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박순미 ( Park Soon-mi ),손지아 ( Son Ji-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소득수준별로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가구유형이 노인부부세대, 연령대는 65-69세, 학력은 초등 졸인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소득수준별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상태, 친구 · 이웃 · 지인의 왕래 · 연락 변인은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수준 하 집단의 경우 건강상태, 친구 · 이웃 · 지인의 왕래 · 연락 정도, 형제 · 자매 등 왕래 · 연락 정도, 각종 복지, 문화 시설 또는 서비스 이용여부, 노인복지기관 이용여부 등이, 소득수준 중 집단은 건강상태, 친구 · 이웃 · 지인의 왕래 · 연락 정도, 각종 복지, 문화 시설 또는 서비스 이용여부, 형제 · 자매 등 왕래 · 연락 정도 등이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 상 집단은 건강상태, 형제 · 자매 왕래 · 연락 정도만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득수준 하, 중 집단에서는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 체계의 영향력이 크며, 소득수준 상 집단은 개인적 요인들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소득수준별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As the nation rapidly steps into the aging society, comprehensive understating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is critical to improve their well-being.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NSE) of the 2014,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 set of variables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as tested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1) health condition; (2)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3) employment status; (4) informal social support. (5) formal social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as further tested by households income groups: lower income, middle income, and higher incom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rovided some evidences that predictors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are varied by income groups. In sum, contacts with friends, acquaintances and formal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lower income group and middle income group. individua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higher income group. Finally,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욕창교육의 효과

        박순미 ( Soon Mi Park ),민지선 ( Ji Seon Min ),전성숙 ( Seong Sook Jun ),정인숙 ( Ihn Sook Jeong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3 No.2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ystematic pressure ulcer(PU) education on the PU care knowledge, adherence to PU risk assessment, and PU occurrence. Methods: This study adopted prospective one group experimental stud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staff nurses(242 for pre-education period and 239 for post-education period) and inpatients(2,808 for pre-education period and 3,106 for post-education period). One-hour PU education was provided by a wound care nurse to all nurses.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hecklist. Results: Average PU care knowledge increased from 29.5 to 30.6 points(p<.001). Adherence to PU risk assessment also increased from 41.8 to 100 percent(p<.001). PU incidence per patient decreased from .96 to .89 pr 100 patients,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s: One-hour PU education was helpful to improve the PU care knowledge and adherence to PU risk assessment, but it could not lead to decrease the PU occurrence. We recommend nurses utilized this PU education program, and also recommend further studies to see the effect of PU education provided repeatedly and longer than 1 hour on decreasing PU occurrence.

      • KCI등재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박순미(Soon-Mi Park),손지아(Ji-A S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3.71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을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생 개인요인에서는 실습수행도(β=.123, t=2.405, p<.05), 실습기관 요인에서는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β=.176, t=2.446, p<.05), 학교 요인에서는 실습수업 만족도(β=.284, t=5.061, p<.001) 등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 요인을 모두 고려할 경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실습수업내용 만족도(β=.257, t=4.49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related factors on empower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s 3.7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sector by divid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ums affecting the empowerment into individual factors, practical institutional factors, and school factors. Degrees of practice(β=.123, t=2.405, p<.05),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pervisor(β = .176, t = 2.446, p <.05),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acticum(β=.229, t=4.018, p<.001) were found to affect the empowerment in each sector. But in final analysis with all factors have been concerned,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acticum(β=.257, t=4.495,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ower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박순미(Park Soon Mi),손지아(Son Ji A),배성우(Bae Sung-W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이 지니는 횡단적 분석에 따른 결과의 상이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곡선모형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을 활용하여 8년간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과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의 변화 궤적을 검증하였다.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반적으로 성장하지만 성장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둔화되는 볼록 포물선의 형태로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기초하여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건부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연령, 교육,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의 성별과 결혼상태 변화는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we utilized the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KLIP) and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ver 8 years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over time.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change pattern was curvelinear indicating that the growth rate was decreasing little by little over time. Second,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us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hat age, education level,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chang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사용교육이 측정자 간 일치도에 미치는 효과

