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마검(驅魔劒)> 연구 : 문학 안팎의 영향과 그 수용 방식의 의의

        박상석(Park, Sang-Seok)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50

        In the case of Sin-so-seol(新小說), the intrinsic element of each work is how they were influenc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literature and how they responded to them. Lee Hae-jo(李海朝)’s <Gu-ma-gum(驅魔劒, 1908)> was influenced by the Chinese novel <So-mi-chu(掃迷帚, 1905)> and the development of Western medicine at the time. Of the 24 episodes of <掃迷帚>, <驅魔劒> was seem to be particularly affected by episodes 20 and 8, criticizing the act of pursuing ghosts to heal the plague and the act of believing and following feng shui, respectively.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驅魔劒> used the editorial at the beginning of <掃迷帚> as the content of the characters’ letters. From the sentence level, the literal translation, omit, and abbreviation were combined at that. And the use of <掃迷帚> in <驅魔劒> is closer to homage than plagiarism. Japan, of course,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medicine in Korea at the time of the advent of <驅魔劒>, but the steady acceptance of Western medicine through China was the basis for this. <驅魔劒> reminds us that China has had a greater influence in and outside literature on the formation of 新小說 than we conventionally think. In <Sin-mun-hak-sa> (新文學史, 1939-1940), Im Hwa(林和) evaluated <驅魔劒> is excellent in realit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work using external influences. Although <驅魔劒> takes the new world represented by Western medicine as the aim of his work, the praise for it has been briefly replaced by the editorials taken from <掃迷帚> and the author’s own comments on Western medicine. Instead, the absolute volume of the work was devoted to criticizing the old world represented by superstition through concrete narratives and descriptions. The author’s strategy was to mention the new world, which is still the object of abstract ideas, to a minimum, and instead draw the old world, which is the object of substance and experience, in very detail. 林和, while giving significance to this characteristic of <驅魔劒>, dismissed it as a lack of politics and sociality, because the reviewer himself was still constrained in the illuminism of the 新小說 era.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驅魔劒> as an embodiment of the universal value as a novel that transcend the times would be an assessment appropriate for this 모든 분야에서 외부의 영향이 막강해진 근대 전환기의 문학 양식인신소설의 경우 문학 안팎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어떤 방식으로 그에 대응했는가 하는 것이 각 작품의 본질적인 요소가 된다. 이해조의 <구마검(驅 魔劒)>(1908)은 문학 안에서는 중국소설 <소미추(掃迷帚)>(1905)로부터, 문학 밖에서는 당시 서양의학의 발전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소미추>의24회 가운데 <구마검>이 특히 영향을 받은 것은 귀신을 쫓아 역병을 치료하려는 행위와 풍수를 믿고 따르는 행위를 각각 비판하고 있는 20회와 8회일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밝힌 대로 <구마검>은 <소미추> 도입부의 논설을작중 인물의 편지 내용으로 활용했는데, 문장 차원에서 보면 여기에 직역·생략·축약이 복합됐으며, <구마검>의 <소미추> 활용은 표절보다는 오마주에가까운 것이다. <구마검>이 반영하고 있는 서양의학의 발전에 작품 출현 당시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건 물론 일본이지만, 그 전의 역사를 보면 중국을통한 서양의학의 꾸준한 수용이 그 바탕이 되었다. <구마검>은 우리가 관습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신소설의 형성에 중국이 문학 안팎에서 끼친 영향이 컸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임화는 <신문학사>(1939-1940)에서 <구마검> 에 사실성(寫實性)과 시정성(市井性)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는데, 그것은 이 작품이 외부의 영향 요소를 활용한 태도와 직결된 문제이다. <구마검>은 서양의학이 대표하는 신세계를 작품의 지향점으로 삼으면서도 그에 대한 예찬은다만 <소미추>에서 가져온 논설과 서양의학에 관한 작자 자신의 논평으로짧게 갈음하고, 작품의 절대적인 분량은 ‘미신’이 대표하는 구세계를 구체적인 서사와 묘사를 통해 비판하는 데에 할애했다. 작자는 아직 추상적 관념의대상인 신세계는 최소로 언급하고, 그 대신 실질과 경험의 대상인 구세계를매우 자상히 그려내는 전략을 취했던 것이다. 임화는 <구마검>의 이런 특성에 의의를 부여하면서도 이를 정치성 및 사회성의 결여로써 폄하했는데, 이는 평자 자신이 신소설 시대의 계몽성에 여전히 제약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마검>의 현실성을 시대를 초월하는 소설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시점에 걸맞은 평가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白華梁建植의 「新譯今古奇觀」연구

