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집 방법과 시기 및 빈도에 따른 곤충의 다양성 비교

        박근호,조수원,Park, Geun-Ho,Cho, Soo-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곤충의 채집방법, 횟수 및 시기와 채집된 곤충의 종류 및 개체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 내 4곳을 선정, 일 년간 봄부터 가을까지 매 2주마다 채집을 실시, 총 16회 조사를 하였다. 각 장소마다 light trap, net sweeping, pitfall trap, window trap의 4가지 채집방법을 병행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모두 14목 672종이 조사되었으며, 전체 종수의 75%인 501종이 채집된 유아등 채집(light trap)방법이 18% 또는 그 이하의 종수를 기록한 타 채집방법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채집시기에서 채집된 종이 2주 후의 채집에서 다시 채집되는 비율이 평균 30%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곤충다양성 조사에 있어서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채집방법과 함께 채집의 빈도(sampling window)를 높이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find out the affection of the sampling techniques to the result of a faunistic study, we surveyed the insect fauna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ur different sites) for a year, from spring to fall. For each site, four different collecting methods: light trap, net sweeping, pitfall trap, and window trap, were applied and the collecting was done every other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A total of 14 orders and 672 species were collected. 501 species were collected by the light trap, which covers about 75%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urn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while other methods could only cover 18% or less. On average, only about 30% of the species collected at a given time of collecting were re-collected at the next collecting, which means about 70% of the species collected from the first collecting remains not collected in the next collecting if you collect insects every other week. The result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applying diverse collecting methods, frequent sampling, or narrow sample window, is another very important factor for a good representation of species diversity in an insect faunistic study.

      • KCI등재

        서식환경에 따른 모기 분포조사(2016-2018)

        박근호,김성일,조성우,조선란,이승주,김현경,구현나,이욱교,조신형,김길하,Park, Geun-Ho,Kim, Sung Il,Cho, Sung Woo,Cho, Sun-Ran,Lee, Seung-Ju,Kim, Hyun Kyung,Koo, Hyun-Na,Lee, Wook-Gyo,Cho, Shin-Hyeong,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3년간(2016-2018년)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발생분포를 채집지 3곳(주거지와 철새도래지, 축사)에서 2종의 트랩(BL트랩과 BG트랩)을 이용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주거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모기 종은 빨간집모기였으며, 철새도래지와 축사에서는 금빛숲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철새도래지와 주거지에서는 BG트랩이 BL트랩보다 모기가 더 많이 채집되었으나 축사에서는 BL트랩에서 더 많은 모기가 채집되었다.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 큰검정들모기는 BG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고 금빛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동양집모기는 비교적 BL트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모기를 분류 동정한 결과 2016년에는 10종 22,679개체가 채집되었고, 2017년에는 8종 6,502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49배 감소하였다. 2018년에는 6,803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33배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강수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상조건과 여러 변인들(채집지역과 모기종류, 트랩종류)에 의한 모기밀도와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특정 관련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채집된 모기의 병원체 감염을 확인한 결과, 2016년도 축사에서 채집한 금빛숲모기 2개 pool, 2018년에 축사에서 채집한 빨간집모기 1개의 pool에서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가 검출되어 각각 0.088와 0.147의 최소감염율(MIR)을 보였다. 2017년에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The distribution of mosquitoes collected in the Cheongju area from 2016-2018 were compared. The collection sites were established at a residential area, migratory bird sanctuary, and cowshed using black light (BL) and BG sentinel traps. Culex pipiens was the most collected species in the residential area, and Aedes vexans was the most collected species in the migratory bird sanctuary and cowshed in all years. The BG trap collected more individuals than did the BL trap in the residential area and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otal, 22,679 (10 species)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016, and 6,502 (8 species) and 6,803 (9 species)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017 and 2018, accounting for 3.49- and 3.33-fold decreas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mosquito density,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The Chaoyang virus was found in Aedes vexans and Culex pipiens collected at the cowshed in 2016 and 2018,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surveillance of mosquitoes should be performed for controlling mosquito populations and mediating diseases spread by this vector.

      • KCI등재

        필터 뱅크 기반 BCI 시스템을 위한 CSP와 LDA를 이용한 필터 선택 방법

        박근호(Geun-Ho Park),이유리(Yu-Ri Lee),김형남(Hyoung-Nam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5

