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박영흠(Young Heum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1

        이 연구는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역사적 형성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결정론에 바탕을 둔 지배적 저널리즘 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성격은 디지털 기술의 일방향적 영향에 의해 선험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기술과 사회적 맥락 간의 유기적 연관성 속에서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한국의 디지털 기술은 국가ᐨ시장ᐨ시민사회 간 역관계의 변화로 인해 특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며 진화하였고, 시장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가 재편되고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가 진행되면서 디지털 저널리즘의 성격에는 근본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한국 저널리즘의 디지털화는 뉴스의 성격이 경합적 상품에서 비경합적 상품으로 바뀌는 뉴스 상품화의 과정이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shaping process of Korean digital journalism,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oday’s journalism, and to seek for an alternative direction of digital journalism. The character of Korean digital journalism is not determined unilaterally by an impact of digital technologies but is composed in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es and social context.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ive recognition on a major discourse which 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ies and journ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This study traces the evolutional process of digital technologies through a process where Korean social formation’s character has changed in a reconstitu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News commodities is losing its special character as ‘contested commodity’ in that it promoted a balance between journalistic values and commercial values through the digitalization of journalism.

      • KCI등재

        포스트저널리즘 시대의 이해를 위한 탐색적 연구 -<나는 꼼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영흠 ( Young Heum Park ),김균 ( Kyun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저널리즘이 존재하는 문화적 조건이 본질적으로 변화하는 포스트저널리즘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변화의 징후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를 분석한다.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 사상에 비춰볼 때 전통적 저널리즘은 모더니티의 시각적 합리성에 기반해 있지만, 전자미디어의 시대는 음향적 공간에서 저널리즘의 성격을 새롭게 구성한다. <나꼼수>는 기존의 저널리즘에서 고착화된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허무는 포스트저널리즘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 논문은 맥루언의 공감각성 개념을 새로운 시대의 저널리즘이 지향해야 할대안적 가치로 제안하며, <나꼼수>가 공감각적 저널리즘을 실현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Relying substantially on the works of Marshall McLuhan, this study suggests that tradition journalism, which was based on ``visual rationality`` of modernity, is being reconstructed and transformed in the age of electronic media. In specific, this article focusing on the changing cultural condition of modern journalism analyzes the podcast <Naneun Ggomsuda (I`m a Petty-minded Creep)> as a significant case of new journalistic practice emerging in the age of ``post-journalism``. This study considers <Naneun Ggomsuda> not as a passing phenomenon. Instead it is treated as a point which signifies a qualitative change in the basic condition of journalism. Additionally,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synesthetic rationality`` as an alternate value of the electronic age, and critically examines whether <Naneun Ggomsuda> is a case of synesthetic journalism.

      • KCI등재

        저널리즘 경계의 해체, 지속, 혹은 진화적 재형성 : 체계이론적 분석 가능성의 탐색

        박영흠(Young Heum Park),정준희(Junhee J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4

        이 연구는 전통 저널리즘의 위기를 경계의 해체, 즉 ‘탈경계화’ 개념을 중심으로 살피는 최근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며 루만의 체계이론을 통해 저널리즘의 전환이라는 경험적 현상을 심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오늘날 저널리즘의 변화와 위기는 체계와 환경 사이의 경계 해체라기보다 기존 체계의 범위가 확장되는 동시에 체계 내부 프로그램의 경계가 혼성화되는 과정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보는 이 연구는 사회체계 일반의 자기관찰과 자기기술을 의한 구성적 현실을 제공하는 특화된 기능체계로서 매스미디어 체계를 ‘공공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재정의하였으며, 저널리즘은 이와 같은 공공 커뮤니케이션 체계 내부의 지배적 프로그램으로 규정하였다. 지금까지 저널리즘은 전문직화로 대표되는 역사적 경계화의 노력을 통해 체계 내에서 가장 전문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했지만,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동과 그로 인한 체계 내부 경계의 재획정에 따라 우월적 지위를 상실할 위기에 놓이고 있다. 저널리즘은 지금 ‘탈분화’와 ‘재분화’의 상호모순적 전략 속에서 진동하며 위기에 대응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 Have the practices of journalism or a specific social sector called journalistic media and content been transformed into a fairly different ones where traditional forms of journalism no longer continue to reproduce themselves in a way they used to do? Many scholastic documents tend to see this phenomenon as a process of blurring or shifting boundaries of journalism even to the extent that de-boundedness appears to be prevailing while a new set of boundaries has not emerged yet. Focusing upon this problematic condition, either from a practical or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open a new possibilities of capturing, theorizing and analyzing this seemingly chaotic changes in journalism by applying and reformulating Luhmann’s social systems theoretical resources. This study proposes, in part, Luhmann’s conceptual tool of the mass media system needs to be redefined as the public communications system, in order to incorporate, both systemically and theoretically, the pressure of technological system of social media that once lied in the environment of the mass media system. However, this does not mean a total deboundedness of journalism but rather re-location and re-allocation of existing systemic programs which cover journalism in its systemic boundary. Now the societal systemic program of journalism is oscillating between paradoxical operations of de-differentiation and re-differentiation, which might become a tipping point of furthering evolutionary adaptation to its ever-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법조 뉴스 생산 관행 연구 : 관행의 형성 요인과 실천적 해법

