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년세계》에 나타나는 죄의식과 윤리적 주체의 연관성

        박성애(Park, Seong-A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9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had writer's compassion for children since it started. In 1950s, writers showed their compassion for children through the adult character of their works directly, but most literary works did not include guilt. On the other hand Yosub Kim and Wonsu Lee showed their guilt and self-reflection about children suffer in their literary works. They created these works based on the responsibility for children suffer and it showed the ethical subject.

      • 광전자 촉매시스템(PECS)을 이용한 TiO₂ 코팅 비드의 광분해 효율

        박성애(Park, Seong-Ae),하진욱(Ha Jin-Wook),도영웅(Do, Young-Woong),유동식(Yu Dong-Si),이지호(Lee, Ji-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광전자 촉매시스템을 이용해 TiO₂ 졸이 코팅된 구형 비드의 광분해 효율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TiO₂ 졸이 코팅된 구형 비드인 알루미늄비드, 유리비드, 실리카비드 화이트겔(1 · 2 · 3형) 다섯가지 비드를 사용하였고 실험은 산화환원지시약인 메틸렌블루 수용액이 광촉매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색상 및 흡광도 변화를 통해 환원 정도를 고찰할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소재별 실험 결과, 실험에 사용한 소재 중 실리카비드 화이트겔(1 · 2 · 3형)만이 반응성을 나타냈다. 이들 1 · 2 · 3형은 TiO₂의 함량을 달리한 비드들이며 1형이 가장 적은 함량을 가지며 3형이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고 있다. 실험 결과 3형이 반응성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실험에서는 코팅물의 함량과 고정물의 상태가 광촉매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조직 지원 인식, 역할수행과 교사전문성 간의 관계

        박성애 ( Park Seong 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 지원 인식, 역할수행과 교사전문성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44명의 설문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조직 지원 인식, 역할수행, 교사전문성 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이 교사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조직 지원 인식과 역할수행이 교사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수활동, 교수방법, 영유아 관리능력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보육교사들의 공헌과 노력을 인정해주는 지원적 조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자신의 직업에 만족감을 가지고 안정적인 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보육교사가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또는 다양한 재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xpertise.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data of 344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 in Seoul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role performance, and teacher expertise. Second,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xpertise.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by the childcare teachers and role performance influenced both the teaching activities, teaching methods, and the ability to manage infants and toddl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 is needed to recognize the contribution and efforts of th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and that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atisfaction of the job and the stable lif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or various retraining opportunities so that childcare teachers can perform their tasks with expertise.

      •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나는 사제관계의 윤리성 : 『사랑』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0 No.-

