidegger`s Hermeneutics of Being.

      • KCI등재

        미의 본질과 플라톤주의 : 서구 사유의 전통에서 드러난 미적 본질의 초월주의적 성격

        박유정(Yu-jeong,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이 글은 미적 본질의 초월주의, 즉 플라톤주의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했다. 아름다움은 쾌를 동반하지만 미의 본질은 감각적 쾌를 넘어 정신적 울림을 주기 마련인데, 미적 본질의 이러한 성격을 서구의 사유는 플라톤적 초월주의로 설명해 왔다. 이는 플라톤에 의해 서구적 미학의 기초가 놓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것이 칸트나 헤겔로 이어지는 전통을 형성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플라톤과 칸트의 미학적 논의 속에서 이러한 초월주의 미학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플라톤은 자신의 존재론에 따라 세계를 현상계와 이데아계로 나누고,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현상계의 감각미와 이데아계의 예지미로 구분한다. 감각미는 현상의 아름다움 것들을 말하고, 예지미는 그러한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아름다움 그 자체로서의 미의 이데아를 말한다. 물론 미의 본질은 후자인 예지미 속에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예지미는 감각을 초월한 순수한 이상미로서 감각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라톤에 따르면 감각미는 위험하고, 미의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감각미로부터 멀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예지미로 나아가는 것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 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아름다움에 대한 에로스는 아름다운 몸에서 아름다운 행실로, 그리고 아름다움 그 자체의 정신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플라톤은 미의 세계를 감각을 초월한 정신의 세계, 즉 철학 속으로 복속시킨 선구자이고, 이러한 그의 미학을 통해서 아름다움의 본질은 감각을 초월한 정신의 세계 속에서 순수한 이상미로서 존재하는 것이 된다. 칸트에서 미는 미 개념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이후 더 이상 객관적 이상미로서가 아니라 주관적 판단 속에서 성립하는 것이 된다. 이제 아름다움은 취미판단의 영역에서 확보되는 것이다. 그런데 칸트의 취미를 감관취미와 반성취미로 나누고, 전자에는 쾌적이, 후자에는 만족이 발생한다고 보고 미의 본질은 반성취미와 그 만족 속에 있음을 천명한다. 이로써 미의 본질은 감각을 초월한 순수미 속에서 관조적인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 된다. 이는 플라톤이 현상의 감각을 초월한 예지미에서 미의 본질이 있음을 주장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플라톤적 초월주의를 반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칸트는 취미판단의 질과 관계를 분석하면서 ‘무관심성’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는 아름다움의 본질을 대상에 대해 무심할 뿐만 아니라 그 욕구와 이해관심을 배제하고 그로부터 생기는 쾌적과 경향성으로부터 떠날 때 순수하고 진정한 것으로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칸트의 엄숙주의에서 비롯되었지만 결국 미의 본질을 감각을 초월하여 순수하게 관조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일종의 플라톤 주의의 반복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서구의 사유는 미의 본질을 플라톤에 의해 개척된 초월주의에서 바라봄으로써 아름다움이 갖는 감각적 현상을 넘어서 그것이 정신에 가지고 오는 울림 속에서 포착하고자 했고, 이는 칸트의 취미판단 속에서도 욕구와 이해관심을 배제하고서 대상을 무심하게 바라볼 때 생기는 순수하게 관조적인 것을 미의 본질로 생각하는 데까지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ranscendentalism in the Essence of Beauty, that is Platonism. Pleasure in Beauty has been explained with spiritual entity, which is originated from Plato’s philosophy, this Transcendentalism under the name of Platonism formed Aesthetic Tradition in Western Thought. So we wanted to study this transcendental Aesthetics through Plato and Kant. At first, Plato divides a Beauty in Phenomenon and Beauty-Idea in Noumenon according to his theory of Idea. And he thinks that the Essence of Beauty does not lie in the first, but in the second because it as pure ideal Beauty transcends the Sensibles and let them to be beautiful. So we should be away from sensible beauties, and proceed to intelligible Beauty through ladder of Eros. Finally Plato is a pioneer to subject Aesthetics to the Spiritual, i.e. Philosophy, and his Transcendentalism became Western Thought Tradition in the name of Platonism. Kant discovers ‘Taste Judgement’ after Paradigm Shift from objective ideal Beauty to subjective Beauty. But he succeeds to Platonism through dividing ‘Sensible Taste’ and ‘Reflection Taste’ because he regards the Essence of Beauty as the latter. Futhermore, he analyzes Taste Judgement with Beauty Categories such as ‘Disinterestedness’ and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So he arrives at the pure and authentic world of Beauty to transcend sensible and empirical world through discarding Inclination and Desire, and this viewpoint about Beauty could be considered another repetition of Platonism. To conclude, we came to recognize that the Beauty in western thought is considered as the intelligible, the spiritual which transcends the sensible according to Plato’s philosophy, and this tradition is accepted to Kant’s Taste Judgement as Reflection Judgement because Kant also regards the Beauty as pure and authentic Beauty discarded Inclination(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