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외상 유형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

        박선미(Sun Mee Park),이주영(Joo Young Lee)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 중에서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선정 방법에 있어서 자기보고식 아동학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외상을 측정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실제 외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가에 의한 1:1 면접을 함께 실시하여 외상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 152명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대인관계 철회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적 학대는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철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임은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 철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심리적 경직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인관계 철회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 초기인 대학생의 대인관계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아동기 외상의 하위 유형에 따라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정서적 학대의 경우에만 심리적 경직성이라는 기제를 통해 대인관계 철회가 초래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적 개입의 목표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아동기 외상 경험은 성인기 초기까지 그 영향력이 지속되므로 외상 경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은 물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성인기까지도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s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including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ould cause interperson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rigidity working as a mediating factor. Since selfreported child abuse measurement tools are limited in qualitatively studying trauma, the current study employed one-on-one clinical interviews on 152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withdrawal tends to decline when there are more physical abuse experiences, although the study found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igidity. Emotional abuse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withdrawal mediated by psychological rigidity. However, neglec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withdrawal with no mediating effect. That is, more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crease psychological rigidity, which in turn creates interpersonal withdrawal.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trauma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continue to impa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It also provides an empirical support that different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igidity are found depending on the subtype of childhood trauma. That is, by showing that emotional abuse is the only type of abuse leading to interpersonal withdrawal through psychological rigidity, the current study offers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in establishing goals fo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uch patients.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early discovery of childhood trauma is necessary because negative outcomes of such experiences can continue into early adulthood, in addition to the need for continued systematic support for pati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 운영의 특성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박선미(Sun-Mee Park)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의 차이점과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2003년 4월과 5월에 서울의 3개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4개의 지리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업 분석 내용은 (1) 수업의 조직, (2)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3) 설명 전략이다. 수업 관찰 이후에 해당 학교의 사회과 교사들과 면담을 통하여 비전공 교사가 지리를 가르칠 때 어려움과 해결 방법 등에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수업 분석은 미시 기술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전공 교사의 수업에 비하여 비전공 교사의 수업은 학습 주제의 전환 과정이 매끄럽지 않다. 둘째, 지리 전공 교사의 질문은 본 수업의 내용을 이끌어 가는 기제로 작용한 반면,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질문은 주로 학생들의 흥미를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설명 전략에 있어서 지리 교사는 비교와 대조의 방식을 이용하여 내용간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설명한 반면, 비전공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읽고 용어나 내용을 쉽게 풀이해 주는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넷째, 전공 교사는 적극적으로 지도를 활용하는 반면, 비전공 교사는 지도를 활용하지 않거나, 활용하더라도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낮은 수준에서 활용한다. 비전공 교사는 비전공성으로 인한 지리 수업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그 원인을 교육과정의 편제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지 않는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eography classes taught by majored and nonmajored teacher and to find problems in the latter case, by observing four middle school geography classes in Seoul, from April to May 2003. The observation was focused on (1) organization of a class (2)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3) strategy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author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with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schools where the observations were made. The analyses of the observed classes were made by micro-ethnographic research method. Major findings of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br/> First, the transition from one topic to another topic was not smooth in the case of non-majored teacher class. Second, the questions that the non-majored teacher posed in the classroom played less significant role in keeping up the class in an organized fashion than those that the majored teacher posed. Third, the non-majored teacher focused on the concepts, terms and contents appeared in the textbook and simply tried to explain them, whereas the majored teacher demonstrated teaching methods such as comparing and contrasting cases to provide students with a more dynam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topic they learned. Fourth, the non-majored teacher used maps less frequently and less actively than the majored teacher. In addition, although the non-majored teachers are well aware of their problems in the class as a non-majored teacher, they think that the problems are inevitable in a given curriculum structure of social studies in Kore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박선미 ( Sun 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은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줄 수 있는 실제적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을 문화간교육의 관점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문화간교육이 소수집단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강조한 반면, 다문화교육은 차별을 야기하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강조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는 여러 지리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주는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고찰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과 지리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데 교사가 갖추어야 할 다문화 역량의 의미와 구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다문화 역량은 자아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을 이해하고 이를 규정하는 사회적·역사적 조건들을 성찰하며 이를 변화시키려는 의지와 능력으로 정의된다. 다문화역량은 의식, 지식, 기능으로 구성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that the critical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s can have on geography education. For this, the paper first compared the critical id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s to intercultural education. Whereas the latt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s on and coexistence of different minority groups, the former emphasis on the social structural changes by which discrimination can be eliminated. Second, the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how critical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closely connected to geography education, and how fa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useful for students obtaining the critical insights in observing and analyzing key geographical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Finally, this paper explained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its components that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s defined as a willingness and capacity to understand the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to internalize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constraining these identities, and to change the identities. It is composed of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
      • 중등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 적합성 분석 -지리교육 전문가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박선미 ( Sun Mee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levancy of goals and contents in the current Korean secondary school geography education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wo surveys conducted from 2001 to 2002. The number of total respondents was 72, but when the actual analysis was made, 2 inappropriate responses were excluded.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respondents who are the specialists on geography education pointed out the goals and contents of current Korea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in regards to the future direction of geography education, 61.4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applicable and utilizable in real life circumstances. Also, 38.6 percent replied that geography education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view on the land of our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global geography. Third, in regards to the goal of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a majority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knowledge goal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place-sensitivity and insight on Korea as well as other regions, and the skill goal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the inquiry skill and geographic communication skill. Fourth, in regards to the goal of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in the knowledge arena, a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goal should be the understanding on the deeper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addition, in regards to the skill goal of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two categories of answer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1)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geographic tools and additional skills, (2) utilization of maps in real life. Finally, when asked on how to organize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a lo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be a proper combination of regional geography and human-physical geography.(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