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optotic Effect of Co-Treatment with a Natural Product, Chios Gum Mastic, and a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Derivative, HS-1200, on Human Osteosarcoma Cells

        Ji-Hak Min(민지학),Min-Jeong Kim(김민정),In-Ryoung Kim(김인령),Seung-Eun Lee(이승은),Hyun-Ho Kwak(곽현호),Gyoo-Cheon Kim(김규천),Hae-Ryoun Park(박혜련),Sang-Hun Shin(신상훈),Chul-Hoon Kim(김철훈),Na-Young Jeong(정나영),Hongsuk Su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2

        Chios gum mastic(CGM)은 그리이스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Pistacia lenticulus 나무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수지상의 천연 추출물이다. 합성 chenodeoxycholic acid(CDCA) 유E씨가 여러 가지 암세포에 유도한 세포자멸사 연구들이 보고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천연물질인 CGM과 항성 CDCA 유도체인 HS-1200의 병용처리가 사람골육종세포에 효과적인 상승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CDM과 HS-1200의 병용처리가 단독처리에 비해서 효과적인 세포생존율 감소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MIT법을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유도와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Hoechst 염색법과 DNA 전기영동법을 사용하였다. 병용처리 때,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세포내에서의 이동을 밝혀내기 위해서 Western bot 분석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서 proteasome 활성도와 사립체막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병용처리 된 사람골육종세포는 단독처리 된 사람골육종세포에서 거의 관찰할 수 없었던 많은 핵 응축, DNA 조각남, 사립체막 전위와 proteasome 활성도의 감소, DNA 양의 감소,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CAD)의 핵으로의 이동, caspase-7, caspase-3 그리고 PARP의 활성화와 같은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24시간 동안 40㎍/mL CGM과 25μM HS-1200을 각기 단독처리 한 결과에서는 세포자멸사를 유도 못했으나, 병용처리한 결과에는 아주 탁월한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보였다. 이러한 병용처리 결과는 사람골육종의 새로운 치료적 전략으로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Chios gum mastic (CGM) is a resinous exudate obtained from the stem and the main leaves of Pistacia lenticulus tree native to Mediterranean areas. Recently it reported that CGM induced apoptosis in a few cancer cells in vitro.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CDCA) derivatives showed apoptosis-inducing activity on various cancer cells in vitro.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apoptotic effect of co-treatment with a natural product, CGM and a CDCA derivative, HS-1200 on human osteosarcoma (HOS)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treatment of CGM and HS-1200 compared with each single treatment efficiently reduced the viability of HDS cells, MTT assay was conducted. Induction and augmentation of apoptosis were confirmed by DNA electrophoresis, Hoechst staining and DNA hypoploidy, Westen blot analysis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were performed to study the alterations of the expression level and translocat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 co-treatment. Furthermore, proteasome activity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change were also assayed. In this study, HOS cells co-treated with CGM and HS-1200 showed several lines of apoptotic manifestation whereas each single treated HOS cells did not. Although the single treatment of 40 ㎍/㎖, CGM or 25 μM HS-1200 for 24 h did not induce apoptosis, the co-treatment of them induced prominently apoptosis. Therefore our data provide the possibility that combination therapy of CGM and HS-1200 could be considered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human osteosarcoma.

      • KCI등재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Derivative HS-1200-induced Apoptosis of Human Melanoma Cells

        Chul-Jung Baek(백철중),Ji-Hak Min(민지학),Seong-Hyeok Moon(문성혁),In-Ryoung Kim(김인령),Seung-Eun Lee(이승은),Duk-Han Kim(김덕한),Gyoo-Cheon Kim(김규천),Hyun-Ho Kwak(곽현호),Bong-Soo Park(박봉수)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0 No.4

