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국면에서 본 문학교육 :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문학의 위상 설정

        류수열 ( Su Yeol Ryu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A Study to Set up the Position of Literatur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 Ryu, Su-Yeol This paper aims to set up a new position of literatur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 At time to revis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denotation of literature. For this aim, in advance academical achievement to set up educational position of literature is reviewed. The preceding argument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phenomenal approach, and the other is the essential approach. The former prescribe the position of literature on the base of actual curriculum and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later describe that on the base of the nature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later is divided into three view-points; the view-point of usage, art, language activity. The view-point of usage attend to the affective function of language. It has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e referential function. It approve the position of literature in the language education by reason of the affective function of language. In this view-point, literature can be positioned as language material especially in the "reading" subject. In the view-point of art, literature is regarded as serious masterpiece. As this view-point,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surely distinguished from the ordinary and routine language. Therefore, literature can be positioned as high culture especially in the "classic" subject. The view-point of language activity emphasize that the language of literature stems from the ordinary and routine language. As this view-point, the language of literature contains the different principle of language performance. So this view-point can be applied to speaking and writing.

      • KCI등재

        기획 주제 : 텍스트, 상호텍스트, 콘텍스트 ; <사미인곡>의 콘텍스트와 상호텍스트적 읽기

        류수열 ( Su Yeol Ryu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하나의 문학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그 텍스트의 연원에 대한 고려는 과연 필수적인가? 이를 생략한 읽기는 불가능한가? 혹 가능하더라도 그것은 텍스트에 대한 빈곤한 이해에 머물거나 오독만을 낳을 뿐인가? 텍스트해석에서 콘텍스트를 참조하는 것은 해석의 확정(確定)을 위해서인가, 의미의 확산(擴散)을 위해서인가? 아니면 그것은 다양한 의미 해석 전략 중의 하나일 따름인가? 이것이 이 논의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세부적인 의문들이다. 상호텍스트적 읽기은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오랜 전통을 가진 독법이다. 하나의 텍스트는 그 연원을 이루는 선행 텍스트를 지니며, 그 텍스트를 만든 주체, 창작 배경, 당대적 이데올로기, 사회 문화적 배경, 장르적 문법 등을 내재적인 자질로 수렴한다. 이들을 통칭하여 콘텍스트라 일컫는다. 이들 콘텍스트는 텍스트 자체와 상호텍스트적 연관을 맺는다. 이와 같이 텍스트와 콘텍스트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관계의 총체가 상호텍스트성이라 한다. 이 글에서는 <사미인곡>을 유사한 제목을 지닌 미인곡류의 작품들, 작가의 상황, 장르의 문법, 표현이 유사한 다른 작품들을 콘텍스트로 삼아 상호텍스트적으로 읽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상호텍스트적 읽기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문학 텍스트 읽기에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필요 이상의 지적 노력을 요구한다는 데 주목했다. 그러나 피해 갈 수 없는 콘텍스트는 독자임을 분명히 밝히고자 했다. 독자는 절대적인 위치에 서 있는 콘텍스트이다. 독자가 개인적 혹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구현하는 발산적 상호텍스트성은 경험의 확충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텍스트에서 콘텍스트로 나아가서 궁극적으로 다시 텍스트로 회귀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그러나 다시 그 텍스트로 회귀하지 않더라도, 그 방법적 의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테마ㆍ모티프(motif)ㆍ소재ㆍ이미지ㆍ상징 등을 고리로 하여 주제론적으로 텍스트들을 엮어 읽는 것은 각각의 주제론적 요소들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확인하면서 간접 경험의 폭을 훨씬 더 넓혀 주게 될 것이다. Is it true that it`s necessary to consider textual origin in reading a text? Is it impossible to rea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extual origin? Does it arrive at the poor or wrong understanding even though it`s possible? For what readers make reference to different contexts? Is it for decision of interpretation or diversion of significance? Is it for one of the different strategy for interpretation of intention or meaning? These are the concrete questions which should be settled in this paper.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goes way back long time ago in both orient and occident. Every text has its other texts from which that text stems and gets in the making subect, motivation of writing, ideology of the days, socio-cultural background, generic grammar and so on. The term of context conclude these feature. These contexts have intertextual association with text itself. The term of intertextuality means the total relation generated between the text and contexts. In this paper, I presented the process of reading ‘Samiingok’(Missing My Love)’(written by Jeong Cheol) in considering different contexts such as the works which have similar title, the situation of writer, generic grammar, other texts which share rhetoric. I paye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literature provides critical cues for interpretation of text but sometimes require over intellectual effort. But readers is inevitable and absolute context in reading literature. Readers` divergent intertextuality actualized in the iidividual or socio-cultural context is very significant because it amplifies and broaden readers` mediate experience. The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of literary texts by enchaining theme, motif, object, image, symbol etc is up to readers. It`s only readers` autonomical selection.

