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연구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알뜨리 ( Park Altteuri ),이정인 ( Lee Jung-in ),이신혜 ( Lee Shin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연구에 대한 경험을 사례를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중등(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3인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하며,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연구과정 및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인 스스로를 연구자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란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에 대한 고민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사가 연구를 하는 이유는 교과(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사의 효능감 및 전문성 신장과 교사로서의 부담감 및 책임감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둘째, 교사의 연구 과정은 문제의식과 목표설정, 수업설계, 실행, 반성, 공유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교수설계의 어려움, 교사에 대해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로 인한 어려움, 교사 분위기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각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던 이유는, 협력연구 경험여부와 중등교사가 경험하는 입시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국공립학교 및 부설학교 등으로 소속을 고르게 선정하여, 각각에 따른 차별화된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확인하고, 연구의 주체자인 교사가 생각하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인식과 연구과정 및 어려움을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 기 위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에 토대가 될 교사연구자에 대한 후속사례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to examine their research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teacher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Teachers’ research perceptions, process, and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how teachers perceive and conduct thei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related their research to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research was to induce student interest in the subject, to improve their own sense of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and also to study the burde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Seco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teacher was done in the order of problem consciousness, goal setting,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reflection, and sharing. In the process,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design, the role society expects teachers to have, teacher atmosphere, and so on.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ach teacher were the co-operative research experiences of the school teacher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that it selected teachers evenly belonging to elementary and secondary, national public and attached schools,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teachers as researchers in detail based on the actual teacher’s experience.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us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teacher as a researcher and suggests follow-up case studies on teacher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질적 종단 연구 전문가가 인식한 초기 청소년기 성장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극복 역량 탐색

        김지연 ( Kim Ji Yeon ),박알뜨리 ( Park Altteuri ),강지현 ( Kang Ji 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이 연구는 초기 청소년이 성장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이러한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어려움의 극복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질적 종단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2차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서면 검토 또는 개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에 따라 질적 내용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가 인식하는 초기 청소년 성장과정에서의 어려움은 발달적 특성, 관계, 학업 및 성적, 진학 및 진로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이들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심화요인과 보호요인은 사회환경, 학교환경, 가정환경 그리고 기타의 구분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초기 청소년의 어려움 극복에 필요한 역량은 자기와 타인이해, 감정이해와 조절, 자존감, 자기주도, 그릿(Grit), 회복탄력성, 의사소통 역량, 갈등해결 역량, 도움추구 역량, 관계유지 역량의 10개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자기성찰, 개인 내적, 대인 간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청소년의 어려움에 대한 지원 및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adolescen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difficulties, and the competencies to overcome them. Firs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with four experts who participated in a qualitative longitudinal study targeting early adolescents in Korea. Then, written reviews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further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s identifie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cademics and achievement, and career and adaptation as areas of difficulty in early adolescent growth.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early adolescents’ difficulties were then grouped into categories such as “social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home environment” and others. Then, “self and other understanding,” “emotional understanding and control,” “self-esteem,” “self-direction,” “grit,”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conflict resolution capacity,” “help-seeking capacity,”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capacity” were identified as competencies necessary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early adolescence. These 10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self-reflection,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The study’s results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how to provide support and interventions for early adolescents facing difficulties.

      • KCI등재

        중학교 시기의 어려움 대처에 대한 회고적 자료의 합의적 질적 분석

        황매향 ( Mae-hyang Hwang ),박알뜨리 ( Altteuri Park ),김영빈 ( Youngbi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2 중등교육연구 Vol.7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중학생들의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초기 청소년들을 효과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중학생 시기 경험했던 어려움 대처방법에 대한 회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 영역, 16개 범주, 24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대처방법의 영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자신을 변화시키기’, ‘도움받기’, ‘ 관계문제 다루기’, ‘다른 활동에 에너지 쏟기’, ‘부적응적 대처’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관계문제 다루기 영역에서는 ‘관계에서의 회피’(45%), ‘적극적 갈등 해결 노력’(32%), ‘먼저 다가가기’(23%) 범주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들은 다양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자신을 변화시키기’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관계 문제에 있어서는 ‘회피’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시기 청소년들을 효과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middle school students cope wit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early adolescence, and based on this, draw implications for ways to effectively help early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for 328 college students, recall data on how to cope with difficultie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QR-M method. As a result, 5 domains, 16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5 domains are as follows : 'Changing themselves', 'Getting help', 'Dealing with relationship problems', 'Directing energy to other activities' and 'maladaptive coping'. In the domain of ’Dealing with relationship problems’, the high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order of 'Avoidance in relationships' (45%), 'Actively resolving conflicts' (32%), and 'Reaching out to the friends first' (23%).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mostly use the 'Changing themselves' method to cope with various difficulties, and mainly use the 'avoidance' method for relationship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a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help young people in this period was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김동일(金東一),금창민(琴昌民),박알뜨리(Park, Al Tteu Ri),이승호(李丞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2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에 따라 이와 관련된 중독 문제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시작하는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초등학생들에 대한 예방적 교육은 시급하다. 이러한 시류에 맞춰 서울시 아이윌센터에서는 2007년 인터넷/스마트폰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현재까지 초등학교와 중 ·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아이윌센터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아이윌센터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646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하였으며, 같은 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 94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에 인터넷 중독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점수를 공변량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점수가 비교집단 학생들의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점수가 비교집단 학생들의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 셋째,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점수는 비교집단 학생들의 점수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현재 서울시 전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했다는 것과 예방적인 관점에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다루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associated addiction problem.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arting age of the Internet and the smartphone is low, preventiv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urgently needed. Seoul I Will Center developed an Internet & smartphon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has conducted i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2007.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646 four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94 fourth grade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Short-form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Self-control Scale were used for pre and post analysis. The post score was analyzed by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higher self-control levels than students who did no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conducted by Seoul I Will center.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국내 소진척도 개발 및 사용 현황과 과제

        황매향,박알뜨리,김혜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이 연구는 심리적 소진 연구에서 사용되는 국내 소진척도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심리적 소진척도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심리적 소진척도 27개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연도별 연구의 흐름, 대상별 소진척도의 특성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각 척도의 하위 구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대부분의 소진 관련 척도 연구들이 등장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의 과반수가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대상에 따라 소진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특히 교사 및 학생에 대한 소진척도 개발 연구의 비중이 컸다. 셋째, MBI척도처럼 소진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와 MBI에서는 측정하지 않는 직무환경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로 분류되었다. 또한 소진 증상을 측정하는 경우, MBI의 하위 구성 요인을 모두 측정하고 있는 척도와 하위 요인 중 일부만 포함하는 척도로 분류되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MBI 척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의 문화적 특성 및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척도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국내 일반직 종사자들이 고유하게 경험하는 소진의 특성이 반영된 척도가 개발되어야 함을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cales used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burnout in Korea and determin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psychological burnout scale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we collected 27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developed, validated, and adapted in Korea, and examined the flow of research by yea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burnout scales by subject, and analyzed the sub-factors of each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most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have appeared since 2000, and more than half of the analyzed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Seco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were developed, validated, and adapted according to various subjects, but psychological burnout studies 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Third, they were classified into scales that measure burnout symptoms like the MBI scale and scales that measure work environment variables that are not measured by the MBI.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symptoms of burnout, they were classified into scales that measure all sub-components of the MBI and scales that include only some of the sub-factors. To overcome the frequently cited limitations of the MBI scal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work environment. It seems that a scale that can be us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 for general occupational group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