        이광수는 소설쓰기를 통해 계몽을 실천하고자 하였던 작가이다.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은 자주 계몽의 주체와 대상으로서 교사와 제자의 관계(사제관계)를 맺는다. 본고의 목적은『사랑』을 중심으로 이광수 소설에 나타나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 즉 인물들의 사제관계에서 발생하는 욕망의 양상을 살피고, 주체와 타자의 나타남에 대해 고찰하여, 그 윤리적 의 미를 타자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있다.『사랑』에서 안빈은 개인으로서 완벽한 윤리를 구현하는 인물로, 타자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여기고 가르친다. 그러나 완벽한 안빈의 모습은 그에게 교육받은 인물들의 자발적 희생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 있다. 곧 교육을 매개로 하는 주체와 타자의 관계(사제관계)에서 주체인 안빈의 욕망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고, 그의 욕망을 욕망하는 인물들에 의해 지켜지는 것이다. 이러한 타자들의 희생을 통해『사랑』에서 안빈의 완벽함은 지켜질 수 있었으나, 순옥, 인원, 옥남 등 타자적 인물들은 안빈의 욕망을 욕망함으로써 그와 동일화 되고, 결국 자신의 개성과 ‘물질성’을 상실하게 된다.『사랑』의 이러한 결말은 비록 교육주체가 그 자체로 완벽하게 윤리적인 인물이라 하더라도, 타자윤리의 실천 없이는 타자의 소멸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 즉, 교육을 실천하는 주체가 완전함에 가깝다하더라도, 타자(교육대상)가 주체에게 완전한 “외재성의 존재”라는것을 망각한다면, 주체가 속한 세계에서 타자(교육대상)는 사라지고, 주체만이 홀로 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빈이 교육주체로서 완전한 윤리를 이루려하면 할수록, 주변 인물들은 안빈 속으로 소멸되고, 복제된 안빈의 모습으로만 살아가게 된다. 이는 곧『사랑』의 내적 윤리에 타자 윤리가 부재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광수는 현실세계에서 존경받는 교사였고, 그의 독자들은 교육의 대상이었다. 따라서『사랑』의 교육주체와 대상의 관계는 현실세계에서도 흡사하게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당시의 현실에서 작가는 또한 절대주체인 일본에 대해 타자였기에, ?사랑?의 논리대로 타자의 소멸이 정당화 된다면, 일본에 대해 작가 스스로 자신을 주장하지 않음도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주체가 타자를 소멸시키지 않는 주체이자, 교육의 대상에 대해 동일화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 주체로서 윤리적인 주체가 되려면, 즉 주체가 타자윤리를 지킬 수 있으려면, 완전한 교육주체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미숙하더라도 스스로 회의하는 주체여야 한다. 자신의 열정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끝없는 회의가 사라진다면, 그 교육주체의 완전함은 결국 타자인 교육 대상들의 연쇄적 소멸을 낳고 주체 스스로에게는 열정 대신 피로를 안길 것이기 때문이다. Lee Kwang-su was a writer who tried to practice an enlightenment by writing. Characters are structurized by relations of teacher(an educational subject) and pupil(a n educational object) through an enlightenment in his works. In this way, An Bin is a perfect educational subject morally and other characters become educational objects voluntary in Sarang. But An Bin can maintains his perfection only by the sacrifice of his pupils. An bin's pupils, educational objects take An Bin's desire to their things and they desire his desire. Therefore An Bin's perfection can be keep by the others in Sarang and educational objects become identified with An Bin. It means the others lose their individuality by An Bin's teaching. It shows that even though the educational subject is a perfect being morally, the others are disappear without ‘the Ethic of the Other’. Because the other is an external existence against the subject. Lee Kwang-su was an educational subject and the readers were educational objects in the real world. Therefore relations between an educational subject and object of Sarang are repeated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f disappearance of the other could be right, it could be also justified that Lee Kwang-su was disappeared because he was the other of the absolute subject, Japan. When the subject doubts himself, the educational subject can be an ethic subject. If they do not doubt their desire, the perfection of the subject makes the others disappeared.