      • KCI등재

        기획 논문 : 은유 개념의 허상과 실상

        류수열 ( Su Yeol Ryu ),이지선 ( Jee Sun Le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이 연구는 은유 개념에 대한 통상적인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은유 개념이 적용되는 실제 상(象)을 검토하여 은유 개념의 재정립 필요성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1)비유사의 유무만을 직유와 은유의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가, 2)은유의 성립 요건은 유사성인가, 3)은유와 메타포metaphor는 같은 개념인가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에 기존의 은유 개념이 지나치게 형식적.피상적으로 정의되어 왔고, 좁은 범주의 수사를 지칭하는 용어로만 주로 인식되어 왔음을 지적하였다. 또 은유는 유사성과 이질성의 긴장 관계에 의해서 성립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혼용되는 은유 개념을 구별하기 위해 문채론적 은유와 해석학적 은유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tual and false concept of metaphor and to verify need of redefining concept of metaph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1) Is grammatical markers revealing the similarities of vehicle and tenor the appropriate criteria to classify the metaphor and simile? 2) Is ‘similarity’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metaphor? 3) Is same the concept of metaphor of the East and metaphor of the West? It can be seen as follow. Conventional concept of metaphor is defined too formal and superficial, and it has been used in a narrow sense.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action to create a metaphor. Lastly, we propose the term to distinguish the complex metaphorical concept, trope metaphor and interpretive metaph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거짓말 서사로서의 <토끼전>에 대한 문학교육적 담론의 특성 연구

        류수열(Ryu, Su-yeol)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7 N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charm of <Tokki-jeon>(The Story of Rabbit) in which the two characters who succeeded in deceiving the other side by lying. To this end, we focused on various ending structures and repeated version derivatives. In contrast to the general narrative grammar of a classic novel in which a good man ends up through trials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a good man who appears as a hero or a smartass and an evil man who interferes with him, there is no such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Nonetheless, <Tokki-jeon> was popular among readers of that times because it seems that the evaluation of the two characters’ lies has a broad spectrum. Because they were able to make various evaluations of their lies, different versions with its various endings, was once again deriv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ssue of how to be invited and how it is enjoyed with the youth readers of today. <Tokki-jeon> is included i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nds to be accompanied by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an evaluation of personality and theme consciousness implied by various ending structures. This i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일반논문 :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사설시조 향유층 논란을 중심으로-

        류수열 ( Su Yeol Ryu ),이지선 ( Jee Sun Lee ),김세림 ( Se Lim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7 No.-

