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을 이용한 Ir-192 선원의 공기커마 세기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허현도,김우철,노준규,이석,이상훈,조삼주,신동오,최진호,권수일,김성훈,Huh, Hyun-Do,Kim, Woo-Chul,Loh, John-Jk,Lee, Suk,Lee, Sang-Hoon,Cho, Sam-Ju,Shin, Dong-Oh,Choi, Jin-Ho,Kwon, Soo-Il,Kim, Seong-Hoon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r-192 선원의 검교정을 겉보기 방사능(apparent activity)을 이용하지 않고 물속 기준점에서 흡수선량을 측정함으로써 공기커마 세기(air-kerma strength, Sk)를 계산하고자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근접치료용 다목적 팬톰(multi purpose brachytherapy Phantom, MPBP)을 제작하였다. 물 흡수선량 측정은 고선량률 근접치료기(micro-Selectron, Nucletron, Netherlands)에 장착된 Ir-192 선원(Mallinckrodt Medical B.V., Netherlands)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물 흡수선량은 몬테칼로 계산방법으로 계산된 이온전리함(TM30013, PTW, Germany)의 물 흡수선량 교정인자($N_{D.W.Q}$)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물 흡수선량은 한 개의 선원에 대하여 4 cm에서 7 cm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전산화 치료계획 장치에서(plato BPS, ver 13.2, Nucletron, Netherlands) 계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공기커마 세기(Sk)는 기준점 5 cm되는 곳에서 3개의 Ir 선원에 대하여 구하였다. 계산된 공기커마 세기는 선원제조사에서 제공된 값과 비교하였다. 몬테칼로 계산방법으로 계산된 이온전리함의 물 흡수선량 교정인자는 5.28 cGy/nC이었다. 한 개 선원에서 측정한 물 흡수선량 값은 -2.16%에서 -0.84%까지 상대오차를 나타내었다. 공기커마 세기는 제조사에서 제공된 값과 비교하여 -0.6%에서 +1.8% 제조사 권고치 ${\pm}5%$ 이내로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을 정확히 결정함으로써 선원의 공기커마 세기를 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물 흡수선량을 통한 Ir-192 선원의 검교정 방법들은 미국의학물리학회(AAPM) 보고서 TG-43에서 권고한 흡수선량 계산 알고리즘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lculation algorithm of source strength of Ir-192 source In terms of the absorbed dose to water instead of an apparent activity (Ci). For this work the Multi Purpose Brachytherapy Phantom(MPBP) was developed, which was designed to locate the source and the chamber precisely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water phantom. The reference point of measurement was set at the 5 cm distance along the transverse axis of the source. For a brachytherapy source calibration, the absorbed dose to water calibration factor ($N_{D.W.Q}$) of an lonization chamber were determined and then apply standard protocols of absorbed dose to water. The calibration factor ($N_{D.W.Q}$) of the ion chamber (TM30013, PTW, Germany) was determined using the EGSnrcCPP Monte Carlo Code. The calculated calibration factor ($N_{D.W.Q}$) was 5.28 cGy/nC. The calculated factor was then used to determine the absorbed dose to water from which the air kerma strength for an Ir-192 source can be easily derived at the reference point (5 cm). The calculated air kerma strength showed discrepancies of -0.6% to +1.8% relative to the air kerma strength provided by the vendor, In this work we demonstrated that the air kerma strength ($S_k$) could be determined from the absorbed dose to water calibration factor for Ir-192 source. In audition, this source calibration method could be applied directly to the dose Calculation formalism of AAPM report TG-43.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의 삼문 조사 시 내외측 접면 조사야의 Posterior Edge의 어긋남의 교정

