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시가 속 여성 형상의 제시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를 대상으로-

        박상영 ( Sang Young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우리 문학사에서 여성에 관한 연구는 특정 갈래 혹은 개별 작품에 주로 치우쳐 왔고, 고전시가 전체의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는 논의되지 못한 감이 크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시작된 본 연구는 우선 고대가요에서 고려속요에 이르는 작품을 대상으로 여성 형상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시대적 흐름 및 가치관의 변모에 따른 여성 형상의 미학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대가요 속 여성은 현실적 존재이자 결핍과 욕망 부재의 여성으로서,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는 한편 향가 속 여성은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하고(종교적 경향의 텍스트), 육감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애정 중심의 현실적 경향의 텍스트). 그리고 속요의 경우는 대체로 적극적 여성상, 대상화된 여성상, 남성의 퍼소나로서의 여성상 등 다양한 층위로 나타나는데 이 중 적극적인 여성상의 경우는 전대 시가의 적극적 여성들과는 달리, 문제 상황을 행동화하는 대신 내면으로 수렴함으로써 인고의 여성, 가녀린 여성상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갈래별 다채로운 여성상은 고대가요의 경우, 자기중심주의가 텍스트 속에서 약한 남자와 강한 여자라는 서로 다른 방향의 양가적 형태로 나타난 것이라면, 향가와 속요의 경우는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이중적 시선이 투사된 것이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즉 향가의 경우는 중앙 집권적 지배체제 정비와 유교 덕목의 사회적 확산으로 여성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갔던 당대 현실이 반영된 것이었고, 이는 고려조에 오면서 여성을 차별하던 사회적 분위기, 내우외환의 상황, 악부와 연관된 한시 창작의 관행 등과 결합되어 발화하지만 침묵하는 이중적 주체의 모습으로 제시되기까지 했던 것이다. 또한 고대가요-향가-고려속요를 잇는 일련의 흐름 속에서 여성은 공공의 욕망을 표출 하다가(고대가요), 이후 사적 욕망을 표출하는 주체로서 탈바꿈되는데(향가, 고려속요), 그 과정에서 남성은 신화적, 종교적 색채를 버리고 점차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모습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남성의 위상이 약화될수록 여성은 오히려 대상화, 타자화, 대리자적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텍스트는 전체적으로 여류 정감의 확대와 서정성의 극대화라는 시가미학사의 중요한 본질적 문제와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spects of women images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the Medieval Korean Classical Poetry, especially the ancient poetic songs, Hyangga, Goryeosokyo. Women image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types of ways, however, they have never been diachronic researched in the Medieval Korean classical poetry. Women imag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lyricism and restore the women that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male-dominated literary discourse. Women in the ancient poetic songs appear as a subject of singing and letting men sing. In any case, women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realistic presence, women who lack desire, living in absence of happiness, but they are shown in a positive aspects to tr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by themselves. Two types of women are discovered in Hyangga, the first image is active women who tr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the second image is voluptuous women who exist as an object of men`s desire. In the former case, women are mainly discovered from the text of religious tendencies and in the latter case, women are usually discovered from the text of the realistic tendencies with affection matter. In Goryeosokyo, three types of women images are discovered, active women, objectified women by men, telling but silent women who delegate men. Their images generally are presented as an image of a delicate and traditional patient female archetype by the convergence of the inner, instead of taking action to solve problems unlike other Genres. This implies its own aesthetic features in each genre, In the ancient songs, egotism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time appears as ambivalent form about characters in text, weak men and strong women. In both cases of Hyangga and Goryeosokyo, men`s dual perspectives about women are reflected in women images. In other words, by maintenance of centralized governance system, the social spread of the Confucian virtues, the contemporary reality that women`s position went relatively weakened was fully conveyed to Goryeo Dynasty. That`s why dual-subject that speaks but virtually is silent, can be presented in this time by the widespread social prejudice about women, Era of an uneasy situ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influence of classical Chinese Poetry`s creation related to Akbu Poems(樂府). Moreover, this paper discovered women`s change from a subject of expressing ‘public desire’(in the ancient songs) into as a subject of expressing ‘individual`s desire’(in Hyangga, Goryeosokyo). In the process, men gradually turned into realistic presence from mythological and religious presence. As men`s status weaken, women also showed their changes into objectified women from active ones and at the same time, expansion of women`s emotion and maximizing of lyricism are discovered.

