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숙 감귤 과피 초임계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자궁암세포 성장억제효능

        문정용(Moon, Jeong Yong),송연우(Song, YeonWoo),현호봉(Hyun, Ho Bong),김소미(KimCho, So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재래감귤인 팔삭과 이예감 초임계 추출물에 대한 인간 자궁암 세포인 HeLa 세포에서의 성장억제 효능을 탐색하고, 각 추출물에서의 유효 활성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다. HeLa 세포에서의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효능을 탐색하기 위해 MTT assay와 Hoechst 33342 염색을 수행하였으며, 성분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 (GC/MS)를 이용하였다. 두 종류의 미성숙 감귤 과육,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 대한 HeLa 세포의 성장 억제 효능을 비교해 본 결과, 과피 추출물은 팔삭과 이예감 모두 비슷한 세포사멸 효능을 나타냈다. 과피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농도 의존 적으로 성장률이 억제되었으며, 처리 농도 400 μg/mL에서 팔삭과 이예감 추출물이 각각 87.16%와 92.95%의 세포사멸 효능 을 나타냈으나, 과육 추출물의 세포 성장 억제 효능은 처리 농도 400 μg/mL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Hoechst 33342 염색을 통해 apoptotic body 형성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100, 200 μg/mL 과육 초임계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apoptpotic body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동일한 농도의 과피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서는 apoptotic body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GC/MS 분석을 통해 미성숙 팔삭 과육과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서 각각 27개와 31개의 화합물을 검출하였으며, 미성숙 이예감 과육과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서는 각각 27개와 29개의 화합물을 검출하였다. 팔삭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는 1,1,4,4-Tetramethyl- 2-tetralone(20.86%), alloimperatorin(8.15%), limonene (11.23%), auraptene(7.29%)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예감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는 limonene(22.19%), linalool(11.23%), γ-sitosterol(9.12%) 등이 주로 함유되 어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upercritical extracts from phalsak(Citrus hassaku Hort ex Tanaka) and yeagam(Citrus iyo Hort. ex Tanaka) against human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xtracts.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supercritical extracts were demonstrated using th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and the composi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The peel extracts of both species exhibited similar antiproliferative effect.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flesh extracts was not detected up to 400 μg/mL, whereas peel extracts of phalsak and yeagam reduced cell viability with 87.16% and 92.95% at 400 μg/mL, respectively. There was a dramatic increase of the apoptotic body formation in the cell treated with peel extracts while no apoptotic body formation detected in the cell treated with flesh extracts at 100, 200 μg/mL. By GC-MS analysis, 27 and 31 kinds of compounds identified in flesh and peel of phalsak, while 27 and 29 kinds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lesh and peel of yeagam, respectively. 1,1,4,4-Tetramethyl- 2-tetralone(20.86%), alloimperatorin(8.15%), limonene(11.23%), and auraptene(7.29%) were major in peel of phalsak, whereas limonene(22.19%), linalool(11.23%), and γ -sitosterol(9.12%) were major in peel of yeagam. som

      • KCI등재

        녹차와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한 두유의 항산화 활성

        류지연,송연우,문정용,전능재,김소미,Ryu, Ji-yeon,Song, YeonWoo,Moon, Jeong Yong,Jun, Neung-Jae,Kim Cho, Somi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6

