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 및 실증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

        라수현,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4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CRE) is a client’s subjective experience 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losely related to the counseling outcome. However, because of the internal experiences of the client an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explore,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empirically studying it. We theoretically explored its conceptu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the various phenomena of counseling relationships so that the CRE could be approached clearly and explicitly in research or counseling practicum. As a result of the exploration focusing on the client’s phenomenological experience, we defined the CRE as an emotional relearning experience of new relationships that occurs by correcting the client’s interpersonal rules i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al context with the counselor. We established a conceptual model of CRE for practical use, reflecting the results. Finally, possibilities for applying the conceptual model to research, counseling, and counseling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교정적 관계 경험은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내담자가 상담 관계를 통해 경험하는 주관적인 체험으로, 상담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내담자의 내적 체험이면서,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어려운 개념적인 특성 때문에 그동안 경험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나 상담 장면에서 교정적 관계 경험이라는 현상에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개념적 특성들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여러 가지 상담 관계의 현상들과 의미상으로 구별되는 지점을 찾고자 하였다. 탐구 결과, 교정적 관계 경험은 상담자와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관계적인 맥락에서 내담자의 대인관계 규칙이라는 표적물을 교정하여 내담자에게 새로운 관계에 대한 정서 체험을 수반한 재학습 경험을 선사하는 치료적 경험이라고 정리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연구자와 상담자들이 실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 모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념 모형을 연구와 상담, 그리고 상담교육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즉시성 개입에 필요한 상담 역량: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라수현,김창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3

        Immediacy is an advanced counseling technique that directly utilizes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o produce counseling outcome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train counselors about immediacy due to its complex and intimate nature. Therefore, we explored competencies for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mapping method. Eight supervisors rated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forty-five items derived from interviews with ten experienced supervisors.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after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e and cluster analysis. The horizontal axis was ‘Intrapersonal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The vertical axis was ‘Experience-based competency’ and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The four clusters were ‘Accept and regulate one’s experiences’ based on the intrapersonal & experience-based competency; ‘Attune relationship with clients through interaction’ based on the interpersonal & experience-based competency; ‘Choose and implement interventions upon evaluation’ based on the interpersonal &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and ‘Have theoretical and empiric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intrapersonal &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Finally, we discussed the relational meaning of immediacy, the study’s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its limitations. 즉시성은 상담관계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상담성과를 만들어 내는 상담의 고급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즉시성의 특성 때문에 상담자들에게 교육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개념도 방법을 통해 상담자들이 즉시성 개입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0명의 숙련 수퍼바이저들의 인터뷰를 통해 45개 역량의 항목들을 도출하였고, 8명의 숙련 수퍼바이저들이 도출된 항목들에 대해 유사성과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다차원척도와 군집분석 결과 최종 개념도는 2차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로축의 우측이 ‘개인내적 역량’, 좌측이 ‘상호작용 역량’, 세로축의 상단이 ‘체험 기반 역량’, 하단이 ‘이해 기반 역량’이었다. 2차원의 축을 기반으로 한 군집은 총 4개로, 개인내적-체험 기반의 ‘자신의 체험을 수용하고 조절할 수 있음’, 대인관계적-체험 기반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담자와 관계를 조율할 수 있음’, 대인관계적-이해 기반의 ‘평가하여 개입을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음’, 개인내적-이해 기반의 ‘이론적 및 경험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음’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즉시성이 상담에서 갖는 관계적 의미와 본 연구의 상담자 교육 및 훈련에서 갖는 의의,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정적 관계 경험 개념의 정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우울하고 적대-순종 유형인 내담자들을 중심으로