      • KCI등재

        송강가사의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찰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5

        This study reveals aspects of discour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ception of the poetic speaker’s about space in Songgang’s Gasa and discovers emotional differences about two spaces(realistic & peripheral). I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three discourse characteristics with space recognition in Songgang’s Gasa. First, monologue with discordant coexistence between ‘the self who desires the center’ and ‘the self who bewares periphery’ in the space of “Between”(< 關東別曲>), second, monologue and dialogue in the space of “Absence” with the poetic’s effort to overcome break with the absence object(< 思美人曲>&<續美人曲>), finally, various discourse types in the space of ‘periphery’ with the unity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through the poetic speaker’s psychological distance adjust((<星山別曲 >). These Characteristics in Songgang’s Gasa are also discovered in Gosan’s Sijo bu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the center(political reality), both writers reveals their strong desire as love for the king, however Songgang shows it positively unlike Gosan’s negative attitude. In attitude toward the periphery, Songgang shows a wide range of emotion spaning from positive to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however Gosan shows negative emotion in his early works to positive emotion in his later ones. In addition, the periphery space(nature) implies strong will about Confucian realistic participation to Gosan but taoists transcendence will to Songgang.

      • KCI등재후보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무릎 폄근의 등속성 근력 평가

        박상영,김중선,김중휘,이인희,장종성,서태수,Park, Sang-Young,Kim, Chung?Sun,Kim, Joong?Hwi,Lee, In?Hee,Jang, Jong?Sung,Seo, Tae?Soo 대한물리치료학회 2011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3 No.1

        Purpose: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the knee extensor muscle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between males and females through the ankle joint angles. Methods: Seventy-four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two groups: 36 males and 38 females. The mean age of the men was 24.58 years and women was 23.74 years. Subjects were seated on a CON-TREX LP (leg press) lean to back of chair, and there bodies were fixed by straps with the hip joint at an angle of $130^{\circ}$. After randomly fixing the ankle joint at $0^{\circ}$, $20^{\circ}$, and $40^{\circ}$ of plantar flexion (PF) in range of full extension of knee joint. We studied force max average, force max average/kg, power average, and total work through the angle of the ankle joint when the knee joint was extended from $90^{\circ}$ to $180^{\circ}$. Results: In the male group, all maximum measured value showed at the ankle joint $0^{\circ}$, all minimum measured value showed at $40^{\circ}$ PF (p<0.01). In the female group, all maximum measured value showed at the ankle joint $20^{\circ}$ PF, especially the power average increased significantly. All minimum measured value showed $40^{\circ}$ PF (p<0.01). Conclus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through ankle joint angles in healthy adults. Males and Femal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uscle strength through the ankle joint angles.