      • KCI등재

        아동문학의 가족 담론과 경계적 사유 고찰

        박성애 ( Park Seong-a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이글의 목적은 한국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난 ‘정상가족’ 담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상가족 너머 ‘다양한 가족’의 가능성과 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법적 부부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혈연 공동체로서의 가족이라는 ‘정상가족’ 담론 하에서는 ‘정상’의 형태 유지를 위한 가족 구성원의 희생이 당연시 된다. 또한 ‘정상가족’에 포함되지 않는 이들은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현실에서 ‘정상가족’의 형태가 급속도로 와해되어가고 있는 요즘, 아동 독자에게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일은 시급한 과제이다. 혈연이라는 폐쇄성을 뛰어넘고 부모와 자녀라는 틀에서 자유로워질 때에 다양한 모습으로 서로를 지지하며 살아가는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와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뺑덕』과 『섬마을 스캔들』은 이러한 ‘정상가족’ 담론의 폭력성과 그 경계를 사유한 작품이다. 『뺑덕』이 ‘정상가족’ 담론의 문제점을 가족을 위해 희생되는 여성인물을 통해서 보여주었다면, 『섬마을 스캔들』은 혈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순수한 관계’로서의 공동체를 그려 보임으로써 대안적이며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드러내었다. 두 작품은 모두 ‘혈연 공동체’가 아닌 ‘생활 공동체’로서의 가족을 긍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안 가족의 특성은 ‘주변성’과 ‘책임성’이다. 생활공동체로서의 가족은 타자적 구성원의 일방적 희생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의 자발적 책임으로 유지된다. 『뺑덕』의 중심인물인 병덕은 혈연으로 맺어졌으나 가족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엄마를 ‘생활 공동체’ 속에서 함께 생활한 이후에 가족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섬마을 스캔들』의 다율은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자발적 책임의 관계를 맺으며 진짜 가족이 되어간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에 대한 상호의존성으로 서로를 양육하고 지역공동체를 가족으로 여긴다. 이처럼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서 정상가족 너머를 사유하는 것은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긍정하는 일이자, 가족 구성원 간의 동등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고, 정상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가족의 도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and to study the Various Family in the recent children's literature. The family is a community of blood relation in the ‘Normal Family’ discourse. Under this perceptions, sacrifice of a family member for maintenance of normal family is taken for granted. It also makes some people who can not belong to normal family feel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s their own family. Nowadays, the family pattern is getting changed, so it is very urgent for children's readers to present various family as positive perspectives. When we overcome the closedness of blood and become free from the nomal family discourse, we will understand better the various family that support each other in various ways. Writers of < Ppaengdeok > and < Island Village Scandal > think about this violence a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 Ppaengdeok > shows the problem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through the female characters sacrificed for the family and < Island Village Scandal > shows the Family as pure relationship that is not made up of blood relatives. These works contribute to reveal alternative and diverse forms of family. The writers of these works think positively the family as a ‘living community’ rather than the family as a community of blood re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lternative families are ‘marginality’ and ‘responsibility’. The family as a living community is maintained by the voluntary responsibility of all the members not the one-sided sacrifice of the other members. Byeongdok of < Ppaengdeok > could accept her mother as a family after he had lived with her in the living community. Dayul of < Island Village Scandal > becomes a genuine family with the members of the Island community by a relationship of voluntary responsibility. The reason for thinking beyond the normal family at the border between normal and abnormal is to make various family that enable equal rel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instead of sacrifice within the family be positive.

      • KCI등재

        세계 내 타자의 밀도와 저항의 방식 : 청소년소설 『원통 안의 소녀』와 「B의 세상」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권력주체가 전유하는 공간에서 타자의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타자들의 밀도는 낮아진다. 타자들이 자발적으로 권력주체의 공간이 되어 주체의 권력으로 머물기도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목소리를 의미 있는 공적 언어로 통합할 수 없기 때문에 권력주체의 공간에 타자성은 드러나기 힘들다. 「B의 세상」과 『원통 안의 소녀』는 타자적 청소년들이 권력의 공간에서 어떤 질량을 가지고, 어떠한 밀도로 존재하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작품 속 청소년 인물들은 주체의 공간에서 주체의 지식으로 해석되는 존재로, 그들의 타자성을 드러내지 못한다. 이에 「B의 세상」은 공적 발화를 시도하고, 공적인 말을 획득함으로써, 그리고 타자들의 연대를 추구함으로써 타자들의 밀도를 높여가고자 한다. 그리고 『원통 안의 소녀』는 “사귐”을 통한 윤리적 주체되기를 통해 그들의 타자성이 세계에 나타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말한다. 청소년소설은 성인작가가 청소년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청소년 세계의 진실에 닿아있는 문학이어야 한다.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타자로 그들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기에 타자의 말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매개자로서 이 세계의 공적 목소리를 소유한 성인작가의 시선과 ‘말’이 필요하다. 목소리 없는 타자가 권력주체의 공간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포착하는 주체의 시선과 그것을 전달하는 말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통합되지 않는 타자의 말을 작가는 주체로서 대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인작가는 권력의 긍정적인 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권력은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사회에서 소통되는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우리 세계 청소년 타자에 대해 성인작가주체는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그림자 없이 명확한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타자들을 마주한 성인 작가가 글쓰기를 통해 윤리적 주체가 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space dominated by the subject of power, the space of the Others becomes narrower and the density of the others decreases. Because the Others become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voluntarily, otherness can not reveal in that space. 「B s World」 and 『The Girl in the Cylinder』 show the youth s mass, density, and way of being in the space of power. Youth characters can not reveal their otherness in the texts, because they are interpreted as the subject s knowledge. Accordingly, youth s character of 「B s World」 trys to increase their density by attempting public utterances, and pursuing solidarity with the Others. 『The Girl in the Cylinder』 says that their otherness can appear in this world and they can dream of a future for the Others through becoming an ethical subject through friendship. The youth novel should be a literature that touches the truth of the youth s world because adult writers deliver texts to the youth reader. Because the youth are the Other in our society and their voices are hard to hear, so in order to reveal the Other s words, we need the eyes and words of the adult writer who possesses the public voice of this world as an intermediary. The gaze of the subject that captures how the Other exists in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and the words to convey it are necessary. The writer should be able to speak instead of the Other s words that are not integrated through writing. For this, adult writ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power. Power can unite the voices of the Others to become a public word communicated in our society. Adult writers should integrate the youth s voices and make it a clear in this our world. This can be the way for adult writers to become an ethical subject through writing and facing the Others in our societ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효과