        라수현,김창대,류미나,이승기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CRE) is defined as client's internal experience in counseling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Despite the agreement on the importance that CR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of the clients, there is only few empirical studies about the concept of CRE or how CRE effects counseling outcom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mbiguous aspects of CRE which are difficult to be captured in real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isting concept by exploring the phenomena of CRE perceived by the client and to analyze CRE in its relational aspects and corrective aspects. 32 clients participated in 8 to 12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they were required a reflective writing after each session. 250 of 361 writings reported to ha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the counselor were categorized based on repeti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actors of counseling relationship newly recognized by the clients were reported as follows; Firts, four categories such as; counselor's words, non-verbal behaviors of the counselor, counselor's existence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were derived as, Second, the reason for newly recognizing of the counselor was because of the different responses than their expectation, and lastly because new insights were fou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tudy reviewed all categories perceived by clients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CRE, and among the concepts of CRE, issues that elaboration was needed were discussed.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a basic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교정적 관계 경험은 상담에서 내담자가 상담사와의 관계를 통해 교정 경험을 하는 내담자의 내적 체험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정적 관계 경험이 내담자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중요성에 대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교정적 관계 경험 그 자체나 혹은 교정적 관계 경험이 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험적으로 연구된 바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이 실제 사례에서 포착하기에 모호한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에 내담자가 인식하는 교정적 관계 경험의 현상을 탐색하여 기존의 개념들을 점검하고, 이를 관계적 측면과 교정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명의 내담자들이 각각 8~12회기의 개인상담을 진행하면서 매회기 교정적 관계 경험에 관한 상담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361개의 상담일지 중 상담사와 새로운 관계 경험이 있었다고 보고된 250개를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담자가 새로움을 인식한 상담관계의 요소로는 첫째, 상담사의 말, 상담사의 비언어적인 행동, 상담사 존재 자체, 상담사와의 관계의 네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상담사가 새롭게 인식된 이유로는 상담사의 반응이 예상과 달랐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담자가 인식한 모든 범주들이 교정적 관계 경험에 해당되는지를 검토하는 한편,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 중에서 정교화가 필요한 지점에 대한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기초적 연구로서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정적 관계 경험 사례연구: 우울하고 적대-순종 유형인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경험과 대인관계 변화에 대한 인식

        라수현,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a depressed and hostile-submissive client’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change through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s(CRE) with a counselor. In the post-interview, the client drew up a graph of emotions for the counselor based on the reflective writings of each 12 sessions and responded to changes due to CRE. In addition, we used IMI-C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client’s interpersonal type with generalized others before counseling and at the time of 3, 6, 9, 12 session, 1 month and 3 months after counseling, and at the time of 3, 6, 9 12 session with the counselor and CES-D to identify the change in depression before counseling and at time of 12 session, 1 month and 3 months after counsel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counseling relationships for each session and changes inherent in CRE. Changes inherent in CRE included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counsel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 hostile-submissive and depressed client showed therapeutic results in improving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through CRE, changing the direction of friendly-dominant and reducing depression. Lastly, discussions on change, CRE, and therapeutic counseling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 KCI등재

        마음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연구: ‘심리상담서비스’와 ‘심리서비스’를 중심으로

        라수현(La, Soohyun),박철형(Park, Chul-Hyung),김영근(Kim, Youngke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3 교육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제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안의 추진방향에 따라 심리상담이 비의료영역의 서비스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들의 마음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예비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선호하는 마음건강 관련 전문적 도움’, ‘심리상담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 ‘심리상담 범위에 대한 인식’, ‘심리상담을 표현하는 용어의 적절성에에 대한 인식’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50대 1,021명에게 조사한 결과 ‘상담’은 ‘심리’보다 핵심적인 의미이자 마음건강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심리’와 ‘상담’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그것을 더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리상담서비스는 전 연령대의 사람들이 폭넓은 문제로 다양한 방식의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법제화 과정에서 직무와 자격명에 대한 합의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s perceptions of mental health services t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counseling can play a role as a non-medical service provider under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ic Plan for Mental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1,021 people in the 20-50 age group showed that 'counseling' is perceived as a more core meaning than 'psychology' and a term that directly expresses mental health services. However, 'psychology' and 'counseling' are perceived to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are perceived to be available to people of all ages for a wide range of problems and in various ways.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that there is a need to agree on the name of the job and qualification in the process of legislating psychological counseling.

