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계 추출 Lard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생성물 유래 육류향미제의 향기패턴 및 관능적 특성

        문지혜,최인욱,최희돈,김윤숙,Moon, Ji-Hye,Choi, In-Wook,Choi, Hee-Don,Kim, Yo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5

        MRP유래 육류 향미제의 향미 증강을 위하여 리보오스와 저 Glu 소맥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기본 기질로 한 향미 조성물에 온도와 압력 조건별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하여 향미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육류 향미제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향 특성이 우수한 육류 향미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Lard SC-$CO_2$분획 추출시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추출온도를 $40^{\circ}C$로 고정하여 30-60 MPa의 압력에서 추출하였을 때 40 MPa 이상에서 추출효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추출된 lard SC-$CO_2$ 분획들의 SMart nose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을 실시한 결과, $40^{\circ}C$에서 원료 lard와 3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의 향기패턴은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과 구별되었으나 40 MPa 이상의 압력에서 추출한 분획들은 서로 유사한 향기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0 MPa 이상 압력 추출 lard SC-$CO_2$ 분획은 다른 flavor전구체와 반응시켰을 때 다른 전구체들과의 상호반응을 통해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MRP based 육류향미제의 전체적 기호도는 $40^{\circ}C$, 5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을 첨가한 MRP based meat flavor과 $40^{\circ}C$, 60 MPa에서 추출한 lard SC-$CO_2$ 분획첨가 MRP based meat flavor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육류 향 증강 MRP based meat flavor의 전구체로 lard를 초임계 추출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40^{\circ}C$에서 압력을 50 및 60 MPa로 이 조건에서 추출시 높은 경제성과 관능적 우수성이 확보된 육류 향미제 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ard fraction extrac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on the flavor enhancemen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 (MRP) based meat flavors. MRP based meat flavors were prepared with low glutamic acid (Glu) hydrolyzed wheat gluten (NaCl concentration: 7.61%(w/v)), ribose, cysteine, garlic juice powder, protease-digested Lentinus edodes powder and lard fractions extracted with SC-$CO_2$. Lard was extracted with SC-$CO_2$ at each of three temperatures (40, 60, and $80^{\circ}C$) and at each of four pressures (30, 40, 50, and 60 MPa). Obtained lard SC-$CO_2$ fractions and MRP based meat flavors with those fractions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yield, aroma pattern by SMart nose system, and sensorial properties. The extraction yield had no difference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40^{\circ}C$ to $60^{\circ}C$ and even decreased at $80^{\circ}C$. However, increase in pressure level at $40^{\circ}C$ drastically increased the extraction yield. The aroma patterns of raw lard and lard SC-$CO_2$ fractions with 30 MPa wer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from those of SC-$CO_2$ lard fractions extracted with higher pressure by SMart nose system. Aroma pattern of MRP based meat flavors with higher pressure extracted lard fraction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pattern analysis by the SMart nose system. The MRP based meat flavor with lard SC-$CO_2$ fractions at 50 and 60 MPa were described as less sulfuric, less pungent, and more balanced in roasted meat and sweet attributes from sensory evaluation.

      • KCI등재

        한우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통한 신선도와 맛의 품질 인자 설정

        문지혜,성미선,김종훈,김병삼,김윤숙,Moon, Ji-Hye,Sung, Misun,Kim, Jong-Hun,Kim, Byeong Sam,Kim, Yo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factors and freshness or palatability of Hanwoo beef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 The drip loss, cooking lo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total viable counts (TVC)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raw and cooked)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36 d at 0 and $10^{\circ}C$. The drip loss, cooking loss, VBN, and TBAR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freshness was shown to be highly significant at both $10^{\circ}C$ than $0^{\circ}C$. Especially, correlation of between the cooking loss and freshness of Hanwoo beef showed high significance (p<0.01)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actors such as VBN, cooking loss, and TVC and palatability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temperature. As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Y_1=10.768-0.706X_1$ (Drip loss) with $R^2=0.87$ was obtained for freshness evaluation of Hanwoo beef. Also, multiple regression with drip loss ($X_1$) and TVC ($X_5$) increas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sensorial palatability ($Y_2$) to $R^2=0.95$ with a regression equation of $Y_2=9.702-0.438X_1(Drip\;loss)-0.232X_5(TVC)$. 본 연구에서는 $1^+$ 등급 한우육의 신선도와 맛에 관련된 품질인자를 도출해내기 위하여 $0^{\circ}C$와 $10^{\circ}C$에 저장하여 저장기간별로 drip loss, cooking loss, VBN, TBARS, 총균수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Drip loss와 cooking loss, VBN 및 TBARS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관능적 신선도와의 상관계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Cooking loss의 경우 신선도에 있어서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상관계수가 크게 증가하여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총균수는 $0^{\circ}C$보다 $10^{\circ}C$에서 상관계수가 감소하였다. 반면 맛에 대한 기호도에 대해서는 drip loss와 TBARS값이 $10^{\circ}C$에서 상관성이 높았으며 VBN 함량과 cooking loss 및 총균수는 $10^{\circ}C$에서 상관성이 낮아 온도 증가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품질 측정치를 종합하여 쇠고기의 신선도와 맛에 대한 5가지의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 중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쇠고기의 신선도에 대해서는 drip loss의 하나의 인자만으로도 $R^2=0.87$의 매우 높은 선형을 가지는 $Y_1=10.768-0.706X_1$(drip loss)의 선형 회귀식이 산출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87%를 설명하였다. 반면, 저장기간에 따른 쇠고기 맛의 예측모델은 $R^2=0.95$의 매우 높은 선형을 가지는 $Y_2=9.702-0.438X_1(drip\;loss)-0.232X_5(TVC)$의 선형 회귀식이 산출되었으며 drip loss와 총균수의 두 인자로 이들 품질인자를 통한 쇠고기의 기호도의 계량적 해석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Eigenface를 이용한 얼굴인식에서의 영상등록 오차 보정

