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부담금이 약정된 자기차량손해 보험자의 구상권 범위와 상법 제682조 제1항 단서의 해석에 관한 연구 - 자기부담금의 성질 분석과 함께 -

        박세민 ( Park¸ Se-min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1 상사판례연구 Vol.34 No.1

        자기부담금이 약정된 자기차량손해의 보험자 구상금 범위에 관한 최근의 하급심은 전통적인 구상실무에 혼란을 야기할 만한 결론을 도출했다. 하급심에서 다룬 사건은 전부보험 형식으로 체결된 자기차량손해보험에서 보험자의 구상권 행사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하급심은 이와 성격이 다른 대법원 판례를 원용하였다. 문제가 된 대법원 판례는 일부보험 형식으로 체결된 화재보험에서 피보험자가 화재에 책임이 있는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이었다. 일부보험으로 인하여 보험금을 비례부담 원칙에 따라 지급되었고 그 결과 피보험자에게는 전보되지 않은 손해가 남아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가진 대법원 판례를 원용한 결과 하급심은 자기부담금 약정으로 인해 보험자로부터 지급받지 못한 자기 부담금 상당액을 피보험자가 전보받지 못한 손해로 보고, 전체손해액에서 이미 수령한 보험금을 공제한 나머지 손해 즉 전보받지 못한 손해인 자기부담금 상당액을 피보험자가 제3자에게 손해배상청구할 수 있다고 해석하면서 이 청구권 행사는 보험자의 대위권에 우선하는 것으로 판시했다. 이러한 하급심 판결은 보험료 할인 혜택을 얻기 위해 피보험자가 스스로 선택한 자기부담금 제도의 취지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해이와 역선택을 방지를 중요한 목적으로 하는 자기부담금 제도의 형해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피보험자의 손해가 상대방이 가입한 대물배상보험에 의해 먼저 처리되는지 아니면 자기차량손해 보험에 의해 먼저 처리되는지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의 구상금액의 범위가 달라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자기차량손해보험은 전부보험이다. 자기부담금이 약정된 자기차량손해보험에서 보험자가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했다면 이는 보험금 전부를 지급한 것이며 따라서 제682조제1항 단서의 적용대상이 아니다. 쌍방과실 차대차 사고에서 자기부담금은 미보전 손해가 아니며 피보험자가 상대방에게 손해배상청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급심 판결은 자기차량손해보험에서의 자기부담금 제도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고, 사실관계에 적합하지 않은 대법원 판례를 원용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판단된다. The recent lower instance regarding the scope of the claim amount for reimbursement for insurers who suffered damage to their own vehicles for which self-payment is contracted has drawn different conclusions from traditional reimbursement practices. The cases covered by the lower instance are all about the exercise of the insurer's right to claim for recovery in insurance for own vehicle damage, which is concluded in the form of full insurance. However, the lower instance cited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with different nature.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in question was a case in which the insured filed a claim for damages from a third party responsible for the fire in fire insurance concluded in the form of under insurance. Since it was concluded in the form of under insurance, the benefits were pai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 payment, and as a result, the insured had damage not fully reimbur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using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with such details, the lower instance interpreted the amount equivalent to self-payment that was not paid by the insurer due to the self-payment agreement as damage not fully reimbursed to the insured. In addition, it was interpreted that the insured could claim damages from a third party for the damages remaining after deducting the benefits already received from the total amount of damages, that is, self payment.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exercise of this claim has priority over the insurer's subrogation rights. Thisjudgment of the lower instance does not match the purpose of the self-payment system that the insured chose and concluded in order to obtain a discount on insurance premiums. In addition, the self-payment system, which aims mainly to prevent moral hazard and adverse selection, has been valueless or meaningles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scope of the reimbursement amount of the insurer who paid benefits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insured's damages are covered first by the property compensation insurance that the other party bought or by the insurance for own vehicle damage. The insurance for own vehicle damage is full insurance. If the insurer has paid benefits excluding self-payment in the insurance for own vehicle damage with the self-payment contract, this means that the benefits have been paid in full. Therefore, it is not subject to the proviso of Article 682 (1) of the Commercial Act. Self-payment is not unindemnified damages in a both to blame car to car accident, and the insured cannot claim damages to the other party. It is submitted that the lower instance ruling did not correctly understand the self-payment system in insurance for own vehicle damage, and made an error of citing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that is not suitable for factual relations.