      • KCI등재

        사설시조 속 여성 형상의 제시 양상과 그 의미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이 연구는 고전시가에 나타난 여성형상의 궤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사설시조에 드러난 여성형상의 양상과 미학적 함의를 전대시가(고대가요~속요)와의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사설시조에는 ①능동적 여성 ②대상화된 여성 ③대리자적 여성상이 보이는데 ①은 자신의 욕망을 거침없이 표현하는 능동적인 여성들이고 ②는 보이는 주체이자 침묵하는 주체로서 남성에 의해 욕망의 대상이 된 여성들이며 ③은 남성작자에 의해 호명된 주체이자 이들의 대리자로서 문학사적으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성들이다. 이들은 전대 시가에서도 발견되는데 ①의 경우 전대시가에서는 대체로 여성적 이미지 안에서 결핍(불안) 주체로 제시된 데 반해, 사설시조에서는 여성적 이미지를 벗어나 중세를 향한 비판적 주체로 제시된다는 특징이 있다(반동일화의 미학). 한편, ②와 ③은 흔들리던 중세를 재건하려는 남성이 만든 여성 이미지 속에서 제시되는 만큼(동일화의 미학), 고대가요에서는 보이지 않다가 향가에 와서야 비로소 발견되지만 향가에서는 ②만이, 속요와 사설시조에서는 ②와 ③ 모두가 발견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속요보다는 사설시조에서 더욱 다양한 형태로 드러난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갈래별 여성상은 또 남성의 의미론적 변화에 따라(신화적→종교적→현실적) 그 위상이 낮아지기도 한다. 이러한 ‘임’의 의미론적 영역 축소는 또한 중세 시가에서는 서정성의 확대로 이어진 반면 사설시조에서는 서사성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중요한 미학적 차이를 노정하기도 한다.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spects of women images and its aesthetical implications in Saselsijo, especiall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Ancient Poetic Songs, Hyangga, Goryeosokyo. There are three types of Women images in Saselsijo, (1) Active women who express their desire and wishes towards men directly, (2) Objectified women who are observed and seen by poetic speaker, (3) Telling but silent women who delegate men writers and occupy a special position in literary point of view. Precedents are found in previous classical poetry genres, first women are usually presented as the subject of desire or anxiety in previous poetic genres, however in Saselsijo, they are critical subjects who show rebellion toward the Middle Ages beyond the feminine image (anti-Identification). In case second and third, both are not discovered in Ancient Poetic Songs, No.(2) only in Hyangga, both in Goryeosokyo and Saselsijo. But in Saselsijo more images of women appear than other genres and some are presented as women images by men, who want to rebuild the Medieval order (identification). In addition, these women show gradually a lower phase as the semantics of men’s changes (mythical→ Religious→ real). This demonstrates a glimps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coexists the medieval and modern times. Reduce of men’s semantic area leads to the expansion of lyricism in poetic genres in the Medieval Ages, on the other hand, it leads to the expansion of narrativity in Saseolsijo.

