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박경란 ( Park Kyungr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이 연구는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시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 시청각장애 관련 정책 자료, 특별지원교육 관련 법령,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 등을 분석하고, 전국맹농인협회와 국립특별지원 교육종합연구소에서 실시한 맹농인 실태 조사 결과를 검토ㆍ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본에서는 ‘시청각장애’에 대한 법적인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시청각장애는 ‘맹농(盲聾)’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14,000명의 맹농인 중 학령기 학생은 555명으로 추정되며, ‘맹농’보다는 ‘약시난청’이나 ‘전맹난청’ 학생의 비율이 높고, 시청각장애 외 다른 장애를 동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일본은 「영유아 건강검진」과 「취학 시 건강검진」을 통해 장애를 발견하고 의료, 보건, 복지, 교육 등 관련 분야의 협력을 통한 연계 지원 체계를 강조한다. 검진을 통해 발견된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ㆍ지원을 위해 ‘개별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학령기 동안은 ‘개별교육지원계획’으로 전환되어 장애 영역별 특별지원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청각장애학생의 배치에 있어서는 해당 학생의 당면 과제의 우선 순위를 파악하고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특별지원학교에 배치가 이루어진다. 셋째, 일본에서 맹농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일반교육과정에 준하는 교육과 함께 ‘자립활동’을 추가적으로 편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발달장애가 심한 맹농학생의 경우 ‘자립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자립활동’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의사소통 수단의 선택ㆍ활용에 대한 고려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맹농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국립특별지원교육종합연구소’에서 매년 연수회를 실시하고 ‘전국맹농교육연구회’가 조성되어 맹농교육 현장 실천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각장애 진단ㆍ평가, 교육배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그리고 교사 전문성 함양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in Korea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deaf-blind students in Japan. [Method] To this end, policy data on the deaf-blind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Laws related to special support education and learning guidelines for special support schools were also analyzed. [Results] First, in Japan, no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term ‘deaf-blind (Mourou)’was being used. Among the 14,000 deaf-blind people in Japan, 555 are estimated to be school-aged. The percentages of ‘low vision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or ‘blind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deaf-blind' students, and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had other disabilities apart from deaf-blindness. Second, Japan finds disabilities through ‘infant and child health screening’and ‘school enrollment health screening'. Moreover, Japan emphasizes a connected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in related fields, such as health, welfare, and education. When a disability is found through screening, an ‘individual support plan’ is established to counsel and support the disabled person. If the person is of school age, this plan is converted to an ‘individu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by special support schools. Third, in Japan, the curriculum for deaf-blind students requires additional ‘self-reliance activities’ along with an education equivalent to the general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and use of communicative means are specified in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self-reliance activities'. To foster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of deaf-blind students, the Japane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Needs Education’ offers and annual workshop, and the ‘National Research Society for Deaf-blind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to share cases of deaf-blind education practic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found regard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af-blind students, educational placemen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박영근(Park, Yungkeun),이태훈(Lee, Taehoon),김미경(Kim, Mikyong),박경란(Park, Kyungr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 대학에서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있었던 주된 경험 및 느낀 점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수한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30명의 예비특수교사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배우고, 경험하고, 느낀 점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반구조적인 감상문 형태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이후에 5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인 지속적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실습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현장역량들을 많이 기를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현장과 지적장애 학생들을 보다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2년간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경험을 통해서 4학년 1학기에 참여할 정규실습에 대비하기 위한 수업능력향상, 수업시연 자신감 향상, 문제행동 대처방법 숙지에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전공학업이해 증진 및 예비특수교사로서의 진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결론: 예비특수교사들의 현장역량강화를 위해서 4주간의 정규실습 전에 반드시 체계적인 사전실습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for two yea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train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Jeonnam province were asked to write semi-structured impressions about what they had learned, experienced, and felt during the two years’ pre-practicum program. Among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ed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to become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uld understand the special education field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two years’ experience was beneficial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epare the practicum they will participate i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senior grade by becoming confident in preparing for classes and teaching demonstrations and how to address behavioral issu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was beneficial for students to understand academic knowledge and gain confidence in career cho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atic pre-practicum program before participating in 4 weeks’ practicum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gain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as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위ㆍ아래 장간막 동맥의 연결 변이 1예

        김수일(Kim SooIl),박경란(Park KyungRan),이영호(Lee YoungHo),김원식(Kim Won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6 No.1

        중남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해부학 실습중 위창간악동액과 아래장간막동액이 두 동맥의 기시부로부터 연결고리 (anastomotic loop) 를 형성하고 있는 변이 1 예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 변이는 위장간막동액의 기시부로부터 약 lcm 와 아래창간막동맥의 기시부로부터 약 4cm 부위를 연결하는 고려로서 굵기는 약 0.5em 정도로 전세 고리에서 비슷하였고 길이는 약 13cm 였으며 상하 기시부로부터 각각 약 5cm 되는 곳에 위왼결장동맥과 왼결장동맥으로 생각되는 가지들을 내고 있었는데 이는 중심장간악동맥간 연결(central intermesenteric arterial com munication ) 로 인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