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치 절제술을 시행한 위암에서 절제림프절 수의 임상적 의의

        김세진,장유진,김종한,박성수,박성흠,김승주,목영재,김종석,안형진,Kim, Se-Jin,Jang, You-Jin,Kim, Jong-Han,Park, Sung-Soo,Park, Seong-Heum,Kim, Seung-Ju,Mok, Young-Jae,Kim, Chong-Suk,Ahn, Hyong-Gin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의 근치 절제술에서 광범위 림프절 절제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전이 림프절의 수가 종양의 침윤 정도와 함께 병기 결정의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근치 절제술을 시행 받은 위암 환자에서 절제 림프절 수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종양의 각 병기에 따라서 생존율 및 병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절제 림프절수의 최소 기준값을 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병원에서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고 5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94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검사결과에 따른 종양 침윤 정도에 따라 환자군을 분류하여 절제 림프절의 수를 조사하였다. 절제 림프절 수의 최소 기준값은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최소값으로 정하였다. 결과: 종양의 크기, 위치, 림프절 병기, 전이 림프절의 수 및 절제 림프절의 수는 종양의 병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ox 비례위험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 절제 림프절 수의 최소 기준값은 전체 환자에서는 14개였으며 각 병기별로 pT1군에서 15개, pT2군에서 28개, pT3군에서 37개의 값을 보였고 기준값 이상으로 절제된 경우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근치적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기준값 이상의 림프절 절제가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과의가 근치적 위절제술 시 기준값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병리의는 절제된 조직의 림프절 개수의 정확한 결과를 보고 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on the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the cut-off values that can have an influence on survival on the tumor stage-stratified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949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2 to 2002.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umor invasion, and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on survival was investigated. The cut-off value for th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was determined as the smallest value that showed a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Results: The tumor size, location, lymph node stage, th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and th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umor stage. The averag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was about 39, and it showed linear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ut-off values of the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as corrected by th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was 14 for all the patients, 15 for the pT1 patients, 28 for the pT2 patients and 37 for the pT3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Retrieving a number of lymph nodes that is more than the cut-off value could improve the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Surgeon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perform an exact and thorough D2 lymph node dissection. Therefore, we urge surgeons to perform D2 dissection and pathologists should examine an certain exact number of lymph nodes.

      • 위선암에서 외과적 치료 결과 - 단일병원의 14년간 경험 -

        조준민,장유진,김종한,박성수,박성흠,목영재,Cho, Jun-Min,Jang, You-Jin,Kim, Jong-Han,Park, Sung-Soo,Park, Seong-Heum,Mok, Young-Jae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14년간 위암으로 수술받은 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치료 결과 및 예후 인자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6년까지 본 교실에서 수술받은 2,327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절제율은 92.8%였고 근치적 절제율은 90.8%였다. 5년 생존율은 절제 예 70.0%, 근치적 절제 예 79.2%, 비근치적 절제 예 3.7% 그리고 비절제 1.5%였으며, 절제 예에서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A기 98.9%, IB기 94.4%, II기 77.3%, IIIA기 69.3%, IIIB기 38.9% 그리고 IV기 13.6%였다. 예후 인자의 단변량 분석결과 나이, 종양의 크기 및 위치, 육안적 형태, 위벽 침윤,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다변량 분석 결과 독립적 예후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위벽의 침윤도, 정맥 침윤, 연령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암에서의 예후는 병기에 의해서 가장 많이 영향을 받으므로 예후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하고, 적극적이며 체계적인 외과적 치료가 위암의 생존율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gastric cancer based on 14 years' experience in a single medical center, and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with a previou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2,327 patients who were operated on for gastric cancer between 1993 and 2006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Results: The resection rate was 92.8% and curative resection was achieved for 1,960 (90.8%) patients. The 5-year survival rate was 70.0% for all patients undergoing resection and 79.2% for patients undergoing curative resection. The 5-year survival rate was 1.5% for unresected cases. Age, tumor size, location of the tumor, gross tumor type, depth of tumor invasion, lymph node involvement, distant metastasis, tumor stage, combined resection, complications, histology, and type of operation each had prognostic significance on univariate analysis. On multivariate analysis, lymph node involvement, depth of invasion, venous invasion, and age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The 5-year survival rate fo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was 79.2%.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involvement, venous invasion, and age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The fact that tumor stage i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after curative resec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 조기위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