      • KCI등재

        사설시조에 나타난 ‘아이’의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2 No.-

        본 연구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아이’의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를 갈래사적 전통 속에서 한번 살펴본 것이다. 그간 시조 문학 연구에서 ‘아이’는 대체로 부수적인 존재, 관습적인 청자로서만 이해되어 왔지만 담론의 측면에서 보면, 서정의 맛과 멋을 한껏 드러내던 작품 세계(자아지향)를, 타자를 전제로 한 대화적 구조로 탈바꿈시키는 기능을 하기에 그 의미망이 결코 가볍지 않다. 먼저 사설시조에는 크게 침묵하는 아이와 발화하는 아이의 두 가지 형태가 발견된다. 전자는 호명된 존재, 관습적이면서 말 없는 수동적인 존재, 타자화?대상화 된 존재라면, 후자는 발화하는 적극적 주체, 근대성의 표지를 담보하는 주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발화 형태의 차이를 넘어서 미학적 질서의 차이를 노정하기도 한다. 즉 전자의 ‘아이’는 시적 화자의 내면적 요청에 의해 관념적으로 생산된 것인 만큼 주로 시적 화자의 서정성을 극대화하는 장치로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독자-텍스트 간의 동일화 담론의 미학적 질서를 형성한다면, 후자의 ‘아이’는 이질적인 발화들이 만들어내는 공명으로 인해 텍스트에 역동성을 부여함은 물론 독자-텍스트 간의 거리화 담론의 미학적 질서를 형성한다. 사설시조의 아이가 보여주는 이러한 면면들은 전대 시가에서 이미 그 편린들이 발견된다. 향가의 경우, 타자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요청된 존재로서 발화하지만 대상화된 존재로서의 ‘아이’가, 고려 속요의 경우 시적 화자에 의해 침묵을 강요받지만 이를 자발적인 발설로 깨뜨려버리는 적극적인 ‘아이’가, 시조의 경우는 ‘아이’의 훈육 및 성장과 관련한 노래가 등장하기도 해서 특이점을 보여주긴 하지만 발화의 측면에서 대체로 시적 화자에 의해 대상화 된 ‘아이’가 우세하게 등장하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사설시조를 포함해 전대 시가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아이의 모습은 주로 중세가 부과한 아이의 모습과 연결된다면, 이전 시가에서와는 달리, 사설시조만이 보여주는 새로운 아이의 모습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시대적 징후의 단면들을 보여준다. 즉 작품 편수가 많지는 않지만, 사설시조에서 발견되는 적극적인 ‘아이’의 모습은 ‘개인’을 내세우면서 더 이상 중세가 부과한 ‘아이다움’의 테두리에 있지 않는 새로움을 보여준다. 사설시조의 ‘아이’가 보여주는 새로움은 순진무구한 존재로서 ‘아동(child, infant)’이라는 근대적 개념과는 거리가 있지만, 발화 속에서 제시되는 다성성, 웃음, 개인의 중시, 다중 시선등의 측면에서 근대의 일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Children” in Saseolsijo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 in Korean Classical Poetry. What was discuss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two types of children in Saseolsijo, one is silent, and the other is speaking. The silent child characteristics are such as being called and addressed by the poetic narrator, customary audience, passive attitude, etc. The speaking child characteristics are speaking subject, active attitude as sign of modernity. These phenomenon simply expos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order. The silent children is mainly to be utilized as a device to maximize the lyricism of the text as an ideologically product by the inner request of the poetic narrator and show identification discourse. The speaking child, gives the dynamics in text by heterogeneous discourse and informs aesthetic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as well and show distance discourse. These fragments from Saseolsijo"s children are also found in previous genres. In the case of Hyangga, ‘children" speak for solving others" desire but are targeted by poetic narrator as well. In the case of Goryosokyo, "children" show activity and efforts to break forced silence by the poetic narrator through voluntary speaking. In Sijo’s case, unlike other genres, some literary works show contents about disciplining children and the growth of children. However mostly targeted children by the poetic narrator are predominantly appeared from the discourse perspective. These aspects of children in previous genres including some of works in Saseolsijo are mainly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medieval children. Unlike these, the new aspects of Saseolsijo"s children show the cross-section of the signs of transition contemporary, from medieval to modern. Even if there are few literary works in these, speaking children with activity reveals novelty over medieval-imposed "child-ness" by showing "self", "individual desire" strongly. This novelty is far from infants of the modern concept as naive and innocent children but these children are noted in that they show a part of modernity through various voices in the text, the comic(laughter), multiple point views, etc.

      • KCI등재

        탄력밴드 저항운동이 당뇨 노인의 신체 기능과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박상영,김중선,남석현,Park, Sang-Young,Kim, Chung-Sun,Nam, Seok-Hyun 대한물리치료학회 2012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4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elastic b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functions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of elderly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wenty-seven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xercise group 14, control group 13).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6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All the subject's body functions, HbA1c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following: before the intervention, at the completion of the 12 weeks intervention, and eight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12 week and follow-up measurement after the intervention in body function, such as the str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agility and limit of stability. The body functions of the exercise group improved as the period of intervention progressed. On the other hand, the HbA1c level at each follow-up measurement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12 week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body functions of elderly people with type 2 diabetes. Nevertheless, a combined intervention of steady exercise, diet therapy and drug therapy will be needed for further a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 KCI등재

        경험의안(經驗醫案) 『우잠잡저(愚岑雜著)』의 간울(肝鬱) 치험례(治驗例)

        박상영,오준호,권오민,안상영,안상우,Park, Sang-Young,Oh, Jun-Ho,Kwon, Oh-Min,Ahn, Sang-Young,Ahn, Sang-Woo 한국의사학회 2012 한국의사학회지 Vol.25 No.1

