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과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도덕과의 변화와 과제

        문경호(Moon, Kyung-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3

        이 글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도덕과의 변화와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체제의 개편으로 도덕과 선택과목 체제 개편 및 선택과목 개설 확대가 예상된다. 그리고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별개로 지역 수준 교육과정 활성화가 예상된다. 또한 온라인 도덕 수업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도덕과 공동체에서는 융합선택 과목 개발, 지역 특화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활동 중심 온라인 수업모형 및 디지털 교재 개발에 나설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재구성·운영 역량을 강화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과 융합 수업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hanges and tasks of the moral departmen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First, th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is expected to reorganize the moral and elective subject system and expand the opening of elective subjec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gional level curriculum will be activated separately from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lso, online moral classes are expected to expand. Therefore, the moral subject community develops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develops regionally specializ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develops activity-oriented online class models and digital textbooks, Emphasis was placed on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y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and expanding convergence classes between different subjects.

      • KCI등재

        가축 분뇨 중의 항생제 내성 균주

        문경호(Kyung Ho Moon),이종철(Jong Chul Lee) 大韓藥學會 1986 약학회지 Vol.30 No.1

        Fecal samples from Kim-Hae farm animals were examined for the frequency of gram-negative enteric organisms resistant to tetracycline, streptomycin, or penicillin. The proportions of antibiotic resistant to total organisms in fecal specimens of poultry, swine and cow were as follows: 95%, 92%, 70% for tetracycline, 100%, 27%, 9% for streptomycin, 18%, 1%, 1% for penicillin, respectively. The bacteria had multiresistance to antibiotics. These strains had more than one plasmid. From the transformation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resistance to streptomycin was attributed to one of these plasmids.

      • KCI등재

        도덕적 의사결정에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과 도덕교육에의 적용 방안 연구

        문경호(Moon, Ky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moral imagination and also the use of moral imagination at the school s moral education scene, noting that moral imagination can perform a significant function in the process of moral decision making. Moral imagination is the ability to predict and influence the decisions of self and other people through empathic and imaginative reasoning in moral problems, and to find and solve alternative solutions based on these predictions. When faced with moral situations, the process of evaluating alternatives by creating moral alternatives and reviewing the expected consequences of each alternative can be improved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order to improve moral decision-making ability through moral imagination, literature and images can be used in class. Literature and images equipped with a narrative form can be effectively used as indirect experience contents of moral decision making through moral imagination, Because it can function effectively. 이 글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이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유의미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탐색하고, 학교 도덕 교육 현장에서 도덕적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덕적 상상력은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공감적이고 상상적인 추론을 통해 자신의 결정이 자신과 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결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고 평가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도덕적 사태에 직면하였을 때, 도덕적 대안을 창출하고, 각각의 대안이 초래할 수 있는 예상되는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대안을 평가하는 과정은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학생들의 도덕적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학과 영상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데,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는 문학과 영상은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도덕적 의사결정의 간접 체험 콘텐츠 혹은 도덕적 실험의 장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도덕적 성찰학습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경호(Moon, Kyung-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4

        이 글에서는 새로운 도덕교육적 시도라고 할 수 있는 도덕적 성찰학습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으로써 도덕적 성찰의 개념 및 도덕교육적 의의, 그리고 초·중·고 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 한 도덕적 성찰학습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논의를 통해,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도덕적 성찰학습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학교 수업 현장에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한 성찰의 목표와 준거, 방법을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현장 적합성을 고려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덕적 성찰학습은 학습자의 과거 경험을 단순히 회상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바탕 으로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가치, 신념, 지식, 감정 등을 통해 현재 자신의 도덕적 문제 상황을 분석·종합·통찰하여 미래의 삶을 도덕적인 관점에서 설계하도록 하는 실천지향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끊임없이 도덕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동시에 도덕적 통찰을 통해 새로운 도덕적 안목을 갖추어나가게 될 것이다. 이 글을 통해 제시한 도덕적 성찰학습의 개념, 목표, 준거, 방법은 성찰학습을 수업에 적용하 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덕 교사들에게 작은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moral reflection learning, a new trial of moral education was critically reviewed, and thereby the concept of moral reflection,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and the method of moral reflection learning that takes into account a development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arners were discussed. Through the discussion, this researcher tried to find a way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oral reflection learning, still new, and suggest the reflection goal, the standard, and the method to be applied properly to actual school classe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development level and field suitability. Moral reflection learning is beyond simple retrospection on learners' past experience, and is practice-oriented activity of analyzing, integrating and having an insight into learners' current moral problematic situations and designing their future life from the moral viewpoint, through their own value, belief, knowledge and emotion. Through the activity, learners will continue to grow morally and have a new moral perspective through moral insight. The concept, the goal, the standard, and the method of moral reflection learning,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somewhat become a guideline to ethics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applying reflection learning to class.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서의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4

