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율적인 색인어 추출을 위한 합성명사 생성 방안에 대한 연구

        김미진,박미성,최재혁,이상조,Kim, Mi-Jin,Park, Mi-Seong,Choe, Jae-Hyeok,Lee, Sang-J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4

        The efficiency of thesytem depends upon an accurate extraction capability of index terms in the system of information search or in that of automatic index. Therefore, extraction of accurate index terms is of utmost importance. This report presents the generation methods of composition noun for efficient index term extraction by using words of high frequency appearance, so that the right documents can be found during information search. For the sake of presentation of this method, index terms of composition noun shall be extracted by applying the rule of composition and disintegration to the nouns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in the documents, such as those with upper 30%∼40% of frequency ratio. In addition, for he purpose of effecting an inspection of validity in relation to a composition of high frequency nouns such as those with upper 30∼40% of frequency ratio as presented in this report, it proposes an adequate frquency ratio during noun composition. Based upon the proposed application, in this short documents with less than 300 syllables, low frequency omissions were noticed, when composed with nouns in the upper 30% of frequency ratio; whereas the documents with more than 30 syllables, when composed with nouns in he upper 40% of frequency ration, had a considerable reduction of low frequency omissions. Thus, total number of index terms has decreased to 57.7% of these existing and an accurate extraction of index terms with an 85.6% adequacy ratio became possible.

      • KCI등재후보

        임산부 및 수유부의 영양·미용·체형변화에 대한 관심도와 미용 보조 식품에 관한 연구

        류세자,박미성,박승용,Ryu, Se-Ja,Park, Mi-Seong,Park, Seung-Yong 한국유가공학회 2017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5 No.4

        Although several supplementary foods are available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there is a need for foods able to maintain a woman's beauty without any changes in body shape. In this study, four questionnaires about nutrition management, skin care, body shape, and the intent of purchasing beauty supplementary foods, were prepared for an online survey (http://pms8011.wixsite.com/project). A total of 95 answers from 293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age, income, occupation, and skin ty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22.0. The significances of the F-valu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were verified by Scheffe's method. All groups were shown to have very high requirements for nutrition management and beauty standards. In the skin patterns, the groups of middle-aged women, house wife and the lower income showed high interests, with a high significance (P<0.01) in ages. With respect to body shape, significant interest was found within the groups of skin type (P<0.05) and age (P<0.001). With regard to supplementary foods, all groups showed a strong intention to purcha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is study indicates the necessity to categorize supplementary foods by the intended target group, such as women planning to conceive, pregnant women, and lactating women.

      • TCR대비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 농산물 가공수출사업 협력방안

        최지현(Choi Ji-hyun),박미성(Park Mi-seong),박한울(Park Hanul)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Eurasia Initiative, one of the Korean government"s key projects. This research aimed to draw problems and implications by analyzing conditions of agro-food and agricultural input market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regions that are expected to be a hub of Eurasia"s economic integration, and to present agricultural cooperation pla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by seeking concrete fields for partnership at the government and private level.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d the technology-intensive agricultural input industry as well as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We proposed short- and mid/long-term cooperative plans in conside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conditions and condition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export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The promising short-term cooperation projects in the processing sector are the chicken industry in Kazakhstan and the fruit and vegetable processing project in Uzbekistan. In the case of short-term partnership programs of the processing sector, foreign companies" direct investment is urgent. Capacity building projects such as technical guidance,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soon to improv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and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governmen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The short-term cooperative projects in the trade sector are needed for Uzbekistan"s fresh fruits and medicinal herbs that are currently traded, and mid- and long-term cooperation projects in agricultural input trade, includ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greenhouse materials, are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regions and market condition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in transition from the socialist system, because overall societies are rigid, there are many factors that limit accepting new agricultural technologies and operation methods.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new farming techniques, interdisciplinary partnership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s required. It is needed to strengthen agricultural research and faculty capacity in the short term and to reform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the 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 in the long term.

      • KCI등재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종법(Lee, Jong-Bub),박미성(Park, Mi-Seong),이도화(Lee, Do-Hwa)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4