      • KCI등재

        대학상담사의 상담 외 업무에서의 어려움과 교육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조사연구

        라수현(Soohyun La),민예슬(Yeseul Min),민경화(Kyunghwa Min),윤숙경(Sook Kyeon Yune),안성희(Sunghee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상담사들이 상담 외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그와 관련하여 학회에서 제공해주기 바라는 교육과 지원 내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대학 상담센터에서 현재 근무 중이거나 근무한 경험이 있는 상담사 9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절차를 따라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 대학상담사들이 상담 외 업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행정 및 대학평가’, ‘겸직 업무’, ‘위기대응과 의뢰’, ‘학내 문제에 대한 상담외적 개입 요청’, ‘상담윤리와 전문성 침해’ 등으로 인하여 업무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업무역량 개발을 위하여 ‘보고서 작성 및 연구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생상담센터 운영’ 등의 교육 요구가 있었으며, 학회에서 지원해주기를 바라는 내용으로는 ‘대학상담센터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상담사 역할 및 권익 보호’,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 대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상담에서 학회 및 협회가 부응해야할 역할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y counselors while performing tasks aside from counseling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assistance that they need from the academic society were investigated. Methods 91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or had experience working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University counselors were struggling in areas such as ‘administrative and university evaluation paperwork’, ‘working in additional positions’, ‘crisis management and referral’, ‘requests for non-counseling interventions’, and ‘violation of counseling ethics and expertise.’ (2) Their educational needs included ‘report preparation and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d ‘student counseling center management.’ (3) The assistance needs from academic associations were ‘preparing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otecting the role and rights of counselors’, and ‘counseling education for university members’. Conclusions With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and roles that academic associations should meet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수퍼바이저들의 수퍼바이지 평가 항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연구

        라수현 ( Soo Hyun La ),이유정 ( Yu Jeong Lee ),최명식 ( Myoung Sik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들이 수퍼바이지를 평가하는 항목들을 개념도 방법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수퍼바이지 평가 항목을 추출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소재 S대학 상담 수련기관에서 작성된 수퍼바이지 평가서 66사례를 분석하였다. 수퍼바이지 평가서는 한 학기동안 약 13회에 걸쳐 지속적으로 개인 수퍼비전을 받은 수퍼바이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퍼바이저가 작성하는 개방형 질문지이다. 총 82개의 평가 항목이 추출되었으며, 이에 대해 또 다른 수퍼바이저 13명이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 중 2개 범주에서 각각 2개의 하위 군집이 도출되었다. 4개의 군집은``초심 상담자로서의 자질``, ``내담자와 상담관계에 대한 태도 및 반응``,사례운영 기본 능력``, ``심층적 개입 및 사례이해``이었다. 이 중``초심 상담자로서의 자질``은``수 퍼비전에 임하는 자세``와``상담자로서의 기본 자질``의 하위 군집이, ``심층적 기법 및 사례이해``는``심층적 기법``과``사례이해``의 하위 군집이 도출되었다. 중요도 평정 결과, 수퍼바이저들은 수퍼바이지를 평가하는 항목으로``심층적 개입 및 사례이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사례운영의 기본능력``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pervisee evaluation criteria adopted by supervisors in counseling supervision using concept mapping. Sixty six supervisee evaluation forms written by supervisors were collected to extract evaluation criteria. Each evaluation form was written by a supervisor after providing approximately 13 supervision sessions from 2002 to 2009. A total of 82 descrip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evaluation forms. Thirteen experienced supervisors rated the similarity and significance of the 82 descriptions. Cluster analyses yielded four clusters, ``basic qualifications as a novice counselor``, ``attitudes and reaction to the client and the counseling relationship``, ``basic abilities for case management``, ``in-depth techniques and case conceptualization``. Supervisors rated ``in-depth techniques and case conceptualization``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others and ``basic abilities for case management`` the least.