        한기빈,장유진,김종한,박성수,박성흠,김승주,목영재,김종석,Han, Ki-Bin,Jang, You-Jin,Kim, Jong-Han,Park, Sung-Soo,Park, Seong-Heum,Kim, Seung-Ju,Mok, Young-Jae,Kim, Chong-Suk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최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하 점막절제술, 점막하층 박리술과 복강경 보조 위 절제술이 시행되고 있으나 적응 범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에 조기위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분석하여 내시경 치료나 축소 수술 등의 치료 방침의 기준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부터 2003년까지 조기위암으로 근치절제술을 받은 881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군에서 예후 인자를 구하고 림프절 전이 및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881명의 환자 중 59명이 사망하였고 21명이 재발되었다. 예후 인자는 단변량 분석상 수술 방법, 종양의 육안적 소견, 정맥관 침습여부와 림프절 병기가, 다변량 분석상 환자의 연령, 수술 방법, 종양의 육안적 소견 및 림프절 병기가 의미 있는 예후 인자였다. 림프절 전이 양성환자는 음성환자에 비해 단변량 분석상, 종양 침윤 깊이,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절제 정도, 림프관 침습여부와 정맥관 침습여부가, 다변량 분석상, 침윤 깊이, 종양 크기, 림프관 침습여부 및 정맥관 침습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발에 영향을 미친 인자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 결과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 여부가 영향을 미친 독립적인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조기위암에서 축소 치료 계획 시에는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 종양의 침윤 깊이와 크기 및 림프관, 정맥관 침습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림프절 전이 의심시에는, 위 절제술 및 광범위 림프절 곽청술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reatment strategies for early gastric carcinoma (EGC) should be based on achieving a complete cure, but clear indications for limited surgery have not been established. We investigated surgical outcomes for early gastric cancer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strategy for EGC. Materials and Methods: Subjects included 881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for EGC between 1986 and 2003. Retrospective uni & multi-variate analysis for prognostic factors, 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is, and risk factors for cancer recurrence were analyzed. Results: In multivariate survival analyses, age, operation method, macroscopic appearance and lymph node stage prov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Lymph node metastasis, depth of tumor invasion, tumor size, lymphatic and venous invasion were also significant risk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es. In multivariate analyses for cancer recurrence, depth of tumor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pro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Conclusion: Appropriate surgical treatment with lymph node dissection is necessary for EGC patients with risk factors for lymph node metastasis.

      • 재발된 위암 환자에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의 수술적 치료

        유병은,박중민,장유진,김종한,박성수,박성흠,김승주,목영재,김종석,Yoo, Byung-Eun,Park, Joong-Min,Jang, You-Jin,Kim, Jong-Han,Park, Sung-Soo,Park, Seong-Heum,Kim, Seong-Ju,Mok, Young-Jae,Kim, Chong-Su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위암의 재발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은 치료의 효과와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합하게 치료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으로 수술 후 재발되어 악성 장폐쇄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와 생존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위암의 재발로 악성 장폐쇄증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방법은 절제술, 장루술, 우회술로 나누었고 치료의 성공은 유동식 이상의 경구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42명의 환자에 대해 46회의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절제술이 12회, 장루술이 24회, 위회술이 10회이었다. 입원기간과 유동식 이상의 경구 섭취까지의 기간은 장루술이 가장 짧았다. 수술 후 합병증은 10예(21.7%)에서 있었고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4예(8.7%)이었다. 수술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위암의 재발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의 수술적 치료로 장루술은 입원일과 경구 섭취까지의 기간이 다른 수술법에 비해 짧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에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수술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악성 장폐쇄증의 경우 근치적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urpose: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must be treated appropriately to improve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to prolong survival. We reviewed the surgical treatments for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ical procedures at our hospital from 1998 to 2008.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resection, ostomy or bypass. The success of treatment was decided when the patients were able to tolerate more than a liquid diet. Results: 42 patients were treated 46 times by surgical procedures. Resection was done12 times, ostomy was done 24 times and bypass was done 10 times. The hospital stay and the period to liquid diet after the operation were shorter in the ostomy group. The post operative morbidity rate was 21.7% and the post operative death rate was 8.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Conclusion: Ostomy is good choice for selected patients because it has a shorter hospital stay and period to liquid di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because curative resection is difficult to perform in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에서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의 의의

