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2009년 광주 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의 분변에서 분리한 살모넬라 균주에서의 항생제 내성률 조사

        김태순,김민지,김선희,서진종,기혜영,정재근,김은선,문용운,하동룡,김민경,임숙경,남향미,Kim, Tae Sun,Kim, Min Ji,Kim, Sun Hee,Seo, Jin-Jong,Kee, Hye Young,Chung, Jae Keun,Kim, Eun Sun,Moon, Yong Woon,Ha, Dong Ryong,Kim, Min Kyeong,Lim, Suk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2

        지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광주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총 596개의 살모넬라균주에 대하여 총 16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내성빈도가 가장 높았던 약제는 ampicillin (43%),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그리고 chloramphenicol (26.2%) 순으로 나타났다. 혈청형 간에 항생제 내성률에 차이가 있었는데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이 각각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인 약제는 ampicillin (51.1%)과 tetracycline (77.9%)이었다. 총 89가지 내성패턴이 관찰되었으며, 26% (155/596)의 살모넬라 분리주는 검사한 16가지 약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 21% (127/596) 및 15% (87/596)의 분리주는 각각 한 개 및 두 개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 그 외의 살모넬라 분리주(227/596, 38%)는 세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혈청형은 S. Paratyphi B (76.5%), S. Typhimurium (58.2%), 그리고 S. Enteritidis (40.2%)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다제내성패턴은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이었으며 이러한 패턴을 보였던 다제내성균의 대부분(35/36, 97.2%)이 S. Enteritidis이었다. Antibiotic susceptibility was examined for 596 Salmonella isolates from patients with acute gastroenteritis during 2000-2009 in Gwangju area in South Korea. Of 16 antibiotics tested, ampicillin resistance (43%)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resistance among the 596 Salmonella sp. isolates, followed by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and chloramphenicol (26.2%). Antibiotic resistance varied among serotypes: The highest resistance of S.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was to ampicillin (51.1%) and tetracycline (77.9%), respectively. A total of 89 resistance patterns were observed, and 26% (155/596) of Salmonella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all antibiotics tested in this study. About 21% (127/596) and 15% (87/596)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one and two antibiotics, respectively. The rest of Salmonella isolates (227/596, 38%) were resistant to three or more antibiotic agents. The highest multi-drug resistance (MDR) was observed in serotype S. Paratyphi B (76.5%), followed by S. Typhimurium (58.2%), and S. Enteritidis (40.2%).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 of MDR isolates was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 most of which (35/36, 97.2%) were S. Enteritidis.

      • SCOPUSKCI등재

        작두콩 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김종필(Jong-Pil Kim),양용식(Yong-Shik),김진희(Jin-Hee Kim),이향희(Hyang-Hee Lee),김은선(Eun-Sun Kim),문용운(Yong-Woon Moon),김진영(Jin-Young Kim),정재근(Jae-Keun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에서 추출 용매의 선택은 작두콩과 대두, 서리태의 추출 수율과 실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두콩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성분 중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실험을 하였으며, 이 중 조지방에서 서리태, 대두와는 다른 작두콩만의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작두콩의 조지방 함량은 1.2%로 서리태와 대두의 조지방 함량 16.1, 16.5%와 비교해 볼 때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낮은 조지방 함량으로 인해 비극성 유기용매 헥산이나 에틸아세 테이트 등에서 추출 수율이 서리태나 대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은 함량과 구성비율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Histidine의 구성비율이 서리태(2.9%)나 대두(3.0%)와 비교해 볼때 9.2%로 상대적으로 높은 구성비율을 나타냈다. 콩에서 대표적인 항산화활성 물질로 알려진 이소플라본은 작두콩에서 검출 되지 않았다. 작두콩과 대두, 서리태의 비타민 실험결과는 모두 비타민 C의 함량이 비타민 A의 함량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무기질 함량 실험에서는 작두콩과 대두, 서리태에서 10가지 무기질 중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대두 1,165.7 mg/100 g, 서리태 1,298.6 mg/100 g, 작두콩 1,152.0mg/100 g으로 서리태 보다는 적지만 대두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대두 71.8 mg/100 g, 서리태 97.5mg/100 g보다 작두콩에서 유의적으로 높게(493.2 mg/100 g)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를 토대로 SC<SUP>50</SUP> 값을 구한 결과 α-tocopherol(8.3 μg/mL)과 대등한 13.1 μg/mL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같은 콩과의 식물이지만 대두나 서리태와는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높은 항산화활성을 갖는 작두콩의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고, 항산화활성 물질의 분리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word bean (SWB) and compared it to soybean (SB) and black soybean (seoritae, BSB). The value of vitamin C, vitamin A, crude fat, and crude protein in SWB was 25.5, 0.37 mg/kg, 1.2, and 25.6%, respectively. The crude fat content (1.2%) in SWB was very 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f SB (16.5%) and BSB (16.1%). In 16 free amino acids investigated, the histidine content (9.2%) was high in SWB, followed by SB (3.0%) and BSB (2.9%). Total flavonoid content of SWB (493.2 mg/100 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B (71.8 mg/100 g) and BSB (97.5 mg/100 g).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WB (1,152.0 mg/100 g)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B (1,165.7 mg/100 g) but lower than that of BSB (1,298.6 mg/100 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SUP>50</SUP>, 50% scavenging concentration) of SWB was 13.1 μg/mL, whereas that of positive control(α-tocopherol) was 8.3 μg/mL.