      • KCI등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운행" 및 "운행기인성" 개념에 대한 소고 -대법원 판례에 대한 분석과 비판-

        박세민 ( Se Min Park ) 보험연구원 2003 보험금융연구 Vol.39 No.-

        「자배법」상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운행 중에 일어난 모든 사고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그 중에서 운행으로 인하여 일어난 사고의 피해자에 대하여만 책임을 지는 것이라는 합리적 제한이 필요하다. ‘차고출입설’이 피해자보호라는 측면만을 고려할 때는 가장 폭넓은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설에 의하면 경우에 따라 사고와 운행 사이의 인과관계 문제에 불합리한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 현재 운행개념에 대한 대법원의 입장이라 할 수 있는 ‘고유장치설’은 개정 전「자배법」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므로, 일견 확대된 것으로 보이는 운행개념을 정의한 현행「자배법」하에서는‘차고출입설’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가지고는 있다. 그러나 이 설에 내재하고 있는 운행개념에 대한 무한정한 확대가능성과「자배법」의 (숨어있는)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실무상‘차고출입설’의 적용은 보다 많은 신중을 기해야 할 문제라고 판단된다. 결국 현행「자배법」상 운행개념의 해석에 있어서도‘고유장치설’은 여전히 유효하며, 사고와 운행사이에 존재해야 하는 인과관계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서도‘고유장치설’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Under the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by Car Accidents Act, it is a reasonable interpretation that the person who operates a car is responsible for the victim of the car accident only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ar, instead of all acciden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lthough it is true that so-called` theory of in & out garage ’provides the widest range of the protection for the victim, this theory might cause an unreasonable effect as regarding the question of the causation between the accid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car. The theory of indigenous(native) equipment`, which is currently support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been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former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by Car Accidents Act. Therefore, it seems to be somewhat persuasive that this theory should be replaced by the` theory of in & out garage’ under the current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by Car Accidents Act which stipulates the concept of the operation of the car with wider range of wordings and expressions. However, considering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almost unlimite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the hidden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by Car Accidents Act, it is submitted that a lot of caution is needed i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in & out garage’in practice. In conclusion, ‘theory of indigenous(native) equipment’, is still the most persuasive and effective theory even under the current Act. In addition, it is submitted that this theory would provide the reasonable standard to decide the question of the causation between the accid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c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책임보험상의 직접청구권을 둘러싼 법적 논점에 관한 고찰

        박세민 ( Se Min Park ) 안암법학회 2008 안암 법학 Vol.0 No.27

        It is very clear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third party`s direct right of action in a liability insur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 matter of protection of the third party(sufferer). This introduction in 1991 which gave this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third party who is not a contracting party was mainly decided by a matter of insurance policy to protect the third party. Although a lot of legal issues such as priority between the direct right of action and the right to claim for insured amount, res judicata, claim of right of defense, set-off and extinctive prescription as regarding this direct right of action have occurred, the concerned insurance law fails to provide proper solutions to those questions. Under this circumstance, we may rely on the academic interpretation and case laws. The first step should be the question of what is the legal character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right to claim for damages? or right to claim for insured amount?).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academic interpretation and case law support the view of right to claim for damages, the above legal issues should not be interpreted based on only the view of right to claim for damages. It is because we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e intrinsic attribute of a liability insurance which is the protection of the insured. In other words, when we discuss the above issue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view of protection of the third party but also the view of protection of the insured. Ultimately, article 724 of Korean Commercial Law should be revised again containing the clear wording for the above legal issues with a view of protection of insured as well as protection of the third party.

      • KCI등재

        신협공제에 대한 현행 감독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박세민(Se-Min Park) 한국기업법학회 2010 企業法硏究 Vol.24 No.3

        The membership of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is not restricted to its partners. Instead, it is expanded to the ordinary people. In addition,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is nation-widely selling the mutual benefit product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general insurance product by the private insurance company. However, the Insurance Business Act, which is crucial for supervisory and control of insurance business, cannot be applied to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because the Credit Unions Act which deals with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stipulates the exemption of application of Insurance Business Act. As a result,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o not have the rights to supervise and control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such as the regulation of enrollment. public notification of product, level of soundness of finance and the protection of the insured. Under this situation, the position of consumer of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is relatively weak and vulnerable. compared to the consumer of private insurance company. In addition, the Mutual Benefit Association who enjoys unfairly predominating position compared to th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is rapidly increasing its market share in insurance business market. These problems were deeply discussed during the negotiation for Korea-U.S.A FTA. Agreement. For the fair competition in the market, the Insurance Business Act sh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This will make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strictly supervise and control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The Credit Unions Mutual Benefit should establishes its subsidiary companies to separate the life mutual benefit(life insurance) and general mutual benefit(general insurance) In addition, the separation between business of mutual benefit and business of credit should be made for the fair competition with th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The Insurance Business Act sh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se subsidiary companies.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유류오염손해배상에서 국제기금(IOPC 펀드)의 보상절차와 보상지연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 -IOPC 펀드 내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박세민 ( Se Min Park ) 한국해법학회 2010 韓國海法學會誌 Vol.32 No.1