      • KCI등재

        메타인지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김동일(金東一),라수현(羅秀賢),이혜은(李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정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교육 분야의 이슈는 많은 지식들을 기억하는 것보다 수많은 정보들을 다루고 그 과정을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능력인 메타 인지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된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 연구들을 수집 · 분석하여,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의 적용특성과 그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의 학술저널에 출간된 11편의 집단설계연구와, 학위논문까지 포함한 단일사례연구 9편, 총 20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선정된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의 활용영역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단일사레연구는 IRD 메타분석방법, 집단설계연구는 다층메타분석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및 종속변수와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메타 인지적 전략은 1) 학습 내용 자체, 2) 학습을 촉진시키는 학습 및 교수 전략의 두 가지 영역에 적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효과크기 분석 결과 메타인지적 전략은 연구주제 영역인 학업영역,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컸고, 구체적으로는 학업영역보다는 정의영역이나 인지영역, 행동영역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society, flooded with massive amounts of information, fostering meta-cognitive skills has emerged as a pivotal issue among contemporary pedagogues who are studying the way to enhance information managing the ability of students. Along with this trend, this study examined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used to those studies. From 2000 to 2015, eleven group-designed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nine single case studies in Korean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and then estimated the effect sizes of studies by interven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rough IRD meta-analysis for single case studies and multi-level meta-analysis for group-designed stud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s was related to academic area in most studies. Also,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two areas; 1) learning contents, 2)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cquired through learning strategies. Finally, the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were highly effective for four dependent variables - the academic doma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nd more specifical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academic domain.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a suggestion to do follow-up studies.

      • KCI등재

        국민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 고찰

        김영근,라수현,최동현,박철형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4

        In this era, people are experiencing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COVID-19 and the Ukraine-Russia War, which threatens the mental health of the people. In response to the threat to mental health caused by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citizens are also urging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issues at the national level.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proposing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by preparing measures for mental health, such as “Comprehensive Measures for Mental Health and Welfare of All People” (proposed). However, there is no legal basi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Due to these problems, various moves have been made to legislate psychological counseling, but no agreement has been reached due to differences in the standards of various factor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Because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rol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national policies. Therefore, in this study, terms such as “mental health” and “lega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combined and searched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using search engines such as RISS, DBpia, KCI, and Google Scholar. Through the data we searched, 1. the actual and current status of people’s mental health, 2. the state’s intervention and limitations in mental health, and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to complement the limits of the state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role of psychological counselors required by national policies and the basis for them in performing their roles, establish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erms, integrating, organizing job content in psychological counseling NCS modules. Based on the results, six directions for legalizing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also presented. 현시대의 사람들은 코로나19,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사태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의 정신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른 정신건강의 위협에 따라 국민들 또한 국가 차원에서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온 국민 마음 건강 종합 대책, 제2차 정신건강 복지 기본계획(안)”을 수립하는 등 정신건강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며 심리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심리상담 관련 법적 근거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심리상담 법제화를 위한 다각적인 움직임을 시도하였지만, 심리상담에 대한 여러 요인들의 기준이 상이하여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정책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심리상담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고, 기존의 상이한 법제화 안건들과 심리상담 법제화의 움직임, 심리상담 NCS 모듈과 심리상담 관련 용어의 정립 및 통합, 각 학회별 자격에 대한 고찰 작업을 통해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신건강”, “심리상담 법제화” 등의 용어를 조합하고 RISS, DBpia, KCI, Google Scholar 등의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관련 문헌 자료를 탐색하였다. 탐색한 자료들을 통해 1. 국민의 마음건강 실태 및 현황, 2. 마음건강에 대한 국가의 개입 및 한계, 3. 국가의 한계 보완을 위한 법제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정책에서 요구하는 심리상담사의 역할과 해당 역할 수행의 주체에 대한 근거, 심리상담 용어의 정립, 심리상담 NCS 모듈에서의 직무 내용 통합 및 정리, 심리상담 자격 및 수련 내용의 구성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한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 6가지를 논의 부분에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