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보편적인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흡인-침습 척도, 후두계곡 잔여물, 조롱박오목 잔여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후두계곡 잔여물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두 내 잔여물 감소와 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is study participated in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ll subjects allocated that randomized each eight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of both group received to conventional dysphagia therapy during 30 min/day,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IOPI(: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VR(: Vellecula Residue), PSR(: Pyriform Sinuses Residue), MIP(: Maximum Isometric Pressures). In results of study.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PSR and MIP(p<.05).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reduction of residue in pharynx and improvements of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Hoon Moon),원영식(Young-Sik Won)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우세손이 오른손인 뇌졸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한 평가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위하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우측과좌측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 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를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기능은 나이와 손상측, 손상위치에 따른 유의한차이가 있었다(p<.05). 우측과 좌측의 손 기능은 손상측에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균형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 일상생활의 총점은나이와 발병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상관분석에서 일상생활의 총점은 인지기능, 우측 손 기능, 균형과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일상생활의 하위 항목과 인지기능은 일상생활의 의자차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우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의 하위항목인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좌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에서 이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5). 균형은 일상생활의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환경에서 재활치료를 받고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included 50 right-handed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he measured evaluations use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The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for right- and left-hand functions. The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balance the subjects, and the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was used for ADL.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ge, lesion side, and lesion lo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according to the lesion sid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5). Bal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total ADL score according to age and onset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ADL,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All subscales of ADL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for the ADL wheelchair (p<.05).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feeding, toilet, dressing, bowel control, and bladder control in the ADL subscales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lef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ransfer of ADL (p<.05). Balance and all subscales of AD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reatment goals and plans for stroke patients undergoing clinical rehabilitation.

      • KCI등재

        스마트 폰 SNS 설문조사 통해 알아본 여성의 성 만족도에 관한 헬스케어 연구

        문종훈(Jong Hoon Moon),허성진(Sung Jin Heo),나창호(Chang Ho Na),김성현,강소라(So La Kang),김희진(Hee Ji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exual function and sexual pre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men, sexual experience, preference penile type, and sexual dysfunction. 72 adult women responded to the survey. 54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respondents who did have incomplete response and no sexual experience.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22. In results, Marri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course frequency and sexual function than unmarried(p<.05). In economic status, high or midd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function than the low(p<.05). In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high was higher in intercourse frequency than the low, and penile length and type were important(p<.05). preference of glans> pen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than preference of glans ≑ penis, and importance of penile girth and size(p<.05). In sexual function, normal function was lower in intercourse frequency than dysfunction, and penile length was not considered significant(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sexual function and sexual preference according to various caus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function rehabilitation of women. 본 연구는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 성경험, 선호하는 음경 유형, 성기능 장애 유무에 따른 성기능 및 성 선호도에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72명의 성인 여성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불완전한 응답 및 성경험이 없었던 사람을 제외한 54건이 분석되었다. 수집한 모든 자료는 SPSS 22를 이용하여 독립 t 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은 미혼보다 성교빈도와 성기능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경제수준이 높은 자 또는 보통인 자는 낮은 자보다 주관적 성경험, 성기능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주관적 성경험이 높은 자는 낮은 자보다 성교 빈도에서 더 높았으며, 음경의 길이 및 특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5). 귀두를 더 선호하는 자는 음경과 귀두의 굵기가 비슷한 유형을 선호하는 자보다 주관적 성경험이 더 많았으며, 음경의 굵기와 크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5). 성기능 장애가 있는 자는 없는 자보다 성교 빈도에서 더 낮았으며, 음경의 길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성기능 및 성 선호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여성의 성기능 재활을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 Hoon Moon),김계호(Kye Ho Kim),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 결과측정은 기능적 삼키장애 척도(FDS), 미국언어청각협회 삼킴척도(ASHA NOMS),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평가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손상위치에 따른 삼킴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병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삼킴기능은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지기능은 식이수준, 일상생활과 유의한 상관 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삼킴재활 치료는 환자들의 특성과 인지기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comparis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Subjects of this study participated to 56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Outcome measures is evaluated by Functional Dysphagia Scale(FDS), and Ameri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ASHA NOMS),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an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Collected all data analyezed to independent t test for four assessm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ur assessments. Results of study,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lesion loc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onset dur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Age of subjects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level, daily liv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Based on current results, we suggest that swallowing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performed with considera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patients.