        박성애(Park Seong Ae),신예희(Shin Ye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15일부터 8월 30까지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총 356(96%)부가 회수되었다. 최종분석을 위해 통계분석이 어려운 자료를 제외한 345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SPSS 25.00 프로그램과 AMOS 23.00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가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가 교사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가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직무열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인인 직무열의는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을 부분 매개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ion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5 to August 30, 2019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a total of 356 (96%) copie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345 copies of data were used, excluding data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SPSS 25.00 program and AMOS 23.00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ions has an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ions had an influence on teachers job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s job engagement positively affects the teacher 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 s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ion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variable, job engagement, is a variable that partially mediates supportive learning cultur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job engagement is eff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cente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supportive learning culture of childcare education centers is important.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조직몰입 매개효과

        박성애 ( Park Seong Ae ),홍민희 ( Hong Min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행복감,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358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기효능감과 행복감, 조직몰입 간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형을 구성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개념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요인 간 구조회귀 모형을 구성하여 경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총효과, 간접효과, 직접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도출을 위한 연구 도구는 SPSS 25, AMOS 23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영유아교사일수록 교사 자신의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영유아교사일수록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을 높게 인식한 영유아교사는 교사 행복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켜 보육의 질을 높이려면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며, 다양한 지원을 통해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hildcare teachers,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happin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358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the Seoul are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constructing a measurement model and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cept were verified. In addition, the path effect was confirmed by constructing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between each factor, and the total, indirect, and direct effects were examined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PSS 25 and AMOS 23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o deriv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teacher's self-efficacy, the higher his or her happines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childcare teachers who recogn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ly also had higher teacher happiness.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on teachers' happiness.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by enhanc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teachers' self-effica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한국 아동서사문학의 ‘ 학교’ 공간에 나타나는 권력의 양상과 전복의 상상력

        박성애(Park, Seong-a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5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6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aspects of power and revolutionary imagin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school is a space of co-existence for children. Writers want the school to be the space that children’s variety can be showed, but the school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not a space for children’s community. Writers think the school is a space that the Other is disappeared by the power of Subject. Writers have common understanding about this problem, but each writers show different imagination for revolution. The writer of ‘I ask for the trial’ suggests enlightenment to overthrow the power of the Subject. Enlightenment precondition that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is predominant over the Other. So, this has a limit to change the system. In ‘No whisper area’, Yerin, the bad character is ruined by her immorality. Sera who have been bullied by Yerin is skeptical about good and evil. Scepticism of Sera helps her reflect. Sera is like with the writer of this text, so she can not show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Sign number 3, Sukbbong An’, the Other-characters do not lose their characteristics under the power of the Subject.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kept by the comicality in this text. It is a strong way for the revolution against the power of the Subject that the Others are in the school by maintaining their characteristics. Children being make the school the space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