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합병증이 병발된 슬관절 치환술에 시행한 관절경술의 효용성

        김경태,이송,고동오,김관수,김태우,박순열,Kim, Kyung-Tae,Lee, Song,Ko, Dong-Oh,Kim, Kwan-Soo,Kim, Tae-Woo,Park, Soon-Youl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슬관절 치환술 후에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관절경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합병증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받았던 25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5예 중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경우가 19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예가 6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에 합병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관절액 천자 및 혈액학적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관절경술 시행 시 진단으로는 전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감염 11예, 관절의 유착 및 섬유화로 인한 운동 제한 6예, 연부 조직의 충돌 2예 등이 있었으며,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반월상 연골 파열, 유동성 치환물의 아탈구, 혈관절증, 관절 내 시멘트 유리체, 연부 조직 충돌 및 슬관절 강직으로 인한 운동 제한이 각각 1예 씩 총 6예가 있었다. 감염이 있던 11예 중 9예에서 관절경술만으로 치료가 되었고, 관절 강직이 있던 7예는 평균 슬관절 운동 범위가 술 전 $65^{\circ}$에서 최종 추시 시 $105^{\circ}$로 향상 되었으며, 나머지 예에서도 관절경술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로 시행한 관절경술은 적절한 환자의 선택 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the complications of knee arthroplast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25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y to treat complications of knee arthroplasty between May 1992 and June 2008. Nineteen cases out of 25 ha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he remaining 6 cases had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Before arthroscopy, physical examinations and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auses of complications. Joint fluid aspiration and hematologic evaluation were added when infection was suspected. Results: Among the diagnosis at the time of arthroscopy, there were 11 cases of infection, 6 cases of stiffness due to adhesion and fibrosis, and 2 cases of soft tissue impingement in the cases of TKA. Among the cases of UKA, one for each case of meniscal tear, subluxation of mobile insert, hemarthrosis, cement loose body, soft tissue impingement, and stiff knee was found. Nine out of 11 patients who had infection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arthroscopy but the remaining 2 cases underwent revision arthroplasty. Seven patients with arthrofibrosis had improved range of motion from $65^{\circ}$ preoperatively to $105^{\circ}$ postoperatively. The others also showed successful results after arthroscopy. Conclusion: Arthroscopy to treat complications after knee arthroplasty wa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when appropriate selection of patients was made.

      • KCI등재

        무증상 슬개 대퇴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내측 슬관절 부분 치환술의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김관수(Kwan Soo Kim),김태우(Tae Woo Kim),박순열(Soon Youl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슬관절 내측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슬개 대퇴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정도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Oxford<SUP>®</SUP> phase 3를 사용하여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5년 이상 추시기 기능했던 121명, 15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중 슬개 대퇴 관절의 퇴행성 변화 정도를 관찰하여 4개의 권(Ⅰ군-78예, Ⅱ군-40예, Ⅲ군-27예, Ⅳ군-11예)으로 분류하여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6년 2개월 추시 결과 모든 군에서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 및 운동 범위가 수술 후 의미있게 향상 되었으며 대퇴경골 각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슬개 대퇴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없거나 경미했던 Ⅰ, Ⅱ 군에 비하여 중등도 이상의 퇴행성 변화를 보았던 Ⅲ, Ⅳ군에서 수술 전 슬관절 점수와 대퇴경골 각은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수술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슬관절 기능 점수와 운동 범위는 술 전과 술 후 모두에서 각 군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슬개 대퇴 관절의 문제로 인한 합병증이나 실패는 없었다. 결론: 내측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수술 시야에서 분류한 슬개 대퇴 관절의 퇴행성 변화 정도와 상관없이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내측 슬관절 부분치환술은 슬개 대퇴 관절 증상이 없다면 슬개 대퇴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있더라도 시행이 가능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egenerative changes in the patellofemoral joint on the clinical results of medial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2, we operated on 180 cases of minimally invasive UKA using the Oxford<SUP>®</SUP> phase 3. Of the 180 cases, 156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period of 5 years. Based on intraoperative degenerative findings of the patellofemoral joint, we classified cases into 4 groups (Group Ⅰ-78 cases, Group Ⅱ-40 cases, Group Ⅲ-27 cases, Group Ⅳ-11 cases), and the clinical data were analyzed prospectively. Results: During follow-up, which averaged 6 years and 2 months, the knee score, the knee function score, the range of knee motion and the tibiofemoral angl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0.05) in all groups. The preoperative knee score and the tibiofemoral angle in the mild degeneration group (Ⅰ, Ⅱ) were higher than in the severe degeneration group (Ⅲ, Ⅳ) (p<0.05).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postoperative knee score, the knee function score, the range of knee motion and the tibiofemoral angle (p>0.05). To date, no complication or failure involving the patellofemoral joint has been observed. Conclusion: Clinical results of UKA are satisfactory for all groups, and the severity of patellofemoral degeneration has no influence on clinical outcome. Symptomless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patellofemoral joint is not a contraindication for medial UKA.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발생한 조기 실패의 원인과 치료