        문지혜,이병욱,Moon Ji-Hye,Lee Byung-Uk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5C

        얼굴 인식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의 영상과 위치와 크기를 일치시키는 등록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등록 과정에서 발생하는 얼굴영상의 이동, 회전, 혹은 크기의 차이를 eigenspace에서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얼굴 영상의 수직, 수평 이동, 회전, 크기 변환 등의 등록오차를 선형보간 행렬로 근사하였다. 각 변환행렬을 사용하여 등록오차에 따른 미분계수를 eigenspace에서 구하면 subpixel 단위의 등록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공간 영역에서 오차를 보정하는 것보다 계산량이 훨씬 더 적다. 오차 보정 후 얼굴 인식률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The first step of face recognition is to align an input face picture with database images. We propose a new algorithm of removing registration error in eigenspace. Our algorithm can correct for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e changes. Linear matrix modeling of registration error enables us to compensate for subpixel errors in eigenspace. After calculating derivative of a weighting vector in eigenspace we can obtain the amount of translation or rotation without time consuming search. We verify that the correction enhances the recognition rate dramatically.

      • KCI등재

        베란다 재배에 적합한 채소작물 및 관비방법 선발

        문지혜(Ji-Hye Moon),이상규(Sang-Gyu Lee),장윤아(Yoon-Ah Jang),이우문(Woo-Moon Lee),이지원(Ji-Weon Lee),김승유(Seung-Yu Kim),박현준(Hyun-J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2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실내 채소재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이용하기에 좋은 관비방법 및 재배가 적합한 채소작목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정용 채소 관비방법을 선발하기 위하여 담액수경, 심지관수(양액 또는 완효성비료), 두상관수 등 4가지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심지관수법에서 상추, 겨자채, 적근대 모두 관행대비 생육과 수량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심지관수 방법은 양수분관리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주)애그로액티브와 공동 개발한 완효성비료를 이용하면 별도의 양분관리 없이 채소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물이 바닥으로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가을의 베란다 환경을 조사한 결과 온ㆍ습도 환경은 채소 재배에 적절하였으나 광환경은 최고 광량이 남향 베란다에서는 온실의 48%, 남동향 베란다에서는 35%에 불과하여 생육에 가장 큰 제한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란다의 약광 조건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작물을 선발하고자 0%, 50%, 70%, 90% 차광조건에서 로메인상추, 청치마상추, 생채, 엔다이브, 청경채, 겨자채, 쑥갓, 적근대, 부추 등 9종의 엽채류를 재배하였다. 부추가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가장 생육이 우수하였고 엔다이브도 약광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상추, 쑥갓, 청경채가 뒤를 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베란다의 방향이나 위치,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광환경에 적합한 채소작물 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leaf vegetable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apartment verandas and simple and easy fertigation method for home gardening. In order to develop the convenient fertigation method, hydroponics, wick irrigation, and overhead irrigation methods were compared. For the wick irrigation, two types of nutrient sources were used; one was slow release fertilizers mixed with medium and the other one was nutrient solution filled in container located under pots. The growth of leafy lettuce, leaf mustard, and leaf beet was better in both of the wick irrigation methods rather than in overhead irrigation and hydroponics. The wick irrigation method is very easy, so that it is expected to bring a good result from the cultivating and managing point of view, if it brings with commercialized system along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irradiance level in apartment verandas in autumn, the highest irradiance level during a day was just 48% and 35% in verandas facing south and facing southeast, respectively, comparing to that in greenhouse. The light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as a limiting factor for vegetable growing in verandas. Therefore, to select the vegetables showing good growth under low irradiance environment, nine leaf vegetables such as romaine lettuce, leafy lettuce, head lettuce, endive, pak-choi, leaf mustard, garland chrysanthemum, leaf beet, and Chinese chive were grown under 0%, 50%, 70%, 90% shading. Among them, Chinese chive showed the best growth under low irradiance levels. Endive showed linear growth reduction according to shading degree, however, even under 90% shading condition, it showed good growth. And then leafy lettuce, garland chrysanthemum, and pak-choi followed.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of help in selecting vegetables for veranda gardening with different light levels.

