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테라포밍에 대한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소그룹 상호작용 중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박신희 ( Shin Hee Park ),최승언 ( Seung Urn Choe ),김찬종 ( Chan 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이것이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Vygotsky, 1978). 이에 따라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소그룹 상호작용의 특징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한 본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실제 수업에 활용할 9차시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4학년 초등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이다. 연구자는 수업자 및 관찰자로서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업 동영상 자료와 녹음 자료, 학생 면담 녹음 자료,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의성의 수준은 ‘Mini-C’ 창의성(Beghetto & Kaufman, 2007)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창의성 분석을 위하여 Davis, Rimm & Siegle(2010)가 제시한 19가지 창의적 능력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모델링 과정에서 주로 나타난 학생들의 창의성은 정교화, 평가, 시각화, 성급한 결론의 유보, 독창성, 분석, 집중 등이었다. 또한 모델링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소그룹 상호작용은 ‘제안’, ‘동의’, ‘질문’, ‘반박’, ‘전환’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모델링 과정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어린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 모델을 무조건적으로 반영하기 보다는 다양한 창의적 능력의 사용과 합의를 통해 더 나은 그룹 모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과학적 모델링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creativity factors of students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modeling and relate them to the types of interactions among students. In order to capture students’ detailed intera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ssential case study’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have developed the modules of nine lessons about terraforming, and they were used in an actual classroom. In order to understand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in the process of modeling, students’ discourses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19 creative factors or 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requently found creativity factors are Elaboration, Evaluation, Visualization, Resist premature closer, Originality, Analysis and Concentration. And students’ interactions that affect students’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modeling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uggestion, Agreement, Questioning, Refutation, and Conversion. Through each interaction, students demonstrated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modifying their own thoughts and ideas in the modeling proc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the teachers to understand types of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interaction and creativity factors for students’ creative modeling in modeling-based learning.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일상에서 경험한 ‘배움’과 ‘돌봄’의 양상

        박신희 ( Park Shin-hee ),김민성 ( Kim Min-se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1

        본 연구는 ‘돌봄’과 ‘배움’의 관점에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아동의 일상을 기술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교육적 역할과 한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주지역 두 개의 지역아동센터를 연구지로 선정하고 7개월 이상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일상과 센터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현상학적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들의 일상을 시간, 공간, 활동 3가지 차원에서 이해하고 이를 ‘돌봄’과 ‘배움’의 관점에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시간 차원에서 지역아동센터는 가정과 학교를 보완하는 ‘중간지대’로서 ‘돌봄’과 ‘배움’을 지원하였다. 공간의 차원에서 센터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때때로 서로의 활동 공간을 침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활동 차원에서 저학년, 고학년 학생들이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하며 새로운 것을 배우고, 서로 협력하면서 배움의 영역을 넓혀 갔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과도하게 많이 운영되고 있어 아동들은 프로그램 활동을 충분히 음미하고 몰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반적으로 지역아동센터는 가정-지역아동센터-학교 중간지대로 방과 후 아동들의 ‘돌봄’과 ‘배움’의 장이 될 뿐 아니라 방과 후 휴식, 쉼을 경험하는 공간이며 다양한 구성원들과 만남을 통한 ‘협력적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aily experiences of children in child community cen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caring’ and ‘learning’,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role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child centers based on the perspectives. Two child community cent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ite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more than seven months to observe children's daily live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other members of the cent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understanding children's daily lives in three dimensions (‘time’, ‘space’, and ‘activity’)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categorizing them in terms of ‘caring’ and ‘learning’. As a result, in the ‘time’ dimension, the child community centers support ‘caring’ and ‘learning’ in the 'middle ground' between home and school. In the ‘space’ dimension, the space in the center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ut sometimes it is necessary to encroach on each other's space of activity. In the ‘activity’ dimension, the children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 activities, learn new things,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expand the scope of learning.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children are unable to concentrate on program activities due to overrun programs. Accordingly, community child centers are not only places for ‘caring’ and ‘learning’ after school, but also places to experience rest after school,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being a community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encounters with various members.

      • 중학생의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분석

        박신희(Shin-Hee Park),고현(Hyun Ko)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敎科敎育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체화되어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G구에 소재한 중학교 1~2학년 27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12월 9~13일까지 5일 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자기조절력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스마트폰 몰입과 정서 및 행동조절의 자기조절력은 대인관계에 부정 및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자기조절력의 행동조절은 완전매개효과, 자기조절력의 정서조절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스마트폰 몰입에서 벗어나 학교생활에서 또래 및 교사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는 이들의 행동 및 정서조절과 같은 자기조절력을 강화하고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도록 다양한 여가 문화를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se days, middle school students more use their smartphone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urvey based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o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ir smartphone indul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achieve that, this study chose as study subjects 27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1st and 2nd years of the middle school in G-gu, Gwangju. A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Dec. 9 to 13, 2019.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program was appli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smartphone indulg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regulation, and smartphone indulgence and self-regulation of emotions and behavior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ly and negatively. Secondly,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martphone indul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behavioral self-regulation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complete medication, and the emotional self-regulation had partial medication. In ord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overcome their smartphone indulgence and make smooth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students and teachers in school,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ctively a variety of programs for enhancing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improvement in a variety of leisure culture in order to make them independent on smartphone.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박신희(Park, Shin Hee),민형덕(Min, Hyung Duk),고현(Go,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 C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4학년 24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4일 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지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를 완화 및 조절하고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이들의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지도교수를 비롯한 대학 내 안전한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해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and job-seeking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among students at a university. For the study, 246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C in Gwangju,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ook survey from December 30, 2019 until January 3, 2020.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based 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study and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college, as perceived by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and study and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predict th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and job-seeking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mediate and control study and job-seeking stress of students at provincial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ill need to introduc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and establish a safe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professors and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증례 : 감염 ; 배양 음성 심내막염처럼 발생한 심장 침범 베체트병 1예