        박순미 ( Soon Mi Park ),송정화 ( Jeong Hwa Song ),김미란 ( Mi Ran Kim ),정인숙 ( Ihn Sook Jeong )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inter-rater agreement of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for clinical nurses working at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is was single-arm pre and post 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2 nurses and 128 hospitalized neonates at a NICU from December, 2012 to March, 2013. Twelve nurse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for two groups were assigned nurses with 3 to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and for the others with less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The interventions were given by one wound ostomy specialist and two NICU nurses with over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or 1 hour twice.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measured by intraclass-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Overall inter-rater agreement was improved from .87(95% CI: .80~.92) at the pre-test to .94(.91~.96) at post-test. Each inter-rater agreement except moisture and nutrition was also improved. Conclusion: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on scoring for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inter-rater agreement among clinical nurses. We suggest to privide an education for NICU nurse before using the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in clinical settings.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습성과의 매개효과

        박순미(Park, Soon Mi),손지아(Son, Ji 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실습성과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수업 만족도만이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실습성과 수준이 증가할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성과는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내용적절성 만족도,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 실습지도교수 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수업 만족도와 임파워먼트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 향상과 나아가 이들의 임파워먼트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racticum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racticum outcom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Gyeongsangnam-do and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First, the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as found to have direct impact upon their empowerment. Second, it became evident that the empowerment of the students is intensified as the level of their practicum outcomes escalates.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ath from practice content suitability, supervisor satisfaction and practicum advisor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fu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And the path from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partia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ould be discussed to take measures to enhancement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rom the practicum satisfaction and to promote their empowerment a practical manner as part of policy intervention

      • KCI등재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순미(Soon Mi Par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역할 즉,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처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패널 2차년도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건강상태 변수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노인의 건강상태가 매개변수인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미하였고, 매개변수인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이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참여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절효과 검증에서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 유무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 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경제활동 유무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활동과 경제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상태 유지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ealth status on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diated and moderated by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used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Data(KLoSA) 2008 that was collected all over country by Korea Labor Institute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as the following. Functiona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economic activities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satisfaction. And social activities have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satisfaction and have the moderating effects of functional health status on life-satisfaction and economic activities have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considered in enhacing the quality of life-satisfaction. Also functin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re closely related to life-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address elderly life-satisfacion on drawing attention as social activities, economic activies programs are prepared for elderly welfare programs.

      • KCI등재

        일개 신설 대학교 병원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적응 경험

        박형숙(Park, Hyoung Sook),김경남(Kim, Kyoung Nam),강은희(Kang, Eun Hee),이전마(Lee, Jeon Ma),박순미(Park, Soon Mi) 기본간호학회 2011 기본간호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ICU nurses who were working in a newly established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was based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Method: Data were collected over 3 months through in depth interview with 6 new nurses who had worked less than 1 year in a newly established ICU of university hospital of less than 1 year located in Y city. The Colaizzi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themes were classified into 13 themes clusters. The 13 themes clusters were finally grouped into 6 categories, ‘The endlessness of a new beginning’, ‘Pressure of work due to lack of senior nurses’, ‘Wanting to quit’, ‘Attachment for the complete hospital and ICU’, ‘Preciousness of colleagues’, ‘Pride in self-growth’. Conclusion: New ICU nurses have a difficult time due to pressures of work and lack of expert knowledge, and anxiety adds to these problems making the situation more difficul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through repetition of difficult work, pride through self growth, recognition from others and good-fellowship are driving forces to overcome obstacles and with stand difficult daily work.

      • KCI등재

        보건ㆍ복지계열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 Jung-yeon Park ),박순미 ( Soon-mi Par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7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보건ㆍ복지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발달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내 보건ㆍ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20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각 변인의 평균값은 5점 만점 기준 진로발달수준 3.54, 대생활적응 3.07, 사회적 지지 3.59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하위영역 평균값으로 학업적응 3.02, 사회적응 3.14, 정서적응 2.92, 대학환경만족 3.27, 사회적 지지 하위영역 평균값으로 친구 지지 3.83, 가족 지지 3.97, 교수 지지가 2.9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발달수준 영향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대학생활적응(β=0.318, p<0.001), 사회적 지지(β=0.222, p<0.001) 모두 진로발달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활적응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발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 하위 영역, 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각각 진로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대학생활적응 하위 영역에서는 학업 적응(β=0.313, p<0.01)이, 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에서는 친구지지(β=0.190, p<0.001)가 진로발달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친구 지지가 많을수록 진로발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ㆍ복지 전공대학생들의 진로발달수준을 높이기 위한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or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Gyeongsangnam-do area. There was a total of 203 study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t of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main variables are as follow; career development was 3.54, college adjustment was 3.07, social support was 3.59. Second,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In other words, higher the college adjustment and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development. Third, academic adjustment among the sub-areas of college adjustment and friend support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