        제주산 녹차, 로즈마리, 레몬 잎, 조릿대 잎을 물과 에탄올을 이용해 다양한 조건에서 추출물을 제조하여 각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차와 로즈마리 추출물이 레몬과 조릿대 잎 추출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녹차와 로즈마리 추출물들을 두유에 첨가한 뒤, 혼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녹차 증류수 가압 가열 추출물과 상온 정치 추출물 10% 첨가한 두유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녹차 증류수 가압 가열 추출물과 상온 정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85.1{\pm}2.3%$, $84.4{\pm}2.0%$을,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3.4{\pm}2.8%$, $81.3{\pm}4.8%$로 확인되었다. 한편, 로즈마리 증류수 가압 가열 추출물 10% 첨가한 두유에서 무첨가 두유에 비해 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확인되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무첨가 두유와 유사했다. 따라서 녹차 증류수 가압 가열추출물과 상온 정치 추출물, 그리고 로즈마리 증류수 가압 가열 추출물을 두유에 첨가 시 항산화 활성이 향상된 고부가가치 두유제품 개발 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rosemary, lemon and bamboo leaves extracts using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80% ethanol sonication extraction, distilled water autoclave extraction, distilled water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s a result, green tea and rosemary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of lemon and bamboo leaves. These green tea and rosemary extracts were subsequently added to soymilk and their mixtures were examin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Soymilk added with 10% green tea distilled water autoclave extracts and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 DPPH, $85.09{\pm}2.26%$, $84.38{\pm}1.97%$,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73.43{\pm}2.78%$, $81.34{\pm}4.78%$,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soymilk added with 10% rosemary distilled water autoclave extracts showed remarkab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le their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similar to that of non-added soymilk.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green tea distilled water autoclave extracts,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extracts and rosemary distilled water autoclave extracts to soymilk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dded value soymilk products with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

        제주산 로즈마리와 라벤더(Rosmarinus officinalis L., Lavandula angustifolia Mill.)로부터 추출한 essential oil과 hydrosol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전덕현 ( Deok Hyeon Jeon ),문정용 ( Jeong Yong Moon ),현호봉 ( Ho Bong Hyun ),김소미 ( Somi Kim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3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6 No.3

        제주도에서 생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 두 종의 허브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 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에는 α-pinene (40.96%)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라벤더 에센셜 오일에는 camphor (34.44%)가 가장 높았다. 로즈마리 하이드로졸에는 verbenone이 (45.31%)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라벤더 하이드로졸에서는 camphor (67.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로즈마리와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의 항산화 효능을 검증해 본 결과, 두 종류의 에센셜 오일 모두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e2+ ion 킬레이팅 활성을 나타냈으나, alkyl 소거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소거능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반면, Fe2+ ion 킬레이팅 실험에서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더 우수했다. 로즈마리, 라벤더하이드로졸 모두 alkyl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나, 라벤더 하이드로졸만이 Fe2+ ion 소거능을 나타냈다. 특히 H2O2에 의해 유도된 Fibroblast와 HaCaT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하이드로 졸이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세포사멸 억제능을 나타냈다.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EO)s and hydrosol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Mill.)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identified major constituents were α- pinene (40.96%), camphor (34.44%), verbenone (45.31%), and camphor (67.04%) in rosemary EO, lavender EO, rosemary hydrosol, and lavender hydrosol,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O and hydrosol extracted from rosemary and lavender were evaluated. Both EO showed di(phenyl)-(2,4,6-trinitrophenyl) iminoazanium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phonic aci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s well as Fe2+ ion chelating activity but no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osemary EO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lavender, whereas lavender EO showed higher Fe2+ ion chelating activity. Both rosemary and lavender hydrosols showe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only lavender hydrosol showed an activity on Fe2+ chelating assay. Both rosemary and lavender hydrosols also protected the dermal fibroblast and the HaCaT keratinocytes against H2O2-induced cytotoxicity.

      • KCI등재
      • 국내산 녹차 품종과 일본산 녹차 품종의 항산화 효능 비교

        고정순(Ko, Jeong-Soon),김하나(Kim, Ha-Na),문정용(Moon, Jeong-Yong),홍민희(Hong, Min-Hee),이진호(Lee, Jin-Ho),이민석(Lee, Min-Seuk),정명근(Choung, Myoung-Gun),이동선(Lee, Dong-Sun),김소미(Kim, So-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국내 육성 품종 JW07-190, JW07-192과 일본산 도입 품종 Meiryoku (MR), Ryoufuu (RF), Yamanoibuki (YI) 대해서 80% 메탄올 추출물을 공시 재료로 ESR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국내 육성 품종인 JW07-192에서 DPPH radical, alkyl radical, hydroxyl radical에 대해 비교적높은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모든 녹차 품종에서 강력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국내 육성 품종인 JW07-192가 일본 도입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더 좋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국내 육성 계통인 JW07-192가 431.57±28.45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도입 품종인 YI가 313.44±6.3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