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황금(黃芩)성분, 바이칼레인의 항산화적 성질과 화장품에의 응용(제1보)

        박수남 ( Park Su Nam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5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성분인 baicalein (5,6,7-trihydroxyflavone)을 포함하는 몇 가지 천연 항산화제들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Baicalein (10~100μM)은 농도-의존적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지질 과산화 연쇄반응의 차단제인 (+)-α-tocopherol 보다도 더 효과적이었다. Baicalein의 배당체인 baicalin, 수용성 항산화제인 L-Ascorbate, 철-킬레이트제인 diethylenetriamine-N,N,N`,N,N-pentaacetic acid (DTPA)는 광용혈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¹O₂ 소광제로 알려진 α-carotene-3,3`-diol (lutein)은 현저한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rose-bengal로 증감된 광용혈에 있어서 ¹O₂이 중요함을 가리킨다. L-Ascorbate (500μM)는 광용혈을 촉진하였다. 하지만, ascorbate를 baicalein 용액에 첨가하면 상승적으로 보호 효과를 증가시켰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₂O₂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에 대한 몇 가지 천연 항산화제들의 ROS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산소 소거활성(OSC_(50)의 크기는 DTPA≫baicalin≫L-ascorbate>(+)-α-tocopherol>baicalein 순이었다. Baicalein의 OSC_(50)는 34.0μM이었다.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의 크기는 L-ascorbate>α-tocopherol>baicalein>baicalin 순으로 나타났다. Baicalein은 rose-bengal의 광 증감반응에 의하여 산화되었다. 그 산화는 ascorbate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는 광용혈에 있어서 ascorbate와 baicalein의 협동작용이 플라본을 재생시키는 ascorbate에 의한 산화된 baicalein의 환원에 기인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baicalein이 ¹O₂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ascorbate와 협동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some natural components including baicalein (5,6,7-trihydroxyflavone) from Scutellaria bairnlensis Georgi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Baicalein (10-100 μM)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ipid peroxidation chain blocker, (+)-a tocopherol. The glycoside of baicalein, baicalin, the water soluble antioxidant, L-ascorbate, and the iron chelator, diethylenetriamine-N,N,N`N``,N``-pentaacetic acid (DTPA), did not exhibit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photohemolysis. a-Carotene-3.3`-diol (lutein) well known as singlet oxygen (^(1)O_(2)) quencher exhibited the pronounced protective effect, an indication that ^(1)O_(2) is important in photohemolysis sensitized by rose-bengal. Ascorbate (500 μM) stimulated photohemolysis. However, baicalein with ascorbate promoted the protective effect synergistically.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ies (OSC_(50)) of some natural antioxidants including baicalein on ROS generated in Fe^(3+)-EDTA/H_(2)O_(2) system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were investigated. The order of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was DTPA 》baicalin 》L-ascorbate > (+)-a-tocopherol > baicalein. OSC_(50) value of baicalein was 34.0 μM. The order of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ydrazyl, DPPHD scavenging activity(FSC_(50)) was L-asorbate > a-tocopherol > baicalein > baicalin. Baicalein was oxidized by the photosensitization of rose-bengal and the oxidation was suppressed by ascorbate. It is suggested that the cooperation of baicalein with ascorbnte in photohemolysis may be due to reduction of oxidized baicalein by ascorbate regenerating the flav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icalein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solar radiation by quenching and/or scavenging ^(1)O_(2) and other ROS, and cooperating ascorbate in the protection of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 KCI등재