        In recent times, a medical book called "WooJam JabJeo" has been published in complete Korean version. Not a few cases where the vivid appearance of the place for medical treatment are included intact in this medical book. This study is attempting to analyze one symptom of a disease by choosing it among the diseases our ancient sages treated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a few models which are applied to today's clinical treatment by our ancient sages appearance of medical service. This study believes that such an analysis of ancient medicine could be a part of the efforts to increase the applicable models to today's clinical treatment one by one. This paper is aimed at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three cases of Ganwul which are found in "WooJam JabJeo". It's because this study thinks that Ganwul is a symptom over which oriental medicine can not only establish dominance over western medicine it its diagnosis and prescription but Ganwul will also have high applicability to today's clinical treatment.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able to perceive that the author. Jang, Tae-kyeong of "WooJam JabJeo" had vast knowledge of medical theories, especially in author's understanding diseases and composing prescription based on "Donguibogam". Up to the present time, domestic medical circles have understood the emergence of "Jejungshinpyeon(濟衆新編)"(1799) or "Bangyakhappyeon(方藥合編)"(1885) as an outlining work at most for overcoming such a limit of "DonguiBogam" superficially. However, by looking into Jang Tae-kyeong's understanding of "Dongui Bogam". this study was able to know the fact that the emergence of such medical books was possible because the medical knowledge included in "Dongui Bogam" was fully understood and digested in society of the Josen Dynasty. Conclusively, such a fact reminds us that it serves as a momentum to confirm once more that "Dongui Bogam" could be a good model for even today's clinical treatment.

      • KCI우수등재

        사설시조에 나타난 ‘장애’의 一面

        박상영(Park, Sang-young)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 연구는 그간 이 방면 연구에서 관심이 일천했던 사설시조 속 ‘장애’의 다양한 흔적들을 추적해 보고 그 속에 담긴 문화론적 의미망들을 한번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장애’가 보통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지닌 불구자라는, 근대 이후에 형성된 오늘날의 개념과는 달리, 전통 사회에서는 不能自存者와 不能自活者(삼국), 독질자, 폐질자, 잔질자 등 구체적인 질병으로 인한 것(고려), 선천적, 후천적 불편함을 지니고 있거나 신체적으로 미성숙한 인물인 不成人(조선) 등 보다 광범위하였다. 이러한 전통 사회의 장애 개념 속에서, 사설시조를 보면 그 수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크게 4가지의 양상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배척과 배제, 공감과 포용, 비현실 속 현실성 강화를 위한 수단, 권력의 허상을 폭로하는 수단으로서의 장애 像들이 바로 그것이다. 먼저 장애가 배척과 배제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대체로 無鼻者와 곰보를 향한 감각적인 혐오 속에서 제시되는데, 불완전한 이들의 몸은 전쟁의 傷痕이 아로새겨진 것이거나 당대 만연하던 질병의 흔적들이며, 특히 후자의 경우는 실제 연행 현장에서 유희를 더해 주는 소재로서 활용됨을 볼 수 있다. 한편, 공감과 포용 대상으로서의 장애는, 정상인의 삶 속에 포용되려는 인간적 욕망이 반영된 것으로, 장애인 스스로의 자발적 노력에 의한 것과 타자에 의한 것이 있고, 대체로 보편성과 집단적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장애가 비현실 속 현실을 강화하는 수단일 경우에는 그로테스크와 연결되어 규범어를 뒤집은 반언어를 창출함으로써 웃음 미학을 드러내는 동시에 현실계의 모순을 극대화하고 당대의 부조리함을 철저히 까발리기도 한다. 