      • SCOPUSKCI등재

        홍삼음료의 함량 및 안전성 실태조사

        김종필(Jong-Pil Kim),김진희(Jin-Hee Kim),강경리(Gyung-Lee Gang),양용식(Yong-Shik Yang),홍삼재(Sam-Jai Hong),김은선(Eun-Sun Kim),문용운(Yong-Woon Moon),이정치(Jeong-Chi Lee),송현제(Hyeon-Je Song),정재근(Jae-Keun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대장균군은 유통형, 맞춤형 및 건강기능형 홍삼음료 모두에서 음성이었다. 일반세균은 유통형 홍삼음료 및 건강기능형 홍삼음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맞춤형 홍삼음료에서는 58건 중 13건(22.4%)이 검출되었다. 총 100건의 제품 중 5건의 제품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다. 함량은 19.2-543.0 mg/kg이며 이 중 유통형 홍삼음료에서 검출된 1건의 제품(19.2 mg/kg)과 건강기능형 홍삼음료 1건(31.4 mg/kg)의 함량은 원료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통형 홍삼음료의 납 평균 함량은 62.3 μg/kg, 맞춤형 홍삼음료는 74.6 μg/kg, 건강기능형 홍삼음료는 28.8 μg/kg으로 나타났다.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유통형 1.15 μg/kg, 맞춤형 1.62 μg/kg, 건강기능형 홍삼음료는 4.18 μg/kg으로 조사되었다. 수은의 평균 함량은 0.10-0.18 μg/kg으로 조사되었다. 홍삼 건강기능식품의 지표성분인 Rg1과 Rb1함량은 유통형 및 맞춤형 홍삼음료가 0.1-23.4 mg/90 mL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하루에 3회 섭취한다고 가정하고 건강기능식품의 일일 섭취량 3-80 mg/day와 비교해보면, 이번에 조사된 37건의 유통형 홍삼음료 중에서 22건(59%), 맞춤형 홍삼음료 58건에서는 26건(45%)이 건강기능식품에 해당하는 지표성분(Rg1과 Rb1)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삼음료들 간에 서로 홍삼성분의 함량차이가 크고 건강기능 식품 섭취기준(3-80 mg/day) 양에 미치지 못한 47건 중 1회 분량 90 mL 기준 홍삼성분이 0.2 mg 이하로 함유되어 있는 제품도 20 건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safety of red ginseng products in Gwangju, in 2010. Among 100samples, 37 were beverages, 5 were functional health foods on the market, and 58 were beverages from a tailor-made shop. All samples were negative for coliform bacteria. Aerobic plate counts were detected from 13 samples in the 58 tailor-made products but not detected in the other types of products. Benzoic acid was detected in 5 samples (range, 19.2-543.0 mg/kg). Among heavy metals, lead was detected, ranging from 28.8-62.3 μg/kg, cadmium, from 1.15-4.18 μg/kg, and mercury from 0.10-0.18 μg/kg. Benzopyrene was not detected in any samples. Ginsenoside Rg1 and Rb1 were detected in 0.1-23.4 mg/90 mL of beverages and 12.1-66.8 mg/90 mL of functional health fo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d ginseng products are safe in terms of microbial contaminants and hazardous chemical compounds such as heavy metals and benzopyrene.

      • KCI등재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공기질 농도와 상관성 분석

        이대행(Dae Haeng Lee),이세행(Se Haeng Lee),배석진(Seok Jin Bae),김난희(Nan Hee Kim),박강수(Kang Soo Park),김도술(Do Sool Kim),백계진(Ke Jin Paik),문용운(Yong Woon Moon)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1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 54개소와 공중이용시설 15개소에 대한 입자상물질(미세먼지, 석면), 가스상물질(CO₂, CO, NO₂, HCHO, Rn, VOCs), 총부유세균의 농도에 대해서 조사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PM10)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69.2 μg/m3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보육시설,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순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2.7 ppm으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는 의료시설에서 60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질소는 실내주차장에서 0.0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포름알데하이드는 54개 전체시설에서 기하평균 3.6 μg/m3이었으며, 미술관은 631.8 μg/m3로 가장 높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모든 시설에서 기하평균 24.14 μg/m3이었고, 이 중 톨루엔이 15.30 μg/m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스티렌 순으로 조사되었다. 총부유세균은 찜질방에서 평균 625.3 CFU/m3로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의료기관, 대규모점포 순이었다. 석면은 보육시설에서, 라돈은 미술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시설에서 미세먼지와 총부유세균은 로그함수의 결정계수(R2) 0.5332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는 보육시설과 실내주차장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휘발성물질간의 상관식은 모든시설에서 직선함수보다는 로그함수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particle materials (PM10, asbestos), gas materials (CO₂, CO, NO₂, HCHO, Rn, VOCs) and total suspended colony (TSC),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materials in indoor air quality of 54 multiple-use facilities and 15 public-use facilities of Gwangju.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PM10 was 69.2 μg/m3 at indoor parking place,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large commercial building and subway station building.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CO was 2.7 ppm at indoor parking place and that of CO₂ was 604.1 ppm at medical service facilities.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NO₂ was 0.036 ppm at indoor parking place.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HCHO was 3.6 μg/m3 in all facilities and the highest was 631.8 μg/m3 at art gallery.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VOCs (5 species) was 24.14 μg/m3 in all facilities and toluene was the highest material of 15.3 μg/m3, followed by xylene, ethylbenzene, benzene and styrene.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TSC was 625.3 CFU/m3 at jjimjilbang,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medical service facilities and large commercial building. The highest of asbestos was 0.0072 each/cc at childcare facilities and that of radon was 1.41 pCi/L at art gallery. PM10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TSC with R2 = 0.5332 by lognormal equation at childcare facilities. CO₂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CO at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arking place. Lognormal equation fitted to the VOCs data more than normal equation in all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