        박영흠(Park, Young Heu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언론의 취재 · 보도 관행에 대한 시민사회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관행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기자들의 역할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며, 전 · 현 법조 출입기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법조 뉴스 생산 관행의 실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왜곡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해법을 모색하였다. 연구는 먼저 기자들이 법조 뉴스 생산 관행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관행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검토한 뒤 문제적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의견을 수렴했다. 기자들은 피의사실 보도 관행, 검찰 편향적 취재 관행, 부실한 사실 확인 관행과 관련해 엇갈린 평가와 해석을 제시했다. 연구는 나아가 기자들의 직무 과정과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인, 조직, 제도, 사회의 네 가지 단계적 차원이 뉴스 생산 관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의 중층적 상호작용을 탐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인적 차원보다 조직과 제도의 차원이 법조 뉴스 생산 관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이러한 차원을 중심으로 관행의 실효성 있는 개선을 위한 대안을 모색했다. 연구는 법원 중심 보도로의 전환, 투명한 정보 공개 시스템 구축, 인력 보강과 재배치, 출입처 제도의 혁신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The study took note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journalists in improving the routines amid criticism from the civil society over legal coverage and reporting routin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rmer and current legal reporters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beats and their perception of legal news production routines. Reporters presented mixed assessments and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practice of reporting the cases of the accused, the practice of biased reporting by the prosecution and the practice of fact checking. The study further identified the impact of four levels of individual, organization, institution and society on news production routines and analyzed their interactions through reporters’ exploration of job processes and experienc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level of news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has a greater impact on legal news production routines than on the individual level, and focused on these levels, we have sought practical alternatives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routines. The study presented the transition to court-centered re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 transparen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reinforcement and relocation of manpower and innovation of the access system as solutions.

      • KCI등재
      • KCI등재

        저널리즘 텍스트의 상호매체적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채희상(Sang Hee Chae),강신규(Shin Kyu Kang),박영흠(Young Heum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1

        이 글은 미디어 생태계 전반에서 발견되는 ‘상호매체적 관계맺기’ 현상들 중 저널리즘 분야에서 활발히 벌어지고 있는 미디어의 운동방식과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분석 대상으로는 미디어 생태계 안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머물러 있던 매체성이 접촉 및 융합하여 지금과는 전혀 다른 형태와 성격의 상호매체적 스토리텔링 전략을 보여주고 있는 <포트 맥머니>, <원전 회의록>을 선택하였다. <포트 맥머니>는 다큐멘터리 영화와 디지털 게임이, <원전 회의록>은 신문과 웹툰,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들이 관계맺기를 통해 공적 담론을 생산하고 있었다. 분석은 텍스트, 수용구조의 측면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먼저 텍스트적 특성의 경우, <포트 맥머니>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촉구하는 공적담론을 전달하기 위해 다큐멘터리와 디지털 게임을 결합하고 있었다. 실제 포트 맥머리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기반으로 게임적 인터페이스를 결합시키는 형태의 상호매체적 스토리텔링 전략이 사용되었다. <원전 회의록>은 수용자가 텍스트 진행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웹툰의 세로 스크롤방식, 하이퍼링크 등을 활용해 공적담론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수용구조의 측면에서 두 사례는 텍스트 안에서의 참여를 넘어 수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바깥에서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게임로직, 공유 인터페이스등을 통해 수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현실공간으로 참여의 폭과 깊이를 더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thods and strategies of intermedial storytelling text going on actively in the field of journalism. 〈Fort McMoney〉, 〈Nuclear Power Meeting Minutes〉 were selected to comprehensively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l storytelling strategies. There were intermedial relationships in two cases: 〈Fort McMoney〉- digital game, documentary, 〈Nuclear Power Meeting Minutes〉- newspaper, webtoon, interactive media.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text, the acceptance structure. In textual aspects 〈Fort McMoney〉 combines documentary image in actual world and digital game interface to deliver public discourse. 〈Nuclear Power Meeting Minutes〉 combines the vertical scrolling presentation method of webtoon, hyperlinks and on-line news platform. In acceptance process, two cases were designed so that audiences can freely take part in the text inside and outside. Through game-logic, share interface etc, audiences were adding to the depth and breadth of participation from the virtual space into re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