        김경태 ( Kyung Tae Kim ),이송 ( Song Lee ),김지형 ( Jee Hyoung Kim ),김관수 ( Kwan Soo Kim ),김태우 ( Tae Woo Kim ),박순열 ( Soon Youl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조기에 발생한 실패를 분석하여 그 원인과 치료 및 예방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총 687예 중 meniscal bearing 형 622예, tracked bearing 형 31예, fixed bearing 형이 34예였고 최소 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실패는 36예에서 발생하였다. 실패의 발생 시기는 수술 후 4개월부터 5년 7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원인으로는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가 20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 또는 경골 치환물의 조기 해리가 18예에서 발견되었으며 감염이 4예, 내측 경골과 골절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한 실패가 각각 1예 있었다. meniscal bearing 형은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로 인한 실패가 가장 많았고 tracked bearing 및 fixed bearing 형에서는 실패가 모두 치환물의 해리로 인해 발생하였다. 단순유동성 삽입물 탈구 중 9예는 유동성 삽입물의 교환으로 치료되었고 나머지 예들은 부분치환술로 재치환한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치환술로 재치환하였으며 감염이 있던 4예는 모두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부분치환술 후 조기 실패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환물을 선택하고 정확한 수기를 사용하여 수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실패 발생 시의 치료는 단순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는 유동성 삽입물의 교환을 일차 시도하고 치환물의 해리 등 다른 원인이 동반된 경우는 전치환술로 재치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auses, treatment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early failure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cas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87 cases of UKA that had been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6. There are 622 cases of the meniscal bearing type, 31 cases of the tracked bearing type and 34 cases of the fixed bearing type. All of the cases were performed by minimally invasive surgery. Results: Early failures after UKA were seen in 36 cases, and these failures occurred from 4 months postoperatively to 5 years 7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ere 20 mobile bearing dislocations, 18 femoral or tibial component loosenings, 4 infections, 1 medial tibial condylar fracture and 1 case of pain of unknown origin.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failed cases of the meniscal bearing type was bearing dislocation. All of the failed cases of the tracked and fixed types were from loosening of the component. Simple dislocations of bearing were treated by bearing change. All of the other cases were treated with revision TKA or UKA. Conclusion: Selection of an appropriate prosthesis and accurate surgical technique are needed to improve the clinical results and reduce failures. Open bearing change can be done for the cases of simple bearing dislocation, and revision TKA is needed if this is accompanied by other complications.

      • KCI등재

        환자의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가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 ( Kyung Tae Kim ),이송 ( Song Lee ),김진학 ( Jin Hak Kim ),김태우 ( Tae Woo Kim ),박순열 ( Soon Youl Park ),이정수 ( Jung S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가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기능과 수명 등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Oxford(R) phase 3 치환물을 이용하여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에서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54예(남자 13예, 여자 141예)를 대상으로 환자들을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따라 각각 두 군으로 분류하여 추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61.6세, 신장은 154.5 cm, 체중은 61.9 kg, 비만도(체질량 지수)는 25.9 kg/m2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6년 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의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술 전 평균 55.9점과 54.9점에서 최종 추시 시 87.9점과 82.4점으로 증가하였고 슬관절 운동 범위도 평균 129.7˚에서 133.5˚로 증가하였다.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군에서 수술 전 보다 수술 후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 및 슬관절 운동 범위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각 군 간의 비교에서 60세 미만의 환자가 60세 이상 환자보다 수술 전 기능점수가 더 높았고 신장이 155 cm 이상인 환자가 미만인 환자에 비해 술 후 운동 범위가 좀 더 컸으나 그 외에는 각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 치환물의 누적 생존율은 93.3%였으며 각 군간 생존곡선의 비교에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평균 6년 7개월의 추시 결과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따른 분류와 상관없이 모든 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각 군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비만도와 같은 환자의 특성이 Oxford(R) phase 3 부분치환술의 중기 추시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unctions and longevity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are influenced by such patient factors as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BMI)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cases. Materials and Method: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a UKA using an Oxford(R) phase 3 prosthesis, 154 cases (male: 13 cases, female: 141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their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BMI, and they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5 years after operation. Their mean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61.6 years, 154.5 cm, 61.9 kg and 25.9 kg/m2, respectively,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 years 7 months. Clinical assessments were done using the Knee Society Score rating system. Results: The average knee and function scores improved from 55.9 and 54.9 preoperatively to 87.9 and 82.4 at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and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improved from 129.7˚ to 133.5˚. The postoperative knee score, function score and range of knee mo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he groups. The group younger than 60 years old had better function scores preoperatively and the group of taller than 155 cm had a larger range of knee motion postoperatively, but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was 93.3%,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according to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BMI.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s of UKA were satisfactory in all the groups regardless of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BMI with a mean of 6 years 7 months follow-up,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ison between each group. Therefore, the mid-term clinical results of UKA using an Oxford phase 3 prosthesis are not influenced by these patient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