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심주조에 의한 경사기능성 피스톤 재료의 개발

        박영구(Young-Koo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199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11_2

        In order to improve wear resistance and toughness of material for engine piston, centrifugal casting method was applied to cast the Al-Si-Fe alloy. The electron microscope and EPMA was used to observe microstructure. the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br/> (l)Compositional distribution, microstructure and hardness were changed by centrifugal casting conditions. (2)When the rotation speed of mould is 900 rpm, optimum appearance of casting and functional gradient distribution obtained. (3)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Fe was 0.5% at inner, 1.5% at middle, and 3.5% at outer circumferencial rgion respectively. (4)The Fe rich phase appeares needle shape in the microstucture, and the hardeness and wear resistance of outer surface superior than the inner circumstantial region.

      •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住居址 硏究

        朴榮九 ( Park Young-koo ) 중부고고학회 2004 강원고고학보 Vol.3 No.0

        본 연구는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유물의 특색에 대한 검토작업을 통해 편년을 설정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은 하천과 바다가 合水되는 지역과 湖岸의 구릉지대에 위치하여 해안선을 따라서 확산ㆍ정착되었으며, 이러한 분포양상은 신석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적이 하천이나 호수 주변의 낮은 사구지대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장방형과 방형이고, 장축방향은 대체로 보아서 등고선 방향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내부시설은 대부분의 주거지에서 기둥구멍, 제습용 홈, 저장공이 확인되며, 노지는 확인되지 않는 주거지가 많다. 한편 저장공이 성행한 점이나 이러한 저장공안에 저장공 토기를 묻어 두는 것은 신석기시대 주거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습용 홈과 옥외로 연결된 배수시설은 영동지역 주거지들의 지역적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은 주거지의 형태나 내부구조의 특성에 있어서는 모두 유사하나 출토되는 유물의 조합상과 공반 관계의 검토를 통해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I 기 교동단계는 교동유적 뿐이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청동기시대 유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으로 주거지는 장방형과 방형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내부 시설로는 기둥구멍, 탄화기둥, 위석식노지, 저장공과 청동기시대 중 가장 오래된 탄화미가 출토되었다. 교동 주거지에서 보여지는 서북지방 각형토기단계의 순수 이중구연토기와 이중구연에 단사 선문ㆍ거치문 등이 시문된 토기 및 목항아리와 동북지방의 신석기시대 이래의 전통인 순수 심발형토기, 鉢, 대부소호 등의 토기 조합상과 두만강유역 동북지방계통의 석기조합상을 가진 교동단계는 현재까지 남한지방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없다. 교동유적은 가락동 유형의 유적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가락동 유형의 연대관이 소급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연대는 B.C 1.300~ 1.000년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Ⅱ기 조양동 단계 토기의 특징은 단사선문과 구순각목문, 공열문 등의 장식적 요소를 갖춘 이중구연토기를 들 수 있다. 조양동 단계는 이중구연 토기가 성행하는 단계로 순수 이중구연토기단계에서 이중구연 토기요소와 공열과 구순각목이 결합이 성행하던 시기로 전환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조양동단계는 가락동유형 보다는 늦고, 기존의 흔암리 유형보다는 시기가 약간 올라가는 B.C 1000년 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Ⅲ기 방내리 단계는 조양동 단계에 성행하던 이중구연토기요소가 퇴화되고 공열토기가 성행하는 단계로 공열과 이중구연, 단사선문, 구순각목이 시문된 토기가 출토되는 단계 (A군 주거지)와 이중구연의 장식적인 요소와 구순각목이 소멸되고 순수공열토기만 출토되는 단계(B군 주거지)로 나눌 수 있다. 연대는 조양동 단계와 비슷한 단계(A군 주거지)는 흔암리유형과 비슷한 B.C 1000-800년 경으로 상정해 볼 수 있고 공열토기가 성행하는 단계(B군 주거지)는 B.C 800-700년 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Ⅳ기 포월리 단계는 순수공열과 새로이 호형토기가 공반되는 단계로조사 예가 많지 않아 정확한 시기설정과 성격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장식적 요소가 강하게 남아 있는 이중구연의 심발형토기를 주류로 하는 조양동토기와 공열문이 성행하던 방내리토기 보다 후행하는 토기단계로 B.C 700 - 600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Ⅴ기 지리 단계는 점토대토기 단계 유적으로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양상에 대한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여겨진다. 