        기업들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혁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혁신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리더십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변화지향적인 변혁적 리더십이 전통적인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서 혁신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2개 금융기관, 2개 제조업체, 그리고 1개 대학교 근무 근로자 195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공분산 구조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예측한대로 임파워먼트를 통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대해 임파워먼트를 통한 간접효과는 없고 직접효과만 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혁신행동에 미치는 전체 효과가 훨씬 더 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is recognized that the innovative behaviors of the workers are required for survival and growth of the firms. From the above viewpoi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leadership on the workers' innovative behaviors. Specificall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w change orient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innovative behaviors as compared to traditional transactional leadership using empowerment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n the survey data from 195 workers employed by four financial and manufacturing firms and on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re as follow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affects innovative behaviors through empowerment as expected, resulting in a complete mediation relationship. Seco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only 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s without indirect effect via empowerment. Third, the total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s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These results seem to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the mechanisms by whic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fluence on the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s a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이용선(Lee Yongsun),박미성(Park Mi-seong),한석호(Han Sukho),문한필(Moon Hanpil),박한울(Park Hanul),박지원(Park jiwon),박성진(Park Seongjin),정도채(Jung Dochae),정대희(Chung Daehee),강마야,김윤식,한재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2014년 쌀 관세화 전환에 이어 2015년에는 한·중 FTA 체결로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이 대부분 이루어져 농업분야의 시장개방이 일단락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연구는 완전개방시대에 처한 한국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정립하고 분야별 발전과제와 지역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결과와 전문가 포럼 운영 결과 등을 바탕으로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환경에 대한 SWOT 분석을 실시하고 비전과 발전과제들을 도출하였다. 농업·농촌 관련 지표의 20년간 전망치 산출을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모형인 KREI-KASMO를 이용하였다. 미래 비전과 과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AHP(계층의사법)를 사용하였다. 지역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3개 권역의 대학과 연구소에 연구를 위탁하였다. 농업·농촌·식품산업의 20년 후 미래 비전을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과 살고 싶은 농촌’으로 설정하였다. 분야별 발전방향 중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미래성장산업화’, ‘국토환경보전과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극대화’, ‘도농격차 해소와 살고 싶은 농촌 건설’ 등의 방향보다 우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의식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정부의 정책 방향도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시스템 구축을 최우선 순위로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분야별 과제로서 농업 선도 주체 및 인력 양성, 안전한 농축산물 관리체계 구축, 농촌 일자리 창출 전략이 중요도 측면과 시급성 측면 모두에서 우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부도 향후 농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경영체 육성을 비롯한 안전 관리 체계의 구축과 농촌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지역 발전 방향으로 충남 지역은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순환 농식품 체계 구축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기존 정책과 사업, 주체, 부문과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독립적인 위원회에 의한 거버넌스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거버넌스 기능을 수행하려면 역량 강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전남지역의 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친환경 농업을 내실화함으로써 경제적·환경적·안전한 농식품을 주도하는 전략이 주효하다. 친환경 농업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농가의 실천 의지와 책임 의식 고양을 위한 교육 강화와 인재 육성, 유기농 농업 기술의 개발과 현장 보급·지원체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경남지역 농가는 아열대 과일·채소 등 새로운 품목 도입에 적극적인데,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해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지역 농정과 전문 지식 및 인력을 갖춘 대학·연구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연구 확산 활동이 현장과 밀착되면 지역 혁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With rice tariffication in 2014 and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in 2015, Korea concluded free trade agreements with most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EU, and China, finishing one stage of the agricultural sector’s market opening. In an era of full market opening,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vision of the future of Korea’s agriculture, rural communities, and food industry and present each field’s tasks for develop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WOT analysis of the future environment of agriculture, rural areas, and the food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expert forum, and derived the vision and tasks for development. We utilized KREI-KASMO,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agricultural outlook model to calculate the estimates of indices for 20 years related to farming and rural regions. To analyz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tasks and the vision, we carried out in-depth expert research and employed AHP. To dra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we commissioned a study to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ree areas. We set the following vision of the future of agriculture, rural communities, and the food industry in 20 years: “the sustainable agri-food industry and livable rural areas.” Among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each field, “stable supply of safe agri-food” took priority over “future grow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maximiz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farming and rural regions,” and “a reduction in the urban-rural gap and the creation of livable rural communities.” This accords with the public opinion survey results, implying that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should put top priority on constructing a stable supply system of safe food. As tasks by field for achieving the vision of agriculture, rural areas, and the food industry, training leading agricultural players and human resources,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of saf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creating rural jobs were given priority in terms of both importance and urgency.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also place top priority on nurturing enterprises that will lead future agriculture, building the safety control system, and creating jobs in rural reg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Chungcheongnam-do should set up a food-centered plan to construct a regional circulation system of agri-food, and should strengthen an independent committee’s governance function to link existing policies and projects, agents, sectors and fields. For the function of governance, capacity building is importa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it need to be reinforced. For Jeollanam-do’s agricultural development, it will be effective to pursue a strategy for safe, economic, and eco-friendly agro-food by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farming. To strengthen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ducation for enhancing farmers’ will to practi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nurture talents, and improve a system for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The farms in Gyeongsangnam-do are actively cultivating new items such as subtropical fruit and vegetables. This province needs to pursue its development by building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gional innovation can result from research dissemination in the field through close cooperation between local agricultural policy an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ith expertise and human resources.

