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수트디자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박순천(Park Sun Cheon) 한국복식학회 2003 服飾 Vol.53 No.6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profitable suit image design of middle-aged men by examining visual effects in physical design. The sample of this study is people who lives in Kwangju, the Republic of Korea and 20-50age`s men and women. And it is very variety in each population statistics factors the differences of associate design visual effect which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sex and age group, numbers of button, a figure and material pattern. Firstly, look into the associate design visual effect by sex and button number. In men`s group, the style with three buttons was the most attractive and that with two buttons was the least attractive. In 50`s group, the style with two buttons was the least attractive and those with 1.3 and 4 buttons were a little attractive. Secondly, in the difference of associate design with sex and shape, men`s group was considered that standard type was the most attractive shape, women`s group was thought that lean and standard types were the most attractive shape. So we can know that the attractive shape is different with sex. In the difference of association design with age and shape, 20`s considered that standard type was the most modernistic and fat type was the least modernistic. 30`s considered that lean type was the most modernistic and 50`s thought that fat type and standard type were the most modernistic. Thirdly, see the sex and material pattern. In familarity, men`s group considered that stripe pattern was more familiar than checks and plain patterns. And they considered that striped pattern and plain was more manly than checks. In sex and material pattern, 20`s thought that plain was the most attractive. stripe was the next. and checks was not attractive. 40`s estimated that plain and stripe were more attractive than checks. 50`s judged that stripe was the most attractive material. `Thus, the attraction is different with ages and material patterns.

      • KCI등재

        천리안 위성영상(MI)과 Landsat-8 위성영상(OLI, TIRS)을 이용한 화산재 정보 산출: 사쿠라지마 화산의 사례연구

        최윤호,이원진,박순천,선종선,이덕기,Choi, Yoon-Ho,Lee, Won-Jin,Park, Sun-Cheon,Sun, Jongsun,Lee, Duk Kee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화산재는 화산쇄설물 중 2 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작은 미세 암편으로 화산 분화 이후 낙하에 의해 여러 가지 피해를 가져온다. 화산재 피해는 운송업과 생산업 그리고 동 식물 및 인간의 호흡기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산재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정보가 중요하며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화산재 관측은 위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사쿠라지마 화산의 두 번의 분화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의 기상 탑재체(Meteorological Imager: MI) 영상과 극궤도 위성인 Landsat-8의 Operational Land Imager (OLI),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 확산 정보를 산출하였다. COMSMI 영상으로부터 화산재 화소를 추출하여 화산재의 확산 방향과 속도를 분석하였으며, Landsat-8 영상에 대하여 그림자 측정법을 적용하여 화산재 높이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를 도쿄 화산재 주의보센터(Volcanic Ash Advisories center: VAAC)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화산재 확산의 방향은 두 연구에서 모두 유사한 방향으로 산출되었으나 화산재 속도는 화산재주의보센터에서 제공되는 속도에 비해 약 4배 느리게 산출되었다. 또한, 화산재 높이는 화산재 주의보센터 정보에서는 단일 값으로 제공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측됨을 확인하였다. VAAC의 경우 화산 분화의 빠른 대응을 위해 분화구 주변 지역에 대해 대략적 값을 산정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 화산재 확산이 관측된 다양한 영상으로부터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분화가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관측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영역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Volcanic ash is a fine particle smaller than 2 mm in diameters. It falls after the volcanic eruption and causes various damages to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spiration of living things. Therefore diffusion information of volcanic ash is highly significant for preventing the damages from it. It is advantageous to utilize satellites for observing the widely diffusing volcanic ash. In this study volcanic ash diffusion information about two eruptions of Mt. Sakurajima were calculated using the geostationary satellit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Meteorological Imager (MI) and polar-orbiting satellite,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 (OLI) and the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volcanic ash diffusion were analyzed by extracting the volcanic ash pixels from COMS-MI images and the height was retrieved by adjusting the shadow method to Landsat-8 images. In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ose of Volcanic Ash Advisories center (VAAC), the volcanic ash tend to diffuse the same direction in both case. However, the diffusion velocity was about four times slower than VAAC information. Moreover, VAAC only provide an ash height while our study produced a variety of heigh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sh diffusion. The reason for different results is measured location. In case of VAAC, they produced approximate ash information around volcano crater to rapid response, whil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ash diffusion whole area using ash observed images. It is important to measure ash diffusion when large-scale eruption occu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ash information about the ash diffusion area us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satellite images.