이 외에도, 사설시조에는 장애가 권력의 허상을 폭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주로 신분 권력 및 남녀 간의 性 권력에서 오는 가부장제의 부당함과 절대 권력의 허상 등을 폭로하는 면을 보인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그간 중심으로 간주된 남성의 육체(온전한 몸)에 대한 온전치 못한 주변인들의 저항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처럼 ‘장애’는 단순히 신체적, 정신적 불구라는 1차원적인 의미나 기능을 넘어서 당대 중심-주변 권력의 미학적 긴장 속에서 변화되어 가던 이행기 시대의 한 像을 보여주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장애가 ‘극복되어야 할 그 무엇이 아니라 지속되는 것’이라면, 극복 대상으로서 장애를 보는 시선들과 지속 대상으로 장애를 보는 시선들 간에 어울리고 부딪치는 흔적을 찾는 것은 고전시가 연구에서 장애문화사를 구축해 보는 토대로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disability in Saseolsijo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Disability” in Korean Classical Poetry has not been focused on by many scholars until now, even though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s related to the power, aesthetics of grotesque, etc. This paper basically started with this problematic recognition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nlike the current concept of "disability", which is normal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in a traditional society, it was extensive such as ‘not self-survivors’(Three Kingdoms era), disability by specific illnesses such as serious sicknesses(Goryeo Dynasty) and ‘non-adults’ who were born or had discomfort during their lifetime or who were physically immature(Choseon Dynasty). With this traditional concept of disability, 15 works in Saseolsijo are discovered and shown 4 types of disabilities, Rejection and exclusion, sympathy and inclusion, means for strengthening reality in unreality and obstacles as means of exposing the illusion of power. First, the cases in which obstacles are subject to exclusion is usually presented in biological dislike towards people that have no nose or pockmark. The body of incomplete ones are traces of wounds of war or traces of contagious diseases,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it can be seen that it is used as a material to add amusement to the actual performing situation. On the other hand, disability as sympathy and inclusion object reflects the human desire to be embraced in the life of the normal person and generally has universality and collective consensus. When obstacles are a means to reinforce the reality in unreality, they reveal the laughing aesthetics by creating the language that reverses the normative word in the text in connection with grotesques. At the same time, it maximizes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and thoroughly exposes the absurdity of the time. In addition, a disability is often used as a means of exposing the illusion of power. It is manifest in revealing the identity of power and the unfairness of patriarchal power coming from sexual power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illusion of absolute power. In particular, the latter case is noticed in that it is the resistance of the flesh of the male, which is regarded as the center, by the surrounding people. Thus, "disabilit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n image of the contemporary age that has been changed in the aesthetic tension of the center-periphery powe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e foundation to build the history of disability culture in the study of classical poetry.