        박상석(Park Sang Seok)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新譯今古奇觀」은 백화(白華) 양건식(梁建植)이 1931년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한 今古奇觀의 번역물이다. 연재 도중 번역의 방식을 바꿔 1~3화는 축역(縮譯)을 했고, 4화는 완역을 했다. 적극적인 의역(意譯)을 하며 원문의 문장에 많은 부연과 수사(修辭)를 가하고, 당대의 문체와 어휘를 활용했으며, 친근한 우리말식의 표현을 썼다. 그 결과 말의 재미와 맛이 있고, 우리말처럼 자연스럽게 읽히는 문장이 됐다. 내용면에서 작품의 의의는 첫째, ‘~ㅂ니다’ 종결어미의 경어를 구사해 문장을 구어체에 가깝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둘째, 2화 <이백(李白)>은 발해를 비하하는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해 발해에 대한 당시 학계의 인식과 대중의 인식 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셋째, 3화 <타박정랑(打薄情郞)>은 아내가 잘못한 남편을 하인들을 시켜 구타하는 내용의 원작을 한국에서 처음 번역한 것으로, 남녀 관계에 대한 당대 의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게 한다. 넷째, 4화 <장한가(長恨歌)>는 같은 원작의 이전 번역본들과 달리 여주인공을 더욱 조신하고 정숙한 인물로 만드는 변개를 가하지 않아 이 시대에 와서 고소설의 서사관습이 상당히 약화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新譯今古奇觀」is a translation by Yang Gun-Shik(梁建植) and serialized in 每日申報 in 1931. The first to third episodes are reduced translation, and the fourth episode is entire translation. He made liberal translation actively, applied many amplification and rhetoric to the sentence of the original text, used the contemporary style and vocabulary, and expressed friendly words of Korean. As a result, it becomes a sentence which has fun and taste of words, and is read naturally like Korean sentence.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is that, firstly, it makes the sentence close to colloquialism by closing the sentence using a specific ending, ‘-ㅂ니다’. Secondly, the second episode, <李白>, reflects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work, which despising Balhae(渤海), and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a and public perception of Balhae. Thirdly, the third episode, <打薄情郞)>, is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ork in which a wife made the servants to beat the husband who committed a offense, so it shows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Fourthly, the fourth episode, <長恨歌>, unlike the previous translations of the same original, does not change the heroine to more virtuous character. It tells that the narrative convention of classic novel has been considerably weakened in this era.

      • KCI등재

        구한말 운동회의 연설회에 관한 연구

        박상석 ( Sang Seok Park ) 한국체육사학회 2015 체육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구한말에 전개된 운동회의 연설회를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과 잡지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한말 학교운동회의 연설회에서 연설자는 교장, 교두, 학부형, 학도가 중심이 되어 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설의 주요내용은 학습, 학업, 학문, 학무, 운동회, 교육문명 등으로 교육적인 내용이었다. 구한말 사회운동회의 연설회에서 연설자는 총무, 회원, 급수상이 중심이 되어 사회단체 관계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설의 주요내용은 운동, 실업, 친목 등으로 조직의 발전에 관련된 내용이었다. 구한말 연합운동회의 연설회에서 연설자는 교감, 교장, 국장, 총대, 회장, 원장, 군수, 일본신사, 유지신사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단체장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설의 주요내용은 문명, 독립, 공익, 식목, 개명, 교육, 학교법규, 학교설립, 교육과정 등으로 대한제국의 보국과 진보에 관련된 내용이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peech meetings of sports festiva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For th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newspapers, magazines, et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peech meetings of school sports festivals of the speakers were the principal, parent, student. The theme of the speech was education including study, learning, school affair, sports festival, education of civilization, etc. The speech meetings of social sports festivals of the speakers were the manager, member, water supplier. The theme of the speech was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cluding exercise, unemployment, friendship, etc. The speech meetings of union sports festivals of the speakers were the vice-principal, principal, general manager, representative, president, director, governor, Japanese gentleman, community leader. The theme of the speech was patriotism and progress including civilization, independence, public interest, forest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school regulations, establishment of school, curriculum, etc.