        마디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및 주성분 분석

        박수남 ( Soo Nam Park ),김민지 ( Min Ji Kim ),김수지 ( Su Ji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에서 마디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법과 화학발광법에 의하여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α-tocopherol과 L-ascorbic acid 보다도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막 보호 효과 또한 연구되었다. 마디풀 추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지질과산화 연쇄반응의 차단제인 (+)-α-tocopherol (τ50= 38min)에 비교하여 더 우수한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τ50 = 314.7 min and 264.6 min at 10 μg/ml). 마디풀추출물의 TLC, HPLC, LC/ESI-MS/MS, 그리고 NMR을 이용하여 주성분을 분석한 결과,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주성분은 myricitrin, avicularin, quercitrin으로 확인되었으며 마디풀 추출물의 아글리콘 분획의 주성분은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마디풀 추출물은 에틸 아세테이트와 아글리콘 분획에서 여러가지 활성산소종에 대한 총항산화능과 1O2으로 유도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디풀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Polygonum aviculare (P. aviculare)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and the aglycone fraction from P. aviculare extracts were more active than (+)-α-tocopherol and L-ascorbic acid, which are known as strong antioxidants for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by the DPPH method and chemiluminescence assay.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ractions of P. aviculare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10 μl). In particular, the ethyl acetate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 μl showed the most prominent protective effect among all the extracts (τ50, 314.70 min). TLC and HPLC chromatogram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aviculare extracts revealed 3 main bands (PA8, PA5, PA6) and peaks (peak 1, peak 2, peak 3), which were identified as myricetin-3-O-rhamnoside (myricitrin, PA8, peak 1), quercetin-3-α-rhamnoside (quercitrin, PA6, peak 3) by LC/ESI-MS/MS and 1H-NMR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from P. aviculare could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as antioxidants.

      • SCOPUSKCI등재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 억제를 통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박수아 ( Su Ah Park ),이혜미 ( Hye Mi Lee ),하지훈 ( Ji Hoon Ha ),전소하 ( So Ha Jeon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공업화학회 2014 공업화학 Vol.25 No.5

        Dendropanax morbifera (D. morbifera) grow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and on Jeju Island in Korea. In this study, D. morbifera leaf extract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its whitening effect.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extract on melanogenesis were tested in B16 melanoma cells treated with the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D. morbifera leaf extracts remarkably decreased the melanin content at 25 and 50 μg/mL. Th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the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In conclusion,D. morbifera leaf extracts would show a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ies and the expressionof enzymes directly involved in the melanin biosynthe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of D. morbifera leafextracts show potential for application as a whitening agent in the new whitening cosmetics.

      • KCI등재후보

        비파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성분분석

        김수지 ( Su Ji Kim ),박진오 ( Jino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비파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및 추출물/분획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파엽 추출물의 자유라디칼(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50 % 에탄올 추출물(22.63 μg/mL)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6.75) < 당을 제거시킨 아글리콘(aglycone) 분획(5.06) 순으로 증가하였다. 루미놀(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OSC<sub>50</sub>, 0.75 μg/mL), 아글리콘 분획(0.79) 및 50 % 에탄올 추출물(1.61)에서 모두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파엽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비파엽 추출물은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5 ~ 50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390.8 min, 50 μg/mL 농도에서 τ50이 1471.5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IC<sub>50</sub>)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75.25 μg/mL) < 50 % 에탄올 추출물(74.1 μg/mL) < 아글리콘 분획(43.35 μg/mL) 순으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보타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비파엽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TLC 분석 결과 7개의 띠(EJL 1 ~ EJL 7)가 나타났다. HPLC로 아글리콘 분획을 분석한 결과 kaempferol 및 quercetin이 각각 53.7 % 및 46.3 %였으며, 따라서 추출물 중에는 kaempferol 및 그 배당체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파엽 추출물 또는 분획이 <sup>1</sup>O<sub>2</sub> 및 다른 ROS를 소거 또는 소광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해서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및 분획물은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inhibitory activity on tyrosinase, and active components of Eriobotrya japonica (E. japonica) leaf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of extract/fraction of E. japonica leaf was in the order 50 % ethanol extract (22.625 μg/mL) < ethyl acetate fraction (6.75) < deglycosylated aglycone fraction (5.06).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fraction/extract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assay were investigated. OSC<sub>50</sub>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glycosylated aglycone fraction, and ethanol extract were 0.75, 0.79, and 1.61 μg/mL, respectively.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E. japonica leaf extract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 of E. japonica leaf were increased in a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5 ∼ 50 μg/mL). Especially, τ50 of ethyl acetate fraction at concentrations of 10 μg/mL and 50 μg/mL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s at 390.8 min and 1471.5 min. The inhibitory effect (IC<sub>50</sub>) on tyrosinase of E. japonica leaf extracts was higher than arbutin, known as a skin-whitening agent. The order of inhibitory effects was acetate fraction (75.25 μg/mL) < 50 % extract (74.1) < deglycosylated aglycone fraction (43.35). TLC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7 bands (EJL 1 ∼ EJL 7). HPLC of the aglycone fraction exhibited 2 peaks, kaempferol and quercetin. The amount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were 53.7 and 46.3 %. respectively. Therefore, The amounts of kaempferol and its glucoside were a little bit higher than quercetin and its glucoside in E. japonica leaf extract. According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fractions of E. japonica leaf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especial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Thus, the extract/fraction of E. japonica leaf may be used in novel functional cosmetics as antioxidants against skin photoaging.