      • KCI등재

        사설시조의 여성을 향한 두 시선 : 저항과 욕망, 그 대립을 넘어서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0 No.-

        본 연구는 사설시조 속 대담한 여성들을 향한 연구사적 시선을 추적하고 각각의 논리적 근거와 간극을 통찰하는 과정을 통해 사설시조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문제는 사설시조 속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 이면에, ‘근대(성)’, 조선후기를 바라보는 관점, 문학 연구(고전시가)의 방법론적 접근, 연행/욕망-저항/권력 등 굵직한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학술 담론의 場을 형성해 왔는가를 탐색해 본 것이다. 사설시조에는 性에 관해 대담한 면모를 보여주는 독립적·능동적인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연구사에서는 이들을, 개인의 정욕을 표출한 ‘욕망 주체’로 보아왔거나 기존 질서에 대항하는 사회사적인 ‘저항 주체’로 보아왔다. 전자는 〈춘화〉나 음사 소설의 성행, 동성애에 대한 관심, 계급을 초월한 애정, 일상에서 발견되는 양반들 혹은 농민들 간의 성적 농담 등 조선후기 문화 현상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라면, 후자는 푸코의 권력 이론, 문화보편주의, 사설시조 전편에서 발견되는 저항적인 여성들, 기생들의 당대 제도권에 대한 저항과 이에 대한 사대부들의 동조 여론 등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다. 이처럼 욕망의 기호만을 새기려는 쪽과 저항의 기호까지 새기려는 쪽 간에는, ‘유흥, 통속성, 일상성’과 ‘근대-전 근대’의 관계망에 대한 입장 차이가 복잡하게 얽혀있지만, 연행환경이 갖는 축제의 역할과 기능에서 그 접점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도 했다. 즉 사설시조가 불린 놀이판은 유흥/향락/소비성뿐만이 아니라, 상하질서를 뒤집는 변혁적 전도가 일어날 때도 있었고, 그 과정에서 공감적 신명풀이로서의 커뮤니타스가 형성될 때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설시조 놀이판을 주도한 계층들이, 다른 문화를 향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했을 가능성마저 고려한다면, 이들에 의해 놀이판으로 소환된 여성들을 ‘타자화 된’ 여성으로만 볼 수 없는 면도 있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 짚고 갈 것은, 사설시조의 여성 담론에서 배제된 또 다른 여성군들-특히 노년 여성과 장애 여성-에 대한 ‘시선’의 부재 문제이다. 진정한 여성문학은, 여성 담론 안에서조차 소외된 타자이자 잉여적 존재들인 이들 여성들의 처지와 감성을 오롯이 보듬어 안을 때에야 오롯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s of Saseolsijo research through the process of tracing two conflicting gazes for bold women in the history of Saseolsijo research and insighting each logical basis and gap. The topic is connected with unsolved problems in this field, such as ‘modernity’, a viewpoint toward the late Chosun Dynasty,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iterature research (classical poetry), desire- resistance, power, etc. There are a number of women in the Saseolsijo who show independent, active, and boldness about sexuality. Researchers have seen them as ‘desire subject’ expressing individual lust, or ‘subject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social order. The former is based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late Choson Dynasty, such as 〈Chunhwa〉, the enlightenment of sexual novels, the interest of homosexuality, transcendental affection, or sexual jokes among farmers/upper classes. The latter is based on the Foucault’s theory on power, cultural universalism, resistive women found in the whole Saseolsijo and Gisangs’ resistance to the contemporary system and upper classes’s sympathy on this movement. There is a complicated interplay between the two, ‘one to engrave only the sign of desire’ and ‘one to engrave the symbol of resistance’, about ‘entertainment’, ‘popularity’, ‘everyday life’ and ‘Modern and pre-modern’. However, the contact point of two different gazes could be also found in the role and function of performance like festivals.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Saseolsijo was performed was not only entertainment, consumption, but also transformative evangelism that reversed the upper and lower order, forming communities that bring liberation from norms. In addition, the men who lead the Saseolsijo performance show a flexible attitude not only to “exclude” other cultures but also to “open” them, so women who were summoned by them can be regarded differently not as “stuffed women”. Finally, this study also raised the issue of the absence of a ‘gaze’ on other women - especially older wo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 that were excluded from Saseolsijo women research. It is meaningful not only to look at women as feminist perspectives but also to establish genuine women’s literature when they embrace the sadness and emotions of these women who are marginalized and extravagant beings even in the discourse of women.