      • KCI등재

        Landsat 위성 영상으로부터 Modified U-Net을 이용한 백두산 천지 얼음변화도 관측

        이어루,이하성,박순천,정형섭,Lee, Eu-Ru,Lee, Ha-Seong,Park, Sun-Cheon,Jung, Hyung-Sup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Cheonji Lake, the caldera of Baekdu Mountain, located on the bord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alternates between melting and freezing seasonally. There is a magma chamber beneath Cheonji, and variations in the magma chamber cause volcanic antecedents such as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water pressure of hot spring water. Consequently, there is an abnormal region in Cheonji where ice melts quicker than in other areas, freezes late even during the freezing period, and has a high-temperature water surface. The abnormal area is a discharge region for hot spring water, and its ice gradient may be used to monitor volcanic activity. However, due to geographical, political and spatial issues, periodic observation of abnormal regions of Cheonji is limit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ice change in the optimal region was quantified using a Landsat -5/-7/-8 optical satellite image and a Modified U-Net regression model. From January 22, 1985 to December 8, 2020, the Visible and Near Infrared (VNIR) band of 83 Landsat images including anomalous regions was utilized. Using the relative spectral reflectance of water and ice in the VNIR band, unique data were generated for quantitative ice variability monitoring. To preserve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from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bands, ice gradient was noticed by applying it to U-Net with two encoders, achieving good prediction accuracy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140 and a correlation value of 0.9968. Since the ice change value can be seen with high precision from Landsat images using Modified U-Net in the future may be utilized as one of the methods to monitor Baekdu Mountain's volcanic activity, and a more specific volcano monitoring system can be buil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진해일 시나리오 DB에 기반한 동해안 지진해일 위험 지역 분류

        손동효(Sohn Dong Hyo),박순천(Park Sun Cheon),이준환(Lee Jun Whan),문광석(Moon Kwang Seok),김현승(Kim Hyun Seung),이덕기(Lee Duk Kee)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개선된 기상청의 지진해일 시나리오 DB에 기반하여 일본 서안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해 피해 가능성이 높은 동해안 지역을 파고에 따라 분류하였다. 시나리오 DB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수치모의시 최신의 수심 및 해안선 자료와 육지정보를 사용하였고, 격자해상도를 높였다. 일본 서안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임원부근 지역에서 제일 높은 파고를 형성하고, 경상지역보다 강원지역에 더 높은 파고를 유발하였다. 파고는 지진 규모가 커질수록 높아졌고,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동해 판경계부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주의가 필요하고, 지진해일 발생시 임원부근 해안에 대해서는 중점적인 관측이 필요하다. We classified the area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which are highly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tsunami that occurred along the northwestern coast of Japan using the improved tsunami scenario databas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database, we used the latest data on bathymetry, coastline, and land information and increased grid resolution for numerical simulation. When tsunami occurred along the northwestern coast of Japan, the maximum wave height appeared in the around Imwon. And the wave height of Gangwon coastal area was higher than those of Gyeongsang. The tsunami height increased as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increased and decreased as it moved southward along the eastern coast. In conclusion,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n earthquake of magnitude 7.0 or greater occurs in the plate boundary region of the East Sea. And when a tsunami occurs in this region, we need to focus on the area near Imwon.