        운동심상(Motor imagery)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는 주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발적인 운동 의지를 읽는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피실험자의 운동 의지를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 감각운동 영역(sensorimotor area)의 일부분에서 나타나는 -대역(8-13Hz)의 전위 감소 현상인 event related desynchronization(ERD)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EEG는 공간 해상도가 낮고 사용자에 따라 ERD가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소 차이가 있어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법의 하나로서 공간 필터를 구현하는 common spatial pattern (CSP)과 필터 뱅크(filter bank)를 결합한 형태인 discriminative filter bank common spatial pattern(DFBCSP)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DFBCSP는 EEG 신호의 평균 전력(power)의 Fisher ratio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른 효과적인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discriminative filter bank(DFB)를 구성하여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켰지만 ERD의 공간 패턴이 나타나는 적절한 필터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EEG 신호의 평균 전력 대신 CSP의 특성 벡터를 이용하여 DFB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필터 선택 결과와 분류 정확도 분석을 통해 CSP 특성 벡터가 DFB 구성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인다. Motor imagery based Brain-computer Interface(BCI),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s the technique for decoding the user’s voluntary motor intention using Electroencephalography(EEG). For classifying the motor imagery,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ERD), which is the phenomenon of EEG voltage drop at sensorimotor area in  -band(8-13Hz), has been generally used but this method are not free from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BCI system because EEG has low spatial resolution and shows different ERD-appearing band according to users. Common spatial pattern(CSP) was proposed to solve the low spatial resolution problem but i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very sensitive to frequency-band selection. Discriminative filter bank common spatial pattern(DFBCSP) tried to solve the frequency-band selection problem by using the Fisher ratio of the averaged EEG signal power and establishing discriminative filter bank(DFB) which only includes the feature frequency-band. However, we found that DFB might not include the proper filters showing the spatial pattern of ERD.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a band-selection process using CSP feature vectors an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to DFBCSP instead of the averaged EEG signal power. The filter selection results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the existing and the proposed methods show that the CSP feature is more effective than signal power feature.

      • KCI등재
      • KCI등재

        뉴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다매체간 융합 연구

        박근호 ( Geun Ho Park ),최규호 ( Kyu Ho Choi ),김규정 ( Kyu Ju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최근의 뉴미디어 아트에서 매체간의 융합은 전통예술에서 가지고 있던 단일 매체예술의 정의를 변화시켰다. 뉴미디어 아트에서 장르 간 해체와 형식 파괴, 그리고 표현 방식의 다변화, 등은 새로운 예술의 미학적 정의와 분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행위자의 신체를 중심으로 한 퍼포먼스가 뉴미디어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뉴미디어 퍼포먼스의 표현 방법과 예술성을 매체의 융합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뉴미디어 퍼포먼스에서의 매체간 융합이란 행위자의 행위를 비롯하여 조명, 사운드, 비디오 등 작품의 요소가 되는 모든 미디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 복제와 변형이 끊임없는 피드백의 과정을 통해 전체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매체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표현을 이해하기 위하여, 발터벤야민의 아우라(Aura) 이론을 재고하였으며, 각 매체의 기술 분석을 통하여 뉴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다매체간 융합을 통한 현대적 아우라 생성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미학적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다매체간 융합을 통합 시청각 표현이라는 공통된 실행 방식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뉴미디어 퍼포먼스 작품들과 연구자가 참여한 <Instinct Spectrum>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Recent convergence of various media in media art changes the definition of a single media form of art, which exists in traditional arts. The characteristics in new media art, such as the deconstruction and inter-connection between genres, the destruction of a single art form, and the diversification of visual expression need new aesthetic definition and analysis. This research analyses the audio-visual expression and structure of new media performance within the context of media convergence with the combination of body performance. Media convergence of new media performance includes performer`s aura with the connection of light, sound, and video that metamorphose between ambient feedback and method pass. This research also reconsidered an Aura Theory of Walter Benjamin`s in order to achieve a logical understanding of new visual expression through media convergence in new media performance. <Instinct Spectrum> is a good possibility of media theory participant between new media convergence and sense of visuality and auditory in a discussion of new media performance aesthetics. And finally, this research discusses creation of real time unique artistic expansion and sense of visuality, auditory of variable methods though example analysis.

      • KCI우수등재

        주파수 변조 방송신호를 활용하는 수동형 바이스태틱 레이더에서의 합성곱 신경망 기반 표적 탐지 기법

        박근호(Geun-Ho Park),김형남(Hyoung-Nam Kim) 대한전자공학회 2020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7 No.12

        주파수 변조 라디오 대역 수동형 바이스태틱 레이더는 고속 이동 표적의 위치와 속도를 추정하는 레이더로서, 88∼108 MHz 대역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활용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수동형 바이스태틱 레이더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레이더 시스템은 일정 오경보 확률 탐지기를 통해 표적 탐지를 수행한다. 하지만, 주파수 변조 신호의 특징으로 인해 거리-도플러 맵에서 다수의 부엽이 나타나고, 모호 함수의 형태가 실시간으로 변하기 때문에, 일정 오경보 확률 탐지 기법은 표적 이외의 신호 성분을 다수 탐지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표적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일정 오경보 확률 탐지 기법과 동일한 탐지 확률을 달성하면서도 잡음에 의한 탐지 및 부엽에 의한 평균 탐지 개수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표적 탐지를 위한 합성곱 신경망의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과 일정 오경보 확률 탐지기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제안한 심층 신경망 기반 표적 탐지기가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보인다. Frequency-modulation (FM) band passive bistatic radar is a system for estimat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a fast-moving target. Such a system can exploit commercial FM-radio broadcasting signals in the frequency band of 88-108 MHz. Most radar systems, including passive bistatic radars, perform target detection using a constant false alarm rate (CFAR) algorithm. However,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FM broadcasting signals, many sidelobes appear in the range-Doppler map, and the CFAR detection algorithm produces unwanted detection results. Besides, as the shape of the ambiguity function changes over time, this property makes it difficult to detect the target. This paper proposes a target detection method based o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can solve this problem. This method can achieve almost the identical detection probability as a CFAR detector but has a small number of false detections generated by sidelobes. We propose a method of train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target detection and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a CFAR detector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