      • KCI등재

        사설시조에 나타난 풍류의 한 양상

        박상영 ( Sang Young Park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8 No.-

        이 연구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풍류의 양상을 고찰하고 이것이 미적 범주와 어떤 상관성을 맺으며 이 갈래만의 미학적인 특징을 드러내는가를 한번 살펴본 것이다. 사설시조의 풍류는 전대 시가의 풍류와 일면 비슷하기도 하지만 전대와는 또 다른 풍류 상들을 보여주면서 조선후기 새로운 문화적 지형도를 제시해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자연 친화’, ‘음주가무’, ‘성적 일탈 및 쾌락’의 세 가지 키워드를 미학적 차원에서 풍류 개념의 핵심 요소로 보고, 시조문학 전체에서 발견되는 풍류 양상과 그 속에 담긴 풍류 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사설시조에 나타난풍류의 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우선, 사설시조에는 자아의 풍류와 타자의 풍류가 발견된다. 전자는 시적 화자가 풍류 현장의 주체인 경우로, 대체로 자연과 더불어 物我一體하는 여유롭고 한적한 풍류, 육체적 悅樂과 일탈에서 오는 쾌락적인 풍류, 삶의 고단함과 결합된 인생무상과 취락의 풍류 등 다양한 양상을 드러낸다면, 후자는 시적 화자가 풍류 현장을 멀찌감치 바라보기만 하는 경우로서, 작품에 제시된 풍류는 ‘너’의 풍류이자 목격된 풍류라는 특징을 보인다. 대체로 욕망 결핍과 부재의 정서, 하나의 화제로서 장면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시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풍류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의 미학적 질서를 보여준다. 하나는 자연합일, 歌舞와 宴樂, 풍류 대상과의 동일화 등에서 오는 풍류와 우아미(수평적인 웃음)의 미적 정서이고, 다른 하나는 ‘육체’ 및 ‘성적 담론’에서 오는 풍류와 골계미이며, 마지막 하나는 노는것 자체의 추구와 타자의 풍류를 욕망하는 가운데서 제시되는 희비극성이 바로 그것이다. 우아미를 미적 기반으로 하는 풍류에서는 주로 도가적 초월 의지, 삶의 여유 및 閑寂, 동일화, 서정시적 성격 등을 읽을 수 있다면, 골계미와 희비극성을 미적 기반으로 하는 풍류에서는 난장판의 한 문화, 삶에의 긍정성, 낙관주의, 소통과 화합, 다원주의 세계관, 열림의 미학 등을 읽을 수 있다. 이 중, 우아미와 결부된 풍류가 대체로 양반들의 풍류, 중세적인 풍류, 정태적인 면모 등을 보여준다면, 골계·희비극성과 결부된 풍류는 기존의 미학적 질서와는 다른 방향, 곧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생기발랄함, 동태적인 세계관, 서민들의 풍류, 축제성, 근대적인 일면 등을 보여준다는 특징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spects of Pung-ryu(風流) in Saseolsijo and it’s relations with aesthetics and characteristics. Pung-ryu(風 流) in Saseolsijo is similar to aspects of Pung-ryu(風流) in previous Korean Classical Poetry genres. However, unlike previous times, Saseolsijo’s Pung-ryu(風流) also presents a new cultural place through showing the new patterns of Pung-ryu(風流). In this study, three key words - ``environmentally being friendly``, ``drinking, singing and dancing``, ``sexual deviant and pleasure"- are key elements in the aesthetic dimension of Pung-ryu(風流) concept. This is based on a variety of existing concepts of Pung-ryu(風流). First, it is discovered two contrasting aspects of Pung-ryu(風流) in Saseolsijo, one is ‘self-localized Pung-ryu(風流)’ which is poetic speaker’s one and the other is ‘the other-ness Pung-ryu(風流)’ which is observer’s one. In the former, it is discovered that relaxed and peaceful feelings with nature, physical pleasure from the sexual deviant, and pleasure from heavy drinking and emptiness of life combined with the weight of life, etc. In the latter, it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a deficiency of poetic speaker’s desire and lack of emotion, being presented in a way that is inserted into the scene as one of the topics, etc. These two Pung-ryu(風流) are largely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ree aspects. One is the elegance which is related to Pung-ryu(風流) from ‘unity with nature’, ‘pleasure from singing and dancing in festival’, ‘identification with the subject that enjoys Pung-ryu(風流) situation’, etc. This mainly has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cendence will, free life, stillness,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lyricism, etc. Another is the comic which is related to Pung-ryu(風流) from ‘physical pleasure such as a ‘sexual discourse’ and the other is the tragic-comedy which is related to Pung-ryu(風流) from the pursuit of playing itself and Yearning other’s pleasure. Last two has characteristics such as a culture of clutter, affirmation of the life, optimism, communication and unity, pluralistic world view, the aesthetics of the open, etc. Of these, the Pung-ryu(風流) with the elegance is generally related to medieval features, the upper classes’ life, passive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Pung-ryu(風流) with the Comic and the tragic-comedy are associated with ‘youthful vivacity of the transition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dynamic world-view’, ‘ordinary people’s life’, ‘characteristics of festival’, ‘one aspect of modern featur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