        담즙산과 합성담즙산유도체가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며,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합성 chenodeoxycholic acid (CDCA) 유도체가 여러 가지 암세포에 유도한 세포자멸사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람흑색종세포에 합성 CDCA 유도체가 유도한 세포자멸사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합성 CDCA 유도체인 HS-1199와 HS-1200이 사람흑색종세포(G361 세포)에 세포자멸사 효과와 세포자멸사 기작을 밝혀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합성 CDCA에 처리된 G361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MTT 방법을 사용하였고, 세포자멸사 유도 검증은 DNA 전기영동법과 Hoechst 염색을 이용하였다.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세포 내에서 이동을 밝혀내기 위해서 Western bot 분석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서 proteasome 활성도와 사립체막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다. 합성 CDCA 유도체로 처리된 G361 세포에서 caspase-3, DFF, PARP의 파괴, caspase-3 (HS-1200 only), PARP, DFF의 분절화, DNA 조각남(HS-1200 only), 핵 응축, proteasome 활성화의 감소, 사립체막전위(MMP)의 감소, 그리고 cytochrome c와 AIF의 사립체에서 세포질로의 유리와 같은 다양한 세포자멸사의 증거를 보였다. 두 개의 합성 CDCA 유도체 중에서 HS-1200이 HS-1199보다 더욱 강한 세포자멸사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CDCA 유도체인 HS-1200이 사람흑색종세포에서 proteasome, 사립체 그리고 caspase 경로을 통해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S-1200이 사람흑색종의 새로운 치료적 전략으로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ile acids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induced apoptosis in various kinds of cancer cells and anticancer effec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CDCA) derivatives showed apoptosis-inducing activity on various cancer cells in vitro. It wasn’t discovered those materials have apoptosis-inducing effects on G361 human melanoma cells.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synthetic bile acid derivatives, HS-1199 and HS- 1200, induced apoptosis on G361 cells and such these apoptosis events. The viability of G361 cells was assessed by the MTT assay. Induction of apoptosis was confirmed by DNA electrophoresis and Hoechst staining. Westen blot analysis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were performed to study the alterations in expression level and translocat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Proteasome activity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change were also assayed. Tested G361 cells showed several lines of apoptotic manifestation such as activation of caspase-3, DFF and PARP, DNA degradation (HS-1200 only), nuclear condensation, inhibition of proteasome activity, reduc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and AIF to cytosol. Between two synthetic derivatives, HS-1200 showed stronger apoptosis-inducing effect than HS-1199 did. Taken collectively, we her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synthetic CDCA dedrivatives induce apoptosis of human melanoma cells through the proteasome, mitochondria and caspase pathway. Therefore our data provide the possibility that HS-1200 could be considered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human melanoma cells from its powerful apoptosis-inducing activity.

      • KCI등재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by Extracellular Product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김규천(Gyoo-Cheon Kim),강현희(Hyeun-Hee Kang),김현철(Hyeon-Cheol Kim),김인령(In-Ryeon Kim),이무형(Moo-Hyung Lee),구병찬(Byung-Chan Koo),김덕한(Duk-Han Kim),민지학(Ji-Hak Min),박봉수(Bong-Soo Park)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4

        100년 전부터 암을 가진 동물이나 사람이 박테리아에 감염되었을 때, 그 암조직이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박테리아는 감염된 세포내에서 단백질합성 저해제와 구멍형성 단백질 분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내재성 단백질 분자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작을 통해서 세포자멸사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로부터 분리한 세포밖 분비물(EPPA)이 구강편평상피암종세포(OSC9)의 세포자멸사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 하였다 EPPA는 OSC9 암세포에 농도 의존적으로, 또한 시간 의존적으로 암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다. Hoechst 염색법, TUNEL 분석법 그리고 DNA 전기영동 등의 방법을 통해 염색질 응축과 핵분절 등이 확인되었다. EPPA가 처리 후 24시간 경과된 세포에서부터 caspase-3와 caspase-6의 활성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spase-3의 기질인 PARP와 DFF45 그리고 caspase-6의 기질인 lamin A의 분절형태가 관찰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EPPA가 OSC9 암세포에서 casapse 의존성 세포자멸사를 유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사람구강편 평상피암종에 항암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물질이 EPPA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It was reported that cancer in humans and animals infected with microbial pathogens was regressed about 100 years ago. Bacteria are able to trigger apoptosis by a variety of mechanisms including the secretion of protein synthesis inhibitors, pore forming proteins, molecules activating the endogenous death machinery in the infected cel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extracellular products of Psuedomonas aeruginosa (EPPA) induce apoptosis in human oral carcinoma cells (OSC9). The EPPA showed cytotoxic effect on OSC9 cells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The cell death was demonstrated to be due to apoptosis characterized by chromatin condensation and nuclear fragment. EPPA treatment induced cleavage of caspase-3 and caspase-6. The caspase substrates, PARP, DFF45 and lamin A were cleaved during EPPA-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EPPA induces apoptosis on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in caspase-dependent manner. Our data therefore provide that EPPA contains a novel antitumor agent for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