현재 점토대토기 단계 유적의 조사 예가 증가하고 있어 전반적인 문화성격에 대한 규명은 차후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ronologize The Bronze Age Dwelling sites in the Yeongdong area, eastern part of the Gangwondo province, by considering characters of the excavated settlements and findings. The Bronze Age relics in the Yeongdong area are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rivers and the sea. or at the hills seen a long lakeshore. These patterns of distribution are more or less different those of the New Stone Age and the Iron Age whose relics are located at the sand dune of rivers or lakes. The plan of settlement patterns are made up of such forms as “Rectangular or “Square, and the settlements direction of settlements are likely to converge the contour line of hill, inner structures consist of post-hole, groove for moisture removing, storage pit, however few dwelling sites only include the hearth. The fact that storage pit and a kind of pottery for buried in them storage were prevalent in the Yeongdong area in the bronze age demonstrates that the features of the New Stone Age dwelling site were inherited to following period without discontinuity, in addition the groove for removing moisture and drainageway connected to outdoor are also the remarkable example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Yeongdong area. Despite a couple of similarities show in the plan of settlement pattern and the inner structur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e five stage : 1) The first Gyo-dong stage, 2) The second Joyang-dong stage, 3) The third Bangnae-ri stage. 4) The forth Powol-ri stage, 5) The fifth Gi- ri stage. This classification wa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remains refreshing each stage. 1) It seems to me difficult to compare the relief of with those of other stage or regions in south korea. Gyo-dong stage was the earliest stage which was for many recorded in south korea, carbon dating shows that this stage was ranging from circa 1300 BC to 1000 BC Gyo-dong relics represent the plans rectangular or square of settlement patterns, including the post-hole, the hearth surrounded by stones, the storage pit and the oldest fired rice grains. Gyo dong stage have pottery compounding shape that is potteries with double mouth rim of top-shaped pottery stage in north-west region, potteries and mounted jars with neck of patterned horizontal bands of oblique and saw-tooth design double mouth rim. and deep bowl potteries, bowls, mounted burnished small pots were made from the New stone age in north-east region, also have stone tool compounding shape that is lineage of north-east region in the basin of the river. Duman. 2) The pottery of Joyang-dong stage was characteristic of the with double mouth rim have ornamental element horizontal bands of oblique, notched strip on rim, rim-perforated and so on. In this aspect, Joyang-dong stage(circa BC 1000) could be located in between Garak-dong assemblage, and the Hunam-ri assemblage. 3) Bangnae-ri stage could be devide in two periods, the style of pottery in the first stage(A群 住居址-BC 1000-800), is similar to style of the Joyang-dong stage, however only the rim- perforated pottery could be identified in the second period.(B群住居址-BC 800-700) 4) In the Powol-ri stage (roughly 700 BC to 600 BC) the rim-perforated pottery was gradually replaced with the emergence of the pot even if the rim-perforated pottery still predominated. In other words the style of pottery in the powol-ri stage demonstrates that the style of pottery was simplified overtime. 5) Jt-ri stage emergence of applique rim pottery which helped to guess the cultural level of the at the late bronze age in the Yeongdong area. However the more sufficient resources should be discovered and analyzed available in understanding the ji-ri stage to broaden the horizon of archaeological knowledge.