        윤희영 ( Hee Young Yoon ),박신희 ( Shin Hee Park ),정수민 ( Soo Min Jeung ),서유리 ( Yu Ri Seo ),서보미 ( Bo Mi Seo ),김성한 ( Sung Han Kim ),유빈 ( Bin Yoo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9 No.2

        Behcet`s disease is an inflammatory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with multi-organ involvement. Although it rarely involves the heart, once the heart is involved the results can be devastating. However, since cardiac involvement has various manifestations, diagnosis is challenging. The clinical features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of cardiac Behcet`s may mimic culture-negative infective endocarditis. A correct diagnosis is usually made postoperatively.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55-year-old male who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that caused metastatic vertebral osteomyelitis. He underwent immediate cardiac surgery and received empirical antibiotics, but all culture findings were negative, however, he had a sustained fever and elevated inflammatory marker level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pathologic and imaging studies, a final diagnosis of cardiac Behcet`s disease was made.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high dose of corticosteroids. This report demonstrates a rare case of cardiac Behcet`s disease mimicking culture-negative infective endocarditis. (Korean J Med 2015,89:249-253)

      • KCI등재

        샤프엣지 개선을 위한 해석적 리스크 검토법

        남병군,박신희,김현섭,Nam, Byeung Gun,Park, Shin Hee,Kim, Hyun Sup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4 자동차안전학회지 Vol.6 No.2

        In order to prevent the sharp edge during the side impact, a cause analysis and CAE based risk prediction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harp edge occurs mainly because of stiffness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parts and structural stress concentration. It could be improved by directly reinforcing the crack initiation region or by weakening the joints connecting the parts. The fracture criterion based on major in-plain strain was suggested and the risk prediction process for sharp edge prevention was established.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내 배려관계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김민성(Kim Min seong),박신희(Park Shi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맥락에 기반한 배려관계형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려관계 형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과 배려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지역아동센터 구성원에 대한 요구조사와 6개월에 걸친 지역아동센터 관찰과 구성원 면담에 기반하여 센터종사자와 교사용 교육(3차시)과 10회기의 아동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센터 규모와 운영목표가 유사한 4개 지역아동센터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2개의 센터를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에 속한 센터별로 매주 1회씩 총 10주에 걸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종합하였다. 먼저, 배려행동 사전검사점수와 학년별 아동의 차별적 구성을 공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통제하고 배려행동 사후검사점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 진행과정과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의 행동에 대한 관찰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센터 구성원 간 배려관계가 형성되고 아동들의 배려행동이 증진되고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들 간에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친밀한 대화를 자주 나누게 되었고, 서로를 이해하고 고마움을 표현하는 기회를 만들게 되면서 배려관계가 지속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려관계형성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promoting caring relationships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Based on the literature about caring and caring enhancing programs with an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xt of community child centers, a caring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at two different centers once a week over 10 week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integrating an experimental-control group with pre-and post test design and observation/interview data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The finding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caring behavior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dicating the effect of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revealed sustaining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and center teachers’ caring behaviors and attitudes which played a role for developing caring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 예비보건교사의 역량중심 교직과정 개발을 위한 FGI 연구

        최미정(Mi-jung Choi),박신희(Shin-Hee Park),최춘화(Chun-Hua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이 연구에서는 예비보건교사를 위한 역량중심 교직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초점집단 면담(FGI)을 사용하였다. 초점집단 면담에는 G광역시에서 근무하는 보건교사 총 5명이 참여하였으며, 인터뷰 결과 보건교사들은 역량 있는 보건교사 양성 교직과정을 위해 교과내용에 전문지식과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처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두 번째, 비교과영역에서 역량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학생들에게 문제상황에 기반한 문제해결학습, 프로젝트학습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최근 보건교사의 업무와 관련하여 새롭게 강조되어야 할 영역으로 감염병 대처능력, 의사소통능력, 비대면 수업능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사항이 예비보건교사를 위한 역량기반 교직과정에 포함되기를 희망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focus group interviews (FGI)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velop competency-based teaching courses for pre-health teachers. The focus group meeting involved a total of 5 health teachers working in G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for health teachers to develop their expertise in the curriculum and their abilit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in order to educate competent health teachers. Second, as a way to increase competence in the area of extracurricular areas, it was proposed that students should participate in problem-solving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based on problem situations. Third, we recently proposed new areas of emphasis in relation to the work of health teachers such as infectious disease cop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non-face-to-face teaching skills. It was hoped that such matters would be included in the competency-based teaching process for pre-health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