        김환수,김종석,김종한,목영재,박성수,박성흠,장유진,김승주,Kim, Hwan-Soo,Kim, Chong-Suk,Kim, Jong-Han,Mok, Young-Jae,Park, Sung-Soo,Park, Seong-Heum,Jang, You-Jin,Kim, Seung-Joo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진행성 위암 중 수술 소견에서 복강 내 원격전이가 존재하거나 주위 장기에 침윤이 심하여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위 배출구 폐색을 동반하지 않더라도 예방적 위공장 우회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어, 단순 개복술 시행과 비교하여 그 의의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07년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중 위 배출구 폐색이 없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 1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을 이용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치료성적, 그리고 예후 인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과 단순 개복술 시행을 비교한 결과, 나이, 성별, 간 전이 여부, 술 후 재원일, 재입원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없었지만, 병소의 위치(P$\leq$0.014), 복막 파종(P=0.001)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예후 인자 분석에서는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기간이 1~35.7개월(6.3개월), 시행하지 않은 군이 1~33.4개월(median 4.3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31), 복막전이가 있는 경우 1~31.0개월(median 3.4개월), 없는 경우 1~33.3개월(median 5.8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분석을 통한 독립적 예후 인자로는 복막 전이 여부만이 의미가 있었다(P=0.002). 결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에서 폐색 증상이 없는 경우,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은 생존기간의 연장에서 큰 의의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and as compared with laparo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incurable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67 patients who could not undergo resection without obstruction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1984 to 2007.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underwent palliative gastrojejnostomy (the bypass group, n=62) and one that underwent explo-laparotomy (the O&C group, n=105), and the clinical data and 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roups. Results: F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ge, gender and liver metastasis between the bypass group and the explo-laparotomy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for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For the postoperative outcomes, the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29.25 vs 16.67) and the frequency of re-admission were not different, but the median overall survival (4.3 months vs. 3.4 months, respective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was identified a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incurable gastric cancer. Conclusion: A prophylactic bypass procedure is not effec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longing the life expectancy of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ob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Fluorine이 도입된 Quinoxaline과 Fluorene 골격을 가진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분석

        송수희 ( Suhee Song ),최효일 ( Hyo Il Cho ),신인수 ( In Soo Shin ),박성수 ( Seong Soo Park ),이근대 ( Gun Dae Lee ),박성흠 ( Sung Heum Park ),진영읍 ( Youngeup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5

        새로운 전자 받개인 6,7-difluoro-2,3-dihexylquinoxaline을 이용하여 유기 태양 전지형 고분자를 개발하였다. Fluorene과 6,7-difluoro-2,3-dihexylquinoxaline으로 Suzuki polymerization방법을 이용하여 낮은 HOMO 에너지를 가지는 PFDTQxF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필름상태의 PFDTQxF은 368과 493 nm에서 두 개의 흡광도를 보였다. PFDTQxF의 HOMO와 LUMO 에너지는 각각 -5.55와 -3.91 eV을 나타내었다. PFDTQxF의 태양전지 소자는 0.47 V의 VOC와 4.48 mA/cm²의 JSC와 0.32의 FF를 가지고 있어 0.78%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었다. New electron deficient moiety, 6,7-difluoro-2,3-dihexylquinoxaline, was developed for the push-pull type copolymer for organic photovoltaics (OPVs). The PFDTQxF with lower HOMO energy level was synthesized using fluorene and 6,7-difluoro- 2,3-dihexylquinoxaline by Suzuki polymerization. The PFDTQxF thin film shows two absorption peaks at 368 and 493 nm. The HOMO and LUMO energy levels of PFDTQxF are calculated -5.55 and -3.91 eV, respectively. The device comprising PFDTQxF showed a VOC value of 0.47 V, a JSC value of 4.48 mA/cm², and a FF of 0.32, which yielded PCE of 0.78%, under the illumination of AM 1.5.

      • KCI등재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임상적 의의

        김학진 ( Hak Jin Kim ),장유진 ( You Jin Jang ),김종한 ( Jong Han Kim ),박성수 ( Sung Soo Park ),박성흠 ( Sung Heum Park ),김승주 ( Seung Joo Kim ),목영재 ( Young Jae Mok ),김종석 ( Jong Suk Kim ),박중민 ( Jung Min Park ),양경숙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배경 및 목적 : 현재까지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여부 이지만 이밖에 종양크기가 예후를 결정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적응 증을 결정하는데 종양 크기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예후적 중요성 및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근치절제술을 시행 받은 위암 1기에서 3기까지의 9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다변량 위험도 비교분석의 결과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구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 및 예후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림프절 전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ROC curve 를 사용하여 전체 및 각 종양 병기(pT)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다 변량 위험도 분석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은 7 cm 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종양의 위치,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및 세포 분화도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 변량 생존 분석 결과 나이, 침윤 깊이, 종양 크기 및 림프절 전이가 독립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종양크기와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서는 전체 환자군 및 종양 병기 1기(pT1), 3기(pT3)에서 유의하였으며, 이를 결정하는 기준 값은 전체 환자군 3.3 cm, 종양 병기 1기 1.5 cm, 종양 병기 3기 6 cm이었다. 결론 : 위암에서 종양 크기는 의미 있는 예후 인자이며 림프절 전이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여부 및 진행성 위암에서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umor size o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2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2 to 2002.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decied as the smallest value that showed significantly survival difference by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umor size were analyzed by using univat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And ROC curves were applied to measure cut-off value of tumor size that impact on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I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7cm that impact on prognosis. The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cell differenc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umor size. The Age, depth of invasio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In Releavance between the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tage I, III, and whole patients group. And the each cut-off values were 1.5cm, 6cm, and 3.3cm Conclusion: Tumor size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nd important predictive value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So tumor size will useful parameter to perform EMR in early gastric cancer or to plan further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