      • 농어촌 고용실태와 인력정책 방향

        김병률(Byeong-Ryul Kim),전익수(Ik-su Jun),윤종열(Jong-Yeol Yoon),민자혜(Ja-Hye Min),박미성(Mi-seong Park),김말징(Mal-jing Kim),김배성(Bae-seong Kim),김정섭(Jeong-seop Kim),한재환(Jae-hwan Ha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우리의 농업인력 수급실태에 대한 보다 엄밀한 현황분석을 위해 여러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해서는 지역 오피니언 리더, 농업인, 농촌인근 인력회사를 대상으로 설문 및 전화조사를 실시하고 필요 시 현장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조사에 응한 지역 오피니언 리더들에 의하면, 농작업 인력부족으로 적기영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83.3%에 달해 인력 수급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준다. 농업인 조사에서는 고용노동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농업인 비중이 73%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상시고용을 이용하는 비중은 11%에 그친 반면, 일일고용을 이용하는 비중은 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인근 인력회사 조사에서는 농촌지역 인력회사 인부들의 농작업에 대한 비선호도가 80.4%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농작업의 어려움(41.9%)과 저임금(17.4%)이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인력회사를 통한 인부들은 주로 건설작업 현장으로 투입되고, 농업분야는 50~60대 고령층이, 그리고 과거 농작업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축산업 고용인력에 외국인 의존도가 심화되는 추세이다. 농축산업분야에서는 시설원예 작업, 축사관리 등 농작업 특성상 주말이나, 공휴일 잔업을 기피하는 국내 노동력보다 외국인 근로자를 선호하고 있다. 시설원예, 버섯재배 공장 등 상시고용에는 합법 외국인근로자가 주류이며, 고랭지채소, 양념채소 파종 및 수확기 등에는 지역에 따라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도 상근인력으로 이용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분야 외국인 근로자 고용과 관련된 가장 어려운 점은 수요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문제(29.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급부족 문제는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협상력을 높여 경영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근무태도 불량 등 도덕적 해이를 유발한다. ’10년도 행안부 주관의 희망근로사업으로 농촌지역 농업인력 공급에 심각한 교란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인근 희망근로사업에 참여하는 인력은 대부분 기존의 농촌인력으로 상대적으로 쉬운 희망근로사업으로 유출됨에 따라 기존의 농촌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업인력 수급안정화를 위한 방향은 농업인력 수급의 현안 문제인 인력수요의 계절성 문제, 신규인력의 농업분야 비선호 및 유입 부족 문제, 다른 산업분야 대비 상대적 저임금 문제 등을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방향 설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세부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농업(특히, 경종작물)은 지역별 생산 품목이 다르고, 같은 품목도 지역별농작업 시기가 달라 전국의 가용한 농업인력을 DB화하고 맞춤형으로 인력을 공급하여 계절성을 완화할 수 있는 농어촌인력은행 및 인력공급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국의 지역별 시기별 고용인력 현황 및 전망을 나타내는 농업인력관측사업을 동시에 수행해 농어촌인력은행 및 인력공급시스템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농업분야 고용의 저임금문제와 관련하여 농업은 산업적 특성상 임금을 제조업분야처럼 인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농어촌 고용에 대한 임금지원방안을 마련해 효율성임금을 통한 고용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농업분야 신규인력 유입이 부족한 실정에 대하여, 기존 이론(고용이력모형)에서 시사하는대로 농업분야 노동경험기회를 확대해 향후 취농 유인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청년인턴제, 농관련기업의 방위산업체 지정, 공익요원의 농촌부문 활용, 사회봉사명령대상자의 농촌지원 프로그램 확대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의 농업분야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해 임금인상 등 경영비 압박 및 근무태만·이탈 등의 도덕적 해이를 부추기는 실정이므로 농업분야 외국인 노동자 쿼터량을 확대하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력네크워크를 활성화하며, 외국인 노동자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노동할 수 있는 교육지원, 체류기간연장, 4대보험지원 등의 복지지원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현재와 같이 농업부문의 고용인력 수급 불일치가 지속 또는 심화될 경우에는 고용문제가 우리 농업의 미래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것이므로 우리 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해 농촌인력의 안정화가 급선무라는 인식 필요하다.

      • 딸기 와인 개발을 위한 최적 발효 조건

        김민기, 박미성, 엄은경, 조은혜, 이종수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論文集 Vol.27 No.1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for development of new strawberry wine were investigated. Commercial yeast, Fermivin was good for brewing of strawberry wine and its optimal addition concentration was also 1%. Maximal ethanol content of strawberry wine was obtained when raw strawberry juice(24 brix) was fermented by 1% Fermivin at 25℃ for 7 day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78.5%. 새로운 딸기 와인을 개발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연구하였다. 시판효모인 페미빈이 딸기와인 제조에 제일 좋았고 1%가 최적 첨가 농도이었다. 딸기와인의 최대 에탄올 생성량은 생딸기주스 (24brix)를 1% 페미빈으로 25℃에서 7일 발효시켰을 때 얻어졌고 이 발효액의 항산화활성은 78.5% 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