        이 글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해 예상되는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과 개정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입시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설계와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체제 개편의 일환으로 도입된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습집단 편성의 다양화, 도덕·윤리 과목 개설의 다양화, 정성적 평가 방식의 확대가 예상된다. 때문에 개설 과목 다양화의 방식, 도덕과 선택과목의 이수 시간, 이수 단위, 이수 기준 결정의 문제가 쟁점화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는 한 학기 기준 이수 과목 개발, 문·이과 융합형 내용요소 확대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고교학점제로 인하여 예상되는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대응을 함으로써 도덕과 교육이 학점제 교육체제에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changes and issues of moral education that are expect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High school credit systems are expected to diversify learning groups, diversify moral subjects, and exp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subjects, time of completion of moral and elective subjects, units of completion, and determination of completion criteria will be at issue. Accordingly, the next moral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need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one semester-based courses and the expansion of content elements of literacy and science. It is expected that morality and education can be stably established in the credit system by analyzing the expected changes due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aking preemptive and positive responses.

      • KCI등재

        원위부 쇄골 골절에서 부리돌기-쇄골 간 나사와 긴장대를 이용한 고정의 유용성

        문경호 ( Kyung Ho Moon ),이동주 ( Tong Joo Lee ),권대규 ( Dae Gyu Kwon ),신병기 ( Byoung Ki Shin ),우민수 ( Min Su Woo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1

        목적: 전위된 원위부 쇄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부리돌기-쇄골 간 나사 고정과 긴장대를 이용한 고정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Neer type 제2형의 원위부 쇄골 골절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리돌기-쇄골 간 나사 고정술 및 나사 머리를 이용한 장력 대 강선 고정술을 모든 환자에게 시행하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houlder score를 측정하여 수술 후 견관절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수술 후 평균 9.5주(8-11주)에 골유합을 이루었고 국소마취하 금속제거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1년 후 정상적 견관절 운동범위를 보였다. 2명의 환자는 나사의 이완이 발생했고 1명의 환자는 나사의 파손이 발생했으나 골유합의 지연이나 감염, 재골절 등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술 후 1년 시의 UCLA shoulder score는 1명의 환자를 제외하고는 우수(excellent)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전위된 원위 쇄골 골절에 있어 부리돌기-쇄골 간 나사 고정과 긴장대를 이용한 고정술은 합병증이 적고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oracoclavicular screw fixation with tension band wiring in the treatment of displaced distal clavic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6 to December 2010, 18 patients with Neer type 2 displaced distal clavicle fracture were surgically treated. Fixation was performed, using coracoclavicular screw with tension band wiring. Radiographic and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houlder rating scale was employed for the assessment of shoulder joint function. Results: Osseous union was achieved approximately 9.5 weeks (8-11 weeks) in all patients. After the union, the screw and wire were removed under local anesthesia. All patients returned to the normal shoulder range of motion. Loosening of the screw was seen in two patients and breakage was seen in one patient. However, we could not observe the delayed union an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refracture. All but one patient showed excellent results according to the UCLA shoulder score at one year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Coracoclavicular screw fixation with tension band wiring in the treatment of displaced distal clavicle fractures is a clinically useful technique with good result and less complic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서의 도덕교육 방향과 과제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이 글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세 가지 지향점을 진로교육, 행복교육, 역량교육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도덕과의 정체성, 도덕과 공동체가 쌓아 온 노하우, 학교 현장의 물리적인 조건 등을 고려했을 때, 역량교육의 차원에서 자유학기제 도덕수업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진로교육은 주로 직업체험의 형태로 구현될 필요가 있으므로 도덕수업의 성격과 다소 괴리될 여지가 있으며, 행복교육은 구체적인 수업내용을 담고 있기보다는 학생중심의 즐거운 수업이라는 일종의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유학기제 도덕수업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도덕수업 전용 교실 운영, 자유학기 도덕수업 전담교사 지정 운영, 직업체험 교육과 직업윤리 교육을 접목한 교육 콘텐츠 개발, 지역 대학과의 협력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e three main poin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career education, happiness education, and competency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 sought in terms of competence education in terms of the identity of morality, the know-how of morality and community, and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school scene. It is necessary for the career education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work experience, so it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kind of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moral education in free semester system, we proposed the operation of the classroom dedicated to moral education, the designation of dedicated teachers of moral education for free semester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ombine vocational experience education and vocational ethics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local universities.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5

        이 글에서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을 역량과 발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발달 수준을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특징인 참여,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평화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대표적으로 평화 캠페인은 소셜 미디어 표현 능력과 적극적 참여 능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프로젝트 학습은 소셜 미디어의 생산적 활용 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 기반 토론 학습은 소셜 미디어 평가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학생들의 삶에서 소셜 미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평화교육의 장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갈등의 장(場)이 아닌 대화와 토론, 협력과 관용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ac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edia literacy. Based on social media literacy competency and developmental levels, this study explores peace education methods that can actively use social media'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ypically, peace campaigns can cultivate social media express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oject learning can cultivate social media productive literac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addition, social media-based discussion learning can also increase social media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Given the weight of social media in the lives of students, educational wisdom must be gathered so that the social media platform can function as a forum for dialogue, discussion, cooperation and tolerance, rather than a conflict, in the context of pea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