      • SCOPUSKCI등재

        닥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박수아 ( Su Ah Park ),하지훈 ( Ji Hoon Ha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공업화학회 2013 공업화학 Vol.24 No.2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 analysi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B. kazinoki). extracts were investigated. B. kazinoki extract showed the effectiv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50=8.53μ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SC50)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 kazinoki. extracts in the luminol-dependent Fe 3+-EDTA/H2O2 system was 1.69μg/mL.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 kazinoki. extracts also exhibited more prominent cellular protective effects (τ50, 183.3min at 10μg/mL) than that of typical antioxidant α-tocopherol (τ50=38.00min) in the 1O2-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Componen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B. kazinoki extracts were analyzed by TLC, HPLC chromatogram, LC/ESI-MS/MS and 1H-NMR. Consequently, Components,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the kazinol J of kazinol series and luteolin (2-(3,4-dihydroxyphenyl)-5,7-dihydroxy-4-chromenone) of flavonoid series having antioxidant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fraction of B. kazinoki can be used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s exposed to UV radiation by quenching and/or scavenging 1O2 and other ROS, and protecting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Thus, the extract/fraction of B. kazinoki could be applicable to new cosmeceuticals.

      • KCI등재

        감초 플라보노이드 Liquiritin 및 Liquiritigenin을 담지한 피부전달체인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 제형 개발

        김수지(Su Ji Kim),권순식(Soon Sik Kwon),유은령(Eun Ryeong Yu),박수남(Soo Nam Park)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5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감초는 항산화/항염증 등의 작용을 나타내는 배당체 liquiritin 및 그 아글리콘인 liquiritigenin과같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전달체로 이들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그 특성과 피부 투과능을 조사하였다. 셀룰로오스와 NaOH/urea(1~10%) 용액 및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Liquiritin 및 liquiritigenin 담지를 위한최적의 하이드로젤은 셀룰로오스 용해를 위해 사용된 1~10%의 우레아 농도 중 6% 우레아 용액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이 동적 점탄성 및 수분 흡수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EM으로 관찰한 결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단면은 다공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in vitro 피부투과 실험 결과, 감초 플라보노이드 함유하이드로젤은 대조군보다 더 높은 피부 투과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이 감초 플라보노이드의 경피 전달에 있어 효율적인 피부 전달체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Licorice, widely used as a herbal medicine, has flavonoids such as liquiritin and its aglycone, liquiritigenin thatshow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Licorice flavonoid-loaded cellulose hydrogels were prepared as carriersfor skin drug delivery, and thei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porous cellulose hydrogel was made by reactingcellulose with epichlorohydrin as a cross-linking agent in NaOH/urea(1~10%) solutions. Through studies on the rheologicalproperties and water uptake of the hydrogel, a NaOH/urea(6%) solution was established as being optimum for thesynthesis of the cellulose hydrogel containing liquiritin and liquiritigen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bservationsof a cross-section of the prepared hydrogel indicated its porosity. In particular, in skin permeation experimentsusing a Franz diffusion cell, hydrogel containing the licorice flavonoids showed remarkable transdermal permeation compared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rous cellulose hydrogel is a potential drug delivery system toenhance the skin permeation of licorice flavonoids.

      • 초본계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시스템 운전 특성

        김수현(Kim, Su-Hyun),구재회(Gu, Jae-Hoi),박수남(Park, Su-Nam),서용교(Seo, Young-Yo),이일규(Lee, Il-Gyu),박용철(Park, Young-Chul)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중의 하나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기술을 들 수 있는데, 바이오매스 중 초본계 농업부산물인 왕겨, 볏짚은 2007년 기준으로2,456 천TOE/년의 가치를 가지며, 청정에너지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농업부산 폐자원은 퇴비, 가축사료 등의 단순 활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열분해 가스화를 통한 고효율 에너지 이용 시스템 개발로 기존 단순 활용에 그치던 농업부산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이용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본계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시스템에 대한 운전 특성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초본계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에너지 자원화 및 고효율 에너지 이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