      • KCI등재

        南部東海岸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變遷

        Park Young koo(朴榮九)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79 No.-

        본 고에서는 남부동해안지역 중 포항, 경주 및 울산지역 중 최근에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진 해안에 입지한 청동기시대 취락의 주거구조 및 출토유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취락의 편년작업을 시행하고, 취락의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남부동해안지역은 전기전엽에는 장방형 주거에 석상위석식노, 주초석이 학인되며, 토기는 이중구연요소가 출토되고, 전기중엽에는 장방형 주거에 무시설식 노가 설치되고, 이중구연요소와 공열이 결합하는 양상에서, 전기후엽에는 점차 이중구연이 퇴화 및 소멸되고, 공열단사선과 공열의 형태로 존재한다. 울산식 주거가 정형화되는 중기에도 공열은 여전히 지속되고, 공열과 단사선(낟알문)의 형태로 조합된다. 중기후반에는 공열이 거의 소멸되면서 낟알문도 횡선문으로 변화하고, 무문토기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남부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은 동일한 구릉과 충적대지 내에서 시간차이를 두고 장기간 점유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에 하천지역과는 달리 경주와 울산지역의 해안지역에서는 울산식 주거가 중심이 되는 대규모 취락만이 조성된다. 남부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시기별 분포양상은 조기에 해당하는 취락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전기전엽의 1기는 하천 주변 충적대지에 입지하며, 장방형 주거에 석상위석식노와 주초석이 설치된 포항 월포리유적이 해당한다. 복합문의 흔암리식 토기와 주거가 확인되는 2~3기 취락은 대부분 포항지역의 하천주변구릉과 일부 충적대지에서 확인되며, 해안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삼정1리 취락이 확인되었다. 4기에는 공열 및 검단리식 토기가 출토되는 울산식 주거가 확인되며, 포항, 경주, 울산의 해안지역에 취락이 증가하며, 대규모로 확인된다. 5기에는 횡선문토기와 울산식 주거가 중심으로 대부분 울산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며, 포항지역에서는 소규모로 확인된다. In this research, we have been explored and made the chronicle of settlement area by analyzing dwelling pattern and excavated artifact of bronze era which are located in Pohang, Gyeoungju, Ulsan area in south-eastern costal area where archeological expedition has been done actively. In these areas, we identified Stone floor-Stone-lined hearth, the Foundation stone, double mouth rim elements which had been excavated on the rectangular dwelling site for early stage of bronze era. And non-facility bare ground had been put into rectangular dwelling site which had shown mixed pattern of double mouth rim elements and Rim-perforated pottery during the mid era of early stage but double mouth rim elements had been degraded and finally extinguished, the shape of rim perforated & rimperforated diagonal line pottery existed in the late era of early stage on bronze period. During the middle era of Bronze Age, Rim-perforated pottery was still existed along with standardization of dwelling pattern which named as Ulsan dwelling site and it was combined with the pattern of rimperforated and single diagonal line (single dot pottery pattern) but rim-perforated pattern had been almost extinguished, single dot pottery pattern had been turn into a horizontal line pattern and pottery had become patternless earthenware in the late middle ear of bronze age. The dwelling area of south-east costal area had been showed to extend area for a long time between hilly districts and alluvial site with time lag at the riverside but costal area of Gyeoungju and Ulsan showed large dwelling site (which is named Ulsan dwelling site) had been established. The dwelling site which was exist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Bronze Age has not been excavated or founde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dwelling site during the Bronze Age in the south eastern costal area has defined into 5 stages for early-initial period on the Bronze Age. Dwelling site for the First stage was located on the All uvial site near riverside and it is rectangular shape which had Stone floor-Stone-lined hearth and The Foundation stone. The Wolpo-ri site is the one for representing first stage dwelling site. Dwelling site of Second and Third stage has been founded in the pattern of Heunam-ri pottery and residential site which had compound door and most of this dwelling site had been founded at the alluvial area and hilly area of riverside at the Pohang. Samjung1-ri is the only dwelling site which has same character at the coastal area. Dwelling pattern for the 4th stage is the Ulsan dwelling site which Geomdan-ri type pottery was excavated. It has bee n identified as massive dwelling site and showed increase of numbers for dwelling site in the coastal area of Pohang, Gyeoungju, and Ulsan. At the 5th stage, adeviant increase horizontal line pottery and Ulsan dwelling site pattern is mostly founded at the Ulsan coastal area and small portion of site has been identified at Pohang are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열병합발전소 질소산화물 확산에 관한 전산유체역학 simulation 연구