      • 한반도 지진관측망 편향 지진 위치 재분석

        채경돈(Gyeongdon Chai),박순천(Sun-Cheon Park),박종숙(Jong Suk Park),조창범(Changbeom Cho),최미경(Mikyung Choi),강태섭(Tae-Seob Ka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기상청 디지털 지진관측망은 1999년 18개의 관측소에서 2021년 8월 현재 265개소에 이르기까지 점차 관측 밀도가 향상되고 있다. 진앙 기준으로 근거리 관측이 가능하고 방위각에 따라 고르게 배치된 관측소 분포는 지진관측망 포괄 영역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정확한 진원 결정에 적합한 조건이다. 그러나 지진관측망 밀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로 내륙에 치중된 지진관측소 분포로 인하여 한반도 해역과 북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에 대한 진원 결정의 불확실성에는 큰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일차적인 원인은 지진관측망 외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지진파를 기록하는 지진관측소가 진원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만 기록되어서, 결정된 진원의 위치 오차 범위가 편향 방향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지진파의 전파 경로에 대한 속도모델은 관측망 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정확하거나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부 지진관측망 영역 외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원 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확실한 속도구조 정보로 인한 제약을 우회하고 관측 지진파 위상의 주시에 대한 계산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진원 결정 방법인 velellips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관측 파형 정보인 P/S파 도달시간을 활용하여 초기 속도모델을 수정하면서 주시 계산을 반복하여 그 오차가 최소가 되는 진원 변수를 최종적으로 산출한다. 최종 진원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정된 속도모델은 실제 지진파 속도구조를 반영하기 보다는 지진파 주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합성한 결과이기 때문에, 관측 주시에 대한 최적 속도모델로 간주된다. 속도모델이 정확하지 않은 지역에서 이와 같은 진원 분석방법은 속도모델을 고정하여 진원을 결정하는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지진파 파선 경로에 대한 속도 변화를 평균적으로 잘 반영할 수 있다. 지진관측망에 대하여 편향된 지진의 위치 재분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상청 지진목록으로부터 2020년 동안 한반도 주변 해역과 북한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모든 지진의 진원을 재결정하였다. 분석 가능한 진원 거리의 한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내륙에서 더 먼 거리에서 발생한 해역지진과 2020년 북한 지역 진원 재결정 실패 지역 중심으로 분석할 지진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기상청 지진 통보 기준에 부합하는 규모 2.0 이상, 그리고 지진 통보 영역에 해당하는 한반도 해역 대부분과 북한의 강원도, 황해도 및 평안도 남부 일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원 재결정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영역은 기상청의 국내 지진조기경보 영역과 대체로 유사하다. 따라서 velellipse 알고리즘 방법을 기상청의 지진 초기분석 이후에 진원 재결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주파 에너지 방사지속시간을 이용한 지진규모산정법: 지역지진에의 적용

        윤원영 ( Won Young Yun ),박순천 ( Sun Cheon Park ),전영수 ( Young Soo Jeon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1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4 No.3

        일본 주변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지진의 규모를 신속하게 결정하기 위해 고주파에너지 방사지속시간을 이용한 규모산정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방법을 지역지진 자료인 기상청 지진관측 자료에 적용하여 일본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6.0이상 14개 지진의 규모를 산정하였다. 관측된 속도 지진파형 자료에 2~4 Hz의 대역필터를 적용하여 고주파 에너지 지속시간을 계산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규모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규모가 커질수록 지진의 지속시간도 길어지는 경 향을 보였으며, 지역지진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규모 값이 원거리지진자료로 얻은 규모와 적은 오차를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결과 일본 근해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에 대해서 기상청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규모를 산정하고 지진해일 유발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We studied magnitude determination method using high-frequency energy radiation duration to calculate rapidly magnitude of large earthquakes that occurred around Japan. Fourteen earthquakes were analyzed using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ata. We calculated duration of high-frequency energy radiation with 2~4 Hz band pass filter at each data and estimated magnitude. As a result, duration becomes longer as magnitude becomes larger and the magnitude estimated using regional earthquake data are similar to that using teleseismic data. Therefore when an earthquake occurs around Japan we will be able to estimate the magnitude in a relatively short time using KMA data and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if the earthquake is large enough to produce tsunam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