      • KCI등재

        기획논문 : 베트남 문학 전근대에서 근대로 ; 『월남망국사』의 유통과 수용

        박상석 ( Sang Seok Park ) 연민학회 2010 연민학지 Vol.14 No.-

        『월남망국사』는 베트남과 중국의 지식인이 일본에서 공동 저술하여 출간한 책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번역이 되었다. 『월남망국사』는 근대 초기 한(韓)·윌(越)·중(中)·일(日)의 동양 4국 간에 일어난 지식과 사장의 교섭 및 전파를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또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한 처절한 저항의 기록인 『월남망국사』는 베트남의 근대문학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텍스트이다. 『월남망국사(越南亡國史)』는 1905년에 중국 상해(上海)의 광지서국(廣智書局)에서 처음 출판되어 최소한 5판까지 발행되었다. 『월남망국사』는 1899년부터 량치차오(梁啓超)가 발행한 잡지인「청의보(淸議報)」에 연재되었고, 량치차오의 문집인 『飮永室文集』(上海 廣智書局, 1907)에도 실렸으며, 근래 『中法戰爭』(中國史學會 編, 2000) 7권에도 실렸다. 판보이쩌우(潘佩珠)는 『월남망국사』를 베트남에 유포시켰다. 이 책은 베트남 내에서 많이 복사되었고, 베트남 국어 (國語, Quae Ngu)로도 번역이 이루어졌다. 근래 일본에서도 『월남망국사』를 번역하여 『ヴェナトム亡國史 他』(潘佩珠 著, 長岡新次郞·川本邦衛 編, 平凡社, 1966)에 수록하였다. 한국에서는 1906년에 『월남망국사』의 내용이 『황성신문(皇城新聞)』에 연재되었다. 이어 현채(玄采)의 국한문혼용체 번역본(普成社, 1906), 주시경(周時經)과 이상익(李相益)의 순 한글번역본(각각 博文書館, 1907 ; 玄公廉 발행, 1907.12), 김진성(金振聲)의 국한문혼용체 번역본(弘文書館, 1949)이 출판되었다. 김윤식 (金允植), 김소운(金素雲) 등은 『월남망국사』를 읽은 느낌을 신문에 기고하거나 자신의 문집, 저서에 기록하기도 하였다. 또 『경향신문(京鄭新聞)』에서는 1908년에 종교적 입장과 관련하여 『월남망국사』의 내용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기사를 싣기도 하였다. 『越南亡國史』was published in China in 1905, and it was republished at least 5 times. It was carried in the 「淸議報」, published by 梁啓超, from 1899, and also carried in the 『飮永室文集』, 梁啓超`s anthology. 潘佩珠 made 『越南亡國史』be spread in Vietnam. This book was copied in Vietnam many times, and was translated in Vietnamese(國語, Quoc Ngu). 『ウェトナム亡國史 他』, the translation of 『越南亡國史』into Japanese was published in Japan in 1966. In Korean the 『越南亡國史』was carried in 『皇城新聞』in 1906. And the book was translated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by 玄采(1906), in pure Korean by 周時經(1907), and by 李相益(1907) respectively, and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by 金振聲(1949). 京鄕新聞 published the article criticizing the 『越南亡國史』severely in connection with their religious posi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족 설화의 소원 성취담 연구

        박상석 ( Sang Seok Park ) 연민학회 2010 연민학지 Vol.13 No.-

        본고는 중국 조선족의 설화집인 『민간설화자료집』의 설화 가운데 소원 성취담을 뽑아 소원 성취의 주체, 성취하는 소원의 내용, 소원 성취의 방법, 소원 성취담 서사의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소원 성취담에서 소원을 성취하는 주체는 여성보다 남성이 훨씬 많으며, 남녀를 막론하고 거의 다가 신분이 천하고 가난한 사회적 약자들이다. 나이 면에서 보면 소원 성취의 주체들은 대개가 젊은이이거나 아이이다. 성취하는 소원의 내용을 보면 혼인, 재물 획득, 출세가 많다. 그 밖에도 적대자응징, 주위로부터의 인정 획득, 부모 상봉 등이 소원 성취의 내용이 된다. 소원을 성취하는 방식도 몇 가지 유형을 이룬다. 조력자의 도움을 받는 방식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지혜, 덕성, 담력에 의해 소원을 성취하는 이야기들이 많다. 또 훌륭한 배우자와의 결연이나 과거 급제를 통해 소원을 이루는 이야기들도 각각 한 유형을 이룬다. 조선족 설화의 소원 성취담은 대개 불우했던 주인공의 처지가 일사에, 극단적으로 상승하는 특성이 있다. 이는 설화의 향수자에게 큰 쾌감을 안기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처럼 갑작스럽고 극단적인 소원의 성취는 현실의 논리를 벗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야기 전개에 종종 우연성과 비현실성이 개입하게 된다. 소원 성취담의 이야기가 황당한 이면에는 현실에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꿈을 공상적인 이야기를 빌어서나마 꿈꿔 보려는 애틋한 소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tales about "accomplishment of desire" in the Korean Chinese tales. We examined the subject, the content, the way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accomplishing-desire tales. There are by far more men than womens as the subject of the accomplishing-desire tales. Generally hero or heroine of the accomplishing-desire tales is the weak, who is poor or humble. The principal content of accomplished-desire is marriage, windfall, rising in the world etc. And the content of accomplished-desire include punishing an enemy, gaining recognition, meeting lost parent etc. There are several patterns at the ways of accomplishing desire. The most is being helped by a supporter. And wisdom, virtue, courage is also the important ways of accomplishing desire. Also gaining the excellent life partner,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is a kind of ways of accomplishing desire. A specific character of accomplishing-desire tales of Korean Chinese is that misfortune situation of the hero-heroin rises at one time, radically. As a result the tales include contingency and unreality every now and then. We get to know that contingency and unreality of the accomplishing-desire tales is relevant with eager desire of the people.