        김지현,박영구,Kim, Ji-Hyun,Park, Young-Koo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1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고, $CO_2$ 배출을 줄이고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 복합화력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다. 환경규제가 계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NOx 배출량을 줄이고자 저 NOx 버너, SCR 등 여러 가지 설비들을 설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의 일산열병합발전소 1개소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TMS를 이용하여 배출계수를 산정하여 이를 전산유체동역학(CFD)에 적용하여 질소산화물의 거동을 살펴보고, 현장 실측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실측 기간 중 측정 시간에 따른 주 풍향 풍속의 순간적인 변화로 인해 실측 결과와 CFD 모델링 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나, 모델링 결과와 실측 결과는 대부분 예측지점에서 유사한 농도로 나타났다. 향후 주변농도를 고려한 기여농도를 산출하여 실측농도에 가까운 예측농도 도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deal with the globally increasing electric power demand and reduce $CO_2$ emission, complex thermoelectric power plants are being constructed in densely populated downtown areas. As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continuously strengthened, various facilities like low NOx burner and SCR are being installed to reduce NOx emission. This study is applied using the TMS emission of $NO_2$ from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located in Goyang-si Gyeonggi-do. Applying data to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measurement results. It is judged that even though there might be differences between actual measurements and CFD results due to the instant changes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ccording to measurement time during measurement period, modeling results and actual measurement results showed similar concentration at most forecasting areas and therefore, the forecasting concentration could be deducted which is close to actual measurement by calculating the contribution concentration considering the surrounding concentr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역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동해항 주변지역 미세먼지 배출량 산출

        김지현,박영구,Kim, Ji-Hyun,Park, Young-Koo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4

        Calpuff 역모델링 기법을 이용해 산출된 자료는 오염물질 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자료 비교를 통해 감축 가능성 및 목표 수립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항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Calpuff 역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 저감량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 구축에 목적을 두었으며, 모델링을 이용한 동해항을 포함한 5개 지역 배출농도 산출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기환경기준인 $50{\mu}g/m^3$을 적용하여 대상 지역별 허용배출량 산출 결과 site-D에서 가장 많은 $4.95{\mu}g/m^2{\cdot}S$의 배출량 저감이 요구되었으며, $4.95{\mu}g/m^2{\cdot}S$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경우 영향예측지점(동해하수종말처리장)의 PM10 평균 예측농도는 $42.6{\mu}g/m^3$로 감소될 것으로 나타났다. site-A(동해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만을 적용하여 모델링 진행 결과 동해항 주변 민가의 기여농도는 평균 $40{\sim}50{\mu}g/m^3$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농도를 고려하면 대기환경기준인 $50{\mu}g/m^3$을 상회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더 이상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허용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site-B는 상가와 나대지로 차량 통행과 나대지에서 비산되는 먼지로 인해 $0.11{\mu}g/m^2{\cdot}S$의 배출량 저감이 요구되었으며, site-C와 E는 오염물질 저감량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Data obtained from the Calpuff inverse modeling estimate the emission amount of pollutants, and enable to establish the aim for reduc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various cases. This study pursued to accumulate the fundamental data by the Calpuff inverse modeling for five areas in the vicinity of Donghae harbor, which focused on reduction of atmospheric fine dust.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allowed emission amount for local sites, site-D required the most reduction, $4.95{\mu}g/m^2{\cdot}S$, based on the atmospheric guideline, $50{\mu}g/m^3$. The theoretical mitigation could decreas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to $42.6{\mu}g/m^3$ for the study field (Donghae waste water treatment plant). Modeling only for site-A emission showed the potential concentration around the residential area of Donghae harbor, $40{\sim}50{\mu}g/m^3$. However, it will rise over $50{\mu}g/m^3$ with the addition of background level. Therefore no more emission would be allowed. Site-B including commercial area and unpaved field required the reduction of $0.11{\mu}g/m^2{\cdot}S$ due to vehicles and fugitive dust. Site-C and E did not emit additional pollutants.