      • KCI등재

        베란다 재배에 적합한 채소작품 및 관비방법 선발

        문지혜(Ji-Hye Moon),이상규(Sang-Gyu Lee),장윤아(Yoon-Ah Jang),이우문(Woo-Moon Lee),이지원(Ji-Weon Lee),김승유(Seung-Yu Kim),박현준(Hyun-J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4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실내 채소재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이용하기에 좋은 관비방법 및 재배가 적합한 채소작목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정용 채소 관비방법을 선발하기 위하여 담액수경, 심지관수(양액 또는 완효성비료), 두상관수 등 4가지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심지관수법에서 상추, 겨자채, 적근대 모두 관행대비 생육과 수량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심지관수 방법은 양수분관리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주)애그로액티브와 공동 개발한 완효성비료를 이용하면 별도의 양분관리 없이 채소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물이 바닥으로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가을의 베란다 환경을 조사한 결과 온ㆍ습도 환경은 채소 재배에 적절하였으나 광환경은 최고 광량이 남향베란다에서는 온실의 48%, 남동향 베란다에서는 35%에 불과하여 생육에 가장 큰 제한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란다의 약광 조건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작물을 선발하고자 0%, 50%, 70%, 90% 차광조건에서 로메인상추, 청치마상추, 생채, 엔다이브, 청경채, 겨자채, 쑥갓, 적근대, 부추 등 9종의 엽채류를 재배하였다. 부추가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가장 생육이 우수하였고 엔다이브도 약광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상추, 쑥갓, 청경채가 뒤를 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베란다의 방향이나 위치,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광환경에 적합한 채소작물 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leaf vegetable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apartment verandas and simple and easy fertigation method for home gardening. In order to develop the convenient fertigation method, hydroponics, wick irrigation, and overhead irrigation methods were compared. For the wick irrigation, two types of nutrient sources were used; one was slow release fertilizers mixed with medium and the other one was nutrient solution filled in container located under pots. The growth of leafy lettuce, leaf mustard, and leaf beet was better in both of the wick irrigation methods rather than in overhead irrigation and hydroponics. The wick irrigation method is very easy, so that it is expected to bring a good result from the cultivating and managing point of view, if it brings with commercialized system along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irradiance level in apartment verandas in autumn, the highest irradiance level during a day was just 48% and 35% in verandas facing south and facing southeast, respectively, comparing to that in greenhouse. The light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as a limiting factor for vegetable growing in verandas. Therefore, to select the vegetables showing good growth under low irradiance environment, nine leaf vegetables such as romaine lettuce, leafy lettuce, head lettuce, endive, pak-choi, leaf mustard, garland chrysanthemum, leaf beet, and Chinese chive were grown under 0%, 50%, 70%, 90% shading. Among them, Chinese chive showed the best growth under low irradiance levels. Endive showed linear growth reduction according to shading degree, however, even under 90% shading condition, it showed good growth. And then leafy lettuce, garland chrysanthemum, and pak-choi followed.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of help in selecting vegetables for veranda gardening with different light levels.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Ribose와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의 마이얄 반응기질 조건 최적화

        문지혜(Ji-Hye Moon),최희돈(Hee-don Choi),최인욱(In-wook Choi),김윤숙(Yoon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적용하여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의 염 농도와 기질인 ribose와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의 농도가 MRP의 갈변도와 항산화 활성,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질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수 회귀식의 결정 계수(R2)는 각각 0.975, 0.960, 0.854로 나타났으며 반응모형에서 갈변도와 항산화 활성은 모두 ribose와 소맥 글루텐산 가수분해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두 기질농도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갈변도는 소맥 글루텐산 가수분해물의 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염 농도의 영향을 받지않았다. 관능적 기호도로 평가된 고기향미에 대한 향 특성은 소맥 글루텐의 염 농도가 낮으며 ribose의 농도에 비해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의 농도가 높을 때 발현되었다. 본 실험에서 ribose와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MRP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관능적으로 고기향미에 근접한 향 특성을 나타내는 최적조건으로서, 소맥 글루텐산 가수분해물의 염 농도가 3%, ribose 농도 6.2%와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의 농도 13.27%로 나타났다. 이때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700(DF)과 관능점수 8.42점을 만족시킬 수 있는 MRP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ribose와 소맥 글루텐 산 가수분해물로 제조된 MRP의 저염화에 따른 갈변도와 항산화 효과 및 관능적 기호도에 대하여 두 기질의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화함으로써 이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optimize substrate conditions of ribose and hydrolyzed wheat gluten solution for Maillard react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NaCl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X₁), concentration of ribose (X₂) and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X₃), while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were browning index (absorbance 420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F) and sensory preference (score). Optimum substrate conditions at 140℃, 30 min reaction were 3% NaCl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6.2% concentration of ribose and 13.27%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²) were 0.975, 0.960 and 0.854, the model fit was very significant (p<0.00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ensory preferences were predicted as 700 (DF) and 8.42 (score), respectively. The model solution increased more brownin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increasing ribose and hydrolyzed wheat gluten concentration. Especially hydrolyzed wheat gluten concentr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ile NaCl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hardly affected the responses. Sensory preference was increased with rising wheat gluten concentration and decreasing NaCl concentration of hydrolyzed wheat glu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