      • KCI등재

        건강한 성인의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에서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 차이

        문종훈(Jong-Hoon Moon),원영식(Young-Sik W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노력삼킴이 건강한 성인의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하였다. 젊고 건강한 참가자(평균나이 25.27±2.19세) 20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을 3회씩 총 6회 삼켰다. 참가자들은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을 각각 무작위 순서로 실시하였다.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평균값과 최대값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정상 삼킴과 노력삼킴에 대한 근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노력삼킴은 목뿔위근의 평균값과 최대값, 그리고 입둘레근의 평균값에서 정상삼킴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p<.05). 깨물근에서 노력삼킴과 정상삼킴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력삼킴이 삼킴장애 환자의 치료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dentified to effects the effortful swallow on suprahyoid, masseter, orbicularis oris muscle activity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participants recruited our study (mean age 25.27±2.19). All participants are swallowed three times a total of six times swallowing saliva for each method. participants was performed two swallowing, randomized order of each swallowing performed. Activity of suprahyoid, masseter, orbicularis oris muscle was analyzed utiliz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 - test. Effortful swallow was significantly greater activity in suprahyoid, orbicularis oris muscle than normal swallow(p<.05). In masseter muscle activity for effortful swallow and normal swallow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p>.05). We suggest that effortful swallow may be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uscles related to swallowing.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문종훈(Jong Hoon Moon),김성현(Sung Hyun Kim),나창호(Chang Ho Na),홍덕기(Deok Gi Hong),허성진(Sung Jin He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동원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보통보행과 스마트폰 보행을 각각 2회씩 수행하였다. 보통보행은 대상자가 선택한 속도로 걸었으며, 스마트폰 보행은 동영상 시청을 하면서 걸었다. 보행 동안 GAITRite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패턴과 관련된 시, 공간적 변수를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보행에 대한 시, 공간적 변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시간적 변수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보행속도, 분속수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한쪽 다리 지지 시간, 양쪽 다리 지지 시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공간적 변수 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한 발짝 길이, 한걸음 길이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보행 시 보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보행 동안 스마트폰 사용이 올바른 보행패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n speed, and the smart phone gait walked while watching the video. GAITRite system was used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related to the gait pattern during walking.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 comparison of tempor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ait speed and cadence than in normal gait(p<.05), a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p<.05). In comparison of spati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an in normal gait(p<.05) and significantly longer in step width(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use can negatively affect the correct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 KCI등재

        시각장애 노인의 장애등급에 따른 일상생활 연구

        문종훈(Moon, Jong-Hoon),박인혜(Bak, In-Hy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수준과 일상생활의 사이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총 6,549명 중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 344명이 현재 분석에 포함되었다. 일반적 특성은 나이, 성별, 가구소득, 최종 학력, 장애등급, 시력인지 여부, 점자해독 여부, 장애발생시기였고 일상생활 능력은 기본적 일상생활 12개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 8개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통계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여성이며, 나이가 많았고 기본적 일상생활에서는 식사하기, 이동, 수단적 일상생활에서는 식사준비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였다(R2=.507, p<.01). 결론 : 시각장애가 있는 노인의 장애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특정 일상생활 영역의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leve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elderl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Methods : Present study used raw data of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Among the total of 6,549 subjects, 344 elderl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age, gender, family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disability grade, awareness of vision, braille understanding, time point of presence of disability. The ADL was evaluated as 12 areas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B-ADL) and 10 area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disability grade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was female, and the age was increased. In the B-ADL and I-ADL required help for feeding, transfer and preparing meals(R2=.507, p<.01). Conclusion : As the disability grade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increases,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improvements are needed in specific ADL areas.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문종훈(Jong-Hoon Moon),박주영(Joo-Young Park),김영실(Young-Sil Kim),박인혜(In-Hye Bak)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8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그리고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6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환자는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보통의 케어를 받았다. 모든 환자는 8주 동안, 주 3회, 하루 30분의 중재를 받았다. 측정은 손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울척도 검사,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중재 후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은 의지 설문지를 제외한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척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척도검사와 의지 설문지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의 개선에 긍정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on hand function, daily living,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level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Methods: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8) or control group (n=8).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urposeful activities based on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normal care. All patients received the care 3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hand function, daily living and de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hand function was measured using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the daily living through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depression levels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volition levels through the Volitional Questionnaire (VQ).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JTHFT, BDI and VQ.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the BDI and VQ after interv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for rehabilita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Present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All subjects assigned that randomized each sev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ubjects of two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scale for KOMS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AMR(: Alternating Motion Rate), SMR(: Sequential Motion Rate). In results,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oral cavity function, /pə/ and /tə/ of AMR(p<.05). We suggested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improvements of oral cavity and articula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