        이 연구는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소통 방안에 대해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해석이 달라지는 이유는 교육 담론이 학술 담론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의존성을 띠는 동시에 생성된 이후에는 독자적인 재생산 구조를 통해 지식을 고착화하는 독립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설시조의 향유층에 대한 해석이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 간에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교육 담론에서는 학계의 유력 학설을 배제한다는 점과 해석에 활용하는 개념이 모호하거나 무매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육 담론의 독립성은 이를 고착화시킨다. 그러나 학술계에서 논쟁이 되는 가설은 오히려 교육적 가능성 측면에서 탐구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교육계가 학술계와 소통을 모색하는 동시에 학습자들의 성장을 견인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재 차원에서는 지식이나 정보의 정확성을 기하는 한편, 교사들에게는 교육계와 학술계의 담론 차이를 연구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된다.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phenomenon that academic discourse and educational discourse appears differently and to propose th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discourses.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seems to be dependence and independence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Therefore, by analyzing reader and writer of saseolsijo,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the educational discourses preclude the influential theory, secondly, the idea is to use uncertainty. But a thorny issue is rather good for education. Because it can make good the thinking of the learner. Also, this is a way to activ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academic discourse and educational discourse. For this purpos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accurate and teachers should have the expertis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들전>에 나타난 <춘향전>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류수열 ( Su Yeol Ryu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글은 <춘향전>의 또 다른 이본이라 할 <우리들전>이 독자가 독서의 흔적을 명시적으로 남기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독자의 자기실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우리들전>의 독자는 ``확인 및 공감``, ``외재적 정보 동원``, ``자기 투사``, ``계몽``, ``희화화``라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들전>은 약 100년 전의 소설 독자가 수행한 역할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특히 이러한 독자의 역할이 현재의 독서 과정에서도 여전히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독서론적 가치는 더욱 빛난다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비`` 개념의 교육적 부활을 제안하였다. 평비와 유사한 개념인 평점은 과거와는 달리 현재 ``점수`` 자체에 의미의 핵심을 두고 학력을 평가하여 매긴 점수나 가치를 평하여 매긴 점수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따라서 작품의 특정 부분에 대한 평가 활동을 지칭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비평이라는 단어에는 전문가적인 수준의 안목이 전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반응을 일관된 논리로 엮어내는 지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부담이 크다. 따라서 즉흥적이고 인상적인 반응까지도 모두 포괄하면서 자유로운 반응까지 허용하는 ``평비``를 문학 독서, 혹은 문학 교수-학습 활동의 한 양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용어가 정착된다면 문학 독서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모든 반응을 두루 포괄한다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본고에서 다룬 독자의 여러 가지 역할에 따라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활동도 창의적으로 구안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how readers are reflecting themselves in some ways regarding to reader`s individual response on <Urideuljeon>, the one of different versions of the <Chunhyangjeon>. As a result, We have founded that <Urideuljeon> readers took different roles as ``confirmation and empathy``, ``us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self-projection``, ``enlightenment``, ``travesty``. It has a distinct historical value regarding to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readers of <Urideuljeon> about 100 years ago. It would be worth more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is role of the readers has still been performed in the current process of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this article, I proposed the concept of Critical Commentary as a educational reintroduction. Commentary[評點] which is similar to Critical Commentary, is only focused on the current score or assessment that evaluate the academic ability. Therefore, commentary is not appropriate to refer to assessments of specific areas. In addition, the Criticism[批評]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Perspective of professionals. but also it is intellectual activities that makes literary appreciations in a consistent logical form. so it makes burden to learner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Critical Commentary, which encompass both improvised responses, impressive response and free response, as a term of reading, or Teaching-activities on Education of literature. If the term of critical commentary will be settled, it will be able to encompass all variable response in reading literature. And the various roles of readers according to their own work through analysis of how the new crea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an form.

      • KCI등재

        매체 환경의 변화와 독서, 그리고 독서 교육

        류수열 ( Su Yeol Ryu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글은 지면 대신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접하게 되는 오늘날의 독서 환경에서 독서 및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디지털 매체가 인쇄 매체에 비해 탁월한 미덕을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폐해를 낳기도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미덕을 살리고 폐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웹에서 실현되는 하이퍼텍스트는 끊임없는 링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매우 효율적이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하이퍼텍스트는 정보형 인간을 양산하기도 한다. 정보는 체계, 맥락, 구조를 갖추지 못했다는 점에서 지식과 구별된다. 우리가 교육을 통해 양성해야 할 인간상이 지식형 인간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매체는 하나의 장벽으로 작동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가 하이퍼리얼리티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문자의 이면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데도 장애가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아날로그식 독서법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문자문화가 지닌 권위를 허물었다는 것은 하이퍼텍스트가 가진 또 하나의 미덕으로서, 다양한 경로로 획득하고 축적한 정보를 독자 스스로 자신만의 지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 우리의 독서 교육도 하이퍼텍스트를 비롯한 디지털 매체의 미덕을 최대화하고 그 폐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odays, we used to gain information by digital media instead of book. This essa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desirable way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in these days. Especially this essay payed attention to that digital media including hypertext has both virtues and evils. The hypertext on the web is so effective in collect various information because of its infinite links. But it is apt to make reader gain or save information passively. Such a one is able to call as ``information type person``. Unlike information, knowledge has system, context and structure. If we should grew ``knowledge type person`` instead of ``information type person``, the digital media shall be operated as a barrier. And in that digital media has tendency to pursue hyper-reality, it can be a barrier disturbing the growth of perspective to see the hidden side of text beyond the letters. To got over these evils, it needs to recover the analogue-typed reading method. On the one hand, the hypertext is very good media setting up the condition on which the readers can re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with different informations. So it will be desirable direction that the reading education in digital media age maximize the virtues and minimize the evils of digital media including hyper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