      • KCI등재

        페로망간 집진분(集塵粉)의 재활용(再活用)에 관한 연구(硏究)

        김윤채,송영준,박영구,Kim, Youn-Che,Song, Young-Jun,Park, Young-K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2 資源 리싸이클링 Vol.21 No.3

        이전의 연구에서는 $Mn_3O_4$ 분진으로부터 고순도 훼로망간를 얻기 위해, Al 테르밋법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는 Mn 함유율이 약 93% 이상이고, KS D3712 규격 이하의 낮은 C, P, S의 불순물을 함유한 고순도 페로망간을 얻을 수 있음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 코스트가 Al 분말보다 저렴한 Si 분말이 $Mn_3O_4$ 분진의 테르밋 반응법의 환원제로 검토되었다. 그 결과 환원제로 Si 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할 경우는 착화가 불안정하여 테르밋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환원제로 Si 분말과 Al 분말을 동시에 첨가할 경우는 C, P, S의 불순물 함유율이 매우 낮은 고순도 페로망간을 얻을 수 있었다. In order to make high-purity ferro-manganese from $Mn_3O_4$ dust, the application of aluminothermy process to the reduction of $Mn_3O_4$ dust was investigated in previous work. The result showed the fact that can be obtained high purity ferro-manganese which have over about 93% of manganese content and lower impurities such as C, P, S than those of KS D3712 specification. The addition of silicon powder instead of aluminum powder was investigated as reductant in the thermite reaction process of $Mn_3O_4$ dust in this work because its production cost is lower than that of aluminum powder. In case of addition of silicon powder only as reductan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e unstable ignition and no thermite reaction of mixture, but in case of simultaneous addition of silicon and aluminum powders as reductant, showed the fact that can be obtained high purity ferro-manganese which have much low content of impurities such as C, P, S component.

      • SCOPUSKCI등재

        건식 FGD 공정에서 SO<sub>2</sub> 제거를 위한 Ca(OH)<sub>2</sub> 및 CaCO<sub>3</sub> 원료의 다공성 필터 제조 및 특성

        한요섭,김현중,박영구,박재구,Han, Yo-Seop,Kim, Hyun-Jung,Park, Young-Goo,Park, Jai-Koo 한국공업화학회 2005 공업화학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발포법 및 겔-캐스팅법을 이용하여 소석회와 석회석을 원료로 다공성 필터의 제조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터의 물성과 $SO_2$ 제거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공성 석회질 필터의 기공률 및 기공크기가 클수록 수많은 윈도우에 의해서 대부분의 기공이 열린 기공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SO_2$ 제거에 대한 다공성 석회질 필터의 영향은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SO_2$ 제거효율은 증가하였다. $SO_2$ 유입농도에 따른 제거 효율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지만 유량 차이에 의한 효율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필터의 경우 기공률이 클수록 $SO_2$ 제거효율은 우수하였으며, 기공률이 동일한 경우에서는 소석회 필터는 석회석 필터보다 $SO_2$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이것은 소석회의 CaO 전환율이 석회석에 비해 우수하여 $SO_2$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CaSO_4$로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Porous hydrated lime and limestone filters were prepared by foaming and gelcasting method,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rough these analyses, it has been found that with the increased porosity and pore size of the filters, majority of pores in the filters were inter-connected by windows. Also, $SO_2$ removal efficiency for the filters was investigated. As the porosity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SO_2$ removal efficiency also increased. Especially, unlike the variation of entrance concentration, the entrance flow rate had great influence on the removal efficiency. In case of the filters with an equal porosity, the hydrated lime filter had superior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limestone filter. From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high conversion ratio to CaO from the hydrated lime filter was a result of facilitated formation of $CaSO_4$ by $SO_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