      • KCI등재

        활판본 고소설 <무릉도원> 연구 -원작 규명 및 번역 양상의 고찰-

        박상석 ( Sang Seok Park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무릉도원>은 1924년에 발행된 活版本(舊活字本)한글소설로, 본고에서는 이 작품이 청대 (淸代) 중국소설 <백규지 (白圭志)> 번역임을 밝혔다. 원작 <백규지>는 18세기 말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재자가인 (才子佳人)소설이다. 남녀 인물들의 결연담, 부친을 위한 복수담, 가족의 이합담(離合談)등이 작품 내용을 이루고 있다. <무릉도원>은 원작의 제목을 바꾸었으며, 본문 앞에 나오는 서문(序文)과 범례(凡例),매회의 앞뒤에 나오는 평어(評語)와 산장시 散場詩)등을 생략했다. 그러나 이런 부분을 제외한 작품 본문에 대해서는 축어역(逐語譯)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했다. <무릉도원>이 조선에서 만들어진 <백규지>의 유일한 번역물은 아니다. 중국의 <백규지>를 한글로 번역한 필사본 <백규지>도 있다. 필사본 <백규지>도 축어역에 가까우나 <무릉도원>에 비해 생략된 구절이 많으며, 원문의 동일 부분에 대한 양자의 번역 문장에도 차이가 있다. 이로 보아 <무릉도원>은 현전하는 필사본 <백규지>가 아닌 제삼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삼았거나 혹은 중국의 <백규지>를 직접 번역한 것이다. 필사본 <백규지>는 도중에 번역이 중단된 미완성본이어서 <무릉도원>은 조선에서 <백규지>를 온전히 번역한 유일한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원작 <백규지>에는 조선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모티프들이 여럿 보인다. 이를 통해 조선소설이 중국소설로부터 받은 영향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세기 초부터 소설이 활판 인쇄를 통해 대량으로 제작되면서 고소설 독자는 오히려 이전보다 확대됐다. <무릉도원>은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독자에게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려는 의도로 번역되었다. 조선에서 중국소설을 번역할 때에는 선악을 극단화하고, 주인공의 인물됨을 더욱 완벽하게 만드는 등의 변개를 가하는 것이 예사이다. 이는 대중 독자의 취향을 고려한 조치이다. 그러나 <무릉도원>에서는 이런 변개를 가하지 않았다. 그것이 이 작품이 재판(再版) 그치면서 큰 인기를 누리지 못하게 됐던 하나의 원인이다. <武陵桃源>(Mu-leung-do-won)is a navel written in Korean alphabet, printed by typography.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this novel is translaltion of <白圭志(Baek-gyu-ji)>, the novel of 淸(Cheong) dynasty of Chinese.<白圭志》is assumed to be created in 18c, and it is a story about love, revenge, parting and meeting. <武陵桃源>have changed the title, and have omitted the prologue, introductory remarks, critical, closing poem etc of the original text. But except those part, it have translated faithfully by the way of word-for-word translation. <武陵桃園>is not only another translation of <白圭志> in Joseon (朝鮮). There is another manuscript translation of <白圭志.>. The manuscript <白圭志> is also close to word-for-word translation. But it have omitted more paragraph than <武陵桃源>. And the sentence of the both sides is different each other. Therefore the reference script of <武陵桃園>is not a manuscript of <白圭志>. Its reference script would be another translation of <白圭志>,or the Chinese <白圭志> itself. Chinese <白圭志> have many motives that many old novels of Joseon have also. So by the <白圭志>.<.武陵桃園>, we can see the concrete aspect of influence between Chinese and Joseon`s novel. From the beginning of 20c In Joseon, as novel have being printed by typography the reader of old novel rather have increased. In this situation, <武陵桃園>have been created by the intention to show a brand-new work to the reader. Making good and evil more extremely, and making the character of hero and heroin more perfectly have been happened frequently when Chinese novel is translated to Jonsen`s novel. These works was for the preference of the reader of Joseon`s novel. But <武陵桃源> has not tried modification like these. It is one reason that <武陵桃源>could not gain much popularity. Just being published only second e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