        대형 유류오염사고가 야기한 피해에 대한 2차적 보상 성격을 가진 IOPC 펀드의 운영방식과 보상절차와 관련하여서는 실무상 많은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공통적인 문제는 유류오염사고의 피해보상이 극심하게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피해보상 금액이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적다는 점이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IOPC 펀드 내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하여 신속한 보상이라는 관점 하에 현행 IOPC 펀드 보상절차가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IOPC Fund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secondary compensation as regarding the damage caused by the massive oil pollution accident in the sea. However, it has shown a lot of practical problem in the compensation procedure and administration. The common problem is the severe delay in compensation. Furthermore, 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the substantially small amount of compensatio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compensation procedure in the IOPC Fund, seeking for the rapid and efficient compensation.

      • KCI등재
      • KCI등재

        퇴직연금 제도의 시행과 퇴직연금 보험계약에 있어서 근로자의 수급권 보호에 관한 고찰

        박세민 ( Se Min Park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5

        퇴직연금 보험계약과 퇴직연금 신탁계약만이 퇴직연금 자산관리계약으로 인정된 이유를 고려할 때 신탁기관에 대한 자행예금의 예외적 허용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신탁법상 명백한 무효행위이며 근로자 수급권 보호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신탁재산이 파산재단에서 제외되도록 하는 개정 신탁법 제24조의 내용이 보험계약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이유로 일부 신탁기관이 퇴직연금 보험계약 근로자의 수급권 보호의 문제를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동일한 내용이 보험업법이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추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nsidering the main reason of authorizing a retirement pension insurance contract and a retirement pension trust contract as a retirement pension asset management service contract, the exceptional approval of bank`s own deposit to the trust institutions might cause a lot of legal problems. This is a breach of a principle of the Trust Act. Also, it might give rise to a bad effect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employee`s rights to receive benefits. It is unfair for some trust institutions to claim the issue of protection of employee`s rights to receive benefits in retirement pension insurance contract by reason of the fact that the article 24 of a revised Trust Act does not apply to the insurance contract.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of the article 24 of a revised Trust Act should be added to the Insurance Business Act or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

      • KCI우수등재

        자동차보험약관(自動車保險約款) 중 피용자재해면책조항(被傭者災害免責條項)에 관한 고찰

        박세민 ( Se Min Park ) 법조협회 2005 法曹 Vol.54 No.10

        자동차종합보험 대인배상 II 약관에는 배상책임이 있는 피보험자의 피용자로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재해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죽거나 다쳤을 때에 자동차보험자는 보상하지 않으며, 이 경우 동법에 의한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자동차보험자는 보상책임이 없다고 규정한 피용자재해면책조항이 있는데, 그 면책조항의 효력에 대해 대법원은 유효성을 인정해왔고 학계에도 이를 지지하는 견해가 적지 않다. 그런데 기존의 대법원 판례나 유효설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피용자재해면책조항을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하게 된다면 보험가입자가 임의대인배상책임보험을 자발적으로 가입한 목적과 합리적 기대를 저버리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며, 피해자인 피용자로서도 사용자가 미리 가입한 대인배상 II로부터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불리한 지위에 놓이게 된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이나 근로자재해보상책임보험 및 일반 민사상의 불법행위책임과 사용자배상책임보험 등 사용자의 피용자에 대한 현행 배상책임의 구조와 보상체계를 감안할 때 피보험자와 피해자 모두에게 부당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피용자재해면책조항은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6조 제1항과 제2항 제1호 및 제2호, 동법 제7조 제2호의 규정에 비추어 무효라고 함이 보다 설득력 있는 해석이라 판단된다. 다만 그 무효의 의미는 전면적인 무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피해자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해 보상을 받는 범위 내에서는 자동차보험자는 면책이 되며 동법에 의한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차보험자의 보상책임이 인정되는 것으로 수정해석한다는 의미에서 부분적 무효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