        김헌정(Hun-Jung Kim),노준규(John JK Loh),김우철(Woo-Cheol Kim),박성용(Sung-Young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유방암 환자를 삼문으로 방사선 치료 할 경우 유방의 접면영역과 쇄골상 영역의 기하학적 일치를 이루기 위해 갠트리를 회전한 상태에서 테이블을 회전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이때 접면조사의 posterior edge에 발생 할 수 있는 어긋남을 필름 선량측정법과 삼차원 입체조영 치료계획을 통하여 확인하고, 그 어긋남의 해결방법으로 콜리메이터의 각도를 보정해주는 방법들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어긋남의 보정을 위해 쇄골상영역과 유방의 접면영역을 반쪽 빔블록과 tangential field block을 사용하여 모의치료한 후 테이블 회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몸에 접면 빔의 posterioredge에 선을 긋고, 테이블을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광조사야의 posterioredge와 테이블 회전이전에 환자의 몸에 그어놓은선과 일치되도록 콜리메이터를 회전시키는 방법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방법인 삼각함수로부터 유도시킨 다음과 같은 공식에 따라 콜리메이터를 회전하여 posterior edge의 어긋남을 보정하고 두 방법을 비교하였다. Co=2sin-1{sinθsin(C/2)} (Co: collimator angle, θ: angle between tangential beam and table, C: couch angle) 결 과: 필름선량 측정법을 이용하여 콜리메이터를 보정하지않은 경우 내외측의접면 빔의 posterior edge가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콜리메이터를 보정함으로써 posterior edge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위 두 방법에서 콜리메이터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였다.또한 전산화된 삼차원 입체조영 치료계획을 통하여,접면 빔의 posterioredge의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콜리메이터를 회전하여보정 함으로써 posterior edge의 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선량체적표를 비교할 경우, 콜리메이터를 보정하여 posterioredge의 일치를 이룬 경우가 더 적은 용적의 폐가 조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서 삼문으로 치료할경우에 갠트리와 테이블을 동시에회전하여 쇄골위 영역의 아래면과 접면 빔의 윗면을 일치시킬때 각각의 접면빔의 posterioredge가 어긋남을 인지해야하며,약간의 콜리메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어긋남은 보정가능하고,폐에 조사되는 방사선 양도 줄일 수 있었다. Purpose: The target volume for the three field technique in breast cancer include the breast tangential and supraclavicular areas. The techniques rotating the gantry and couch angles, to match these two areas, will geometrically produce mismatching of the posterior edge between the medial and lateral tangential beams. This mismatch was confirmed by film dosimetry and three-dimensional computer planning. The correction methods of this mismatching were studied in this article. Materials and Methods: After the supraclavicular field was simulated using a halfbeamblockand the medial and lateral tangential fields, by the rotation of the couch and gantry, we compared the following two methods to correct the mismatch. The first method was the rotation of collimator until a line drawn on the posterior edge of tangential beams before the rotation of couch aligned the line drawn on the posterior edge after the rotation. The second method was the rotation of collimator according to the formula developed by the author as follows; Co=2sin-1{sinθ?sin (C/2)} (Co: collimator angle, θ: angle between tangential beam & table, C: couch angle) Results: The film dosimetry showed the mismatching of posterior edges of the medial and lateral tangential fields prior to the rotation of collimator, while the posterior edges matched well after the rotation of collimator according to the formula. The three-dimensional computer plan alsoshowed that the posterior edges matched well after the rotation of collimator accordingly. The DVH of the ipsilateral lung with the proper rotation of collimator angle was better than that without the rotation of collimator angle. Conclusion: The mismatching of the posterior edges of the medial and lateral tangential fields can be recognized on the three field technique in breast irradiation when the gantry and couch are simultaneously rotated and can be corrected with the proper rotation of the collimator angle. The radiation dose to the ipsilateral lung could be lowered with this technique.

      • SCOPUSKCI등재

        Dosimetry for Total Skin Electron Beam Therapy in Skin Cancer

        추성실(Sung Sil Chu),노준규(John JK Lo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4-5MeV의 전자선은 피부표면의 흡수선량을 증가시키고 표면하 10mm 내외에서 급속히 감소함으로 Mycosis fungoides, Kaposi's sarcoma등 전신피부암에 대한 가장 적당한 치료방사선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평면이 아니고 굴곡이 심한 인체표면에 균일한 선량을 계획하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연세암센터에서는 1980년부터 시행하여왔던 6MeV 전자선의 마름모형, 네방향 조사방법을 개량하고 많은 문헌을 참고하여 상하 양방향의 조사면과 환자위치를 각각 여섯가지 자세로 나누어 조사(Six-Dual-Field)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에따른 전신피부표면의 선량과 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6MeV 전자선을 0.5cm 두께의 아크릴판으로 감약시키고 콜리메터가 완전히 열린 조사면을 상하 19°씩 옮기므로서 타켓트에서 3m 거리에 약 2m×1m의 균일한선량의 조사면(평탄도 +3%)과 10mm 내외의 실효깊이(80% 선량지점) 및 산란선에 의한 피부표면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환자는 일부피부가 가려지지않도록 팔과 다리를 적당한 자세로 고정시키고 전자선을 여섯방향에서 각각 2회씩 상하로 조사시키므로서 피부표면에 균일한 선량분표(표준편차 5%)가 가능하였으며 80%의 심부률이 8~10mm에서 측정되었다. 모든 측정은 인체등가팬텀과 폴리스틸렌팬텀을 사용하였으며 필름, 평형전리측정기 및 표준전리측정기를 이용하였다. 특히 환자피부표면의 흡수선량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열형광측정기와 반도체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6~20개의 소형 측정기를 환자 피부표면에 부착시킨후 전자선 치료과정 동안 피폭 시켜 측정하였고 그결과 차폐된 부위를 제외하고 평균 10%이내의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Increasing frequency of skin cancer, mycosis fungoides, kaposi's sarcoma etc, it need to treatment dose planning for total skin electron beam (TSEB) therapy.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for TSEB therapy is needed to give homogeneous dos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entire skin surface. The energy of 6 MeV electron from the 18 MeV medical linear accelerator was adapted for superficial total skin electron beam therapy. The energy of the electron beam was reduced to 4.2 MeV by a 0.5cm×90cm×180cm acryl screen placed in a feet front of the patient. Six dual field beam was adapted for total skin irradiation to encompass the entire body surface from head to toe simultaneously. The patients were treated behind the acryl screen plate acted as a beam scatterer and contained a parallel-plate shallow ion chamber for dosimetry and beam monitoring. During treatment, the patient was placed in six different positions due to be homogeneous dose distribution for whole skin around the body. One treatment session delivered 400 cGy to the entire skin surface and patients were treated twice a week for eight consecutive weeks, which is equivalent to TDF value 57. Instrumentation and techniques developed in determining the depth dose. dose distribution and bremsstrahlung dose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신현수(Hyun Soo Shin),김귀언(Gwi Eon Kim),이형식(Hyung Sik Lee),서창옥(Chang Ok Suh),노준규(John JK Loh),이종태(Jong Tae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연세대학교,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였던 27명의 간외담도종양환자를 대상으로 외부방사선조사 및 관내 근접조사(intraluminal brachytherapy)를 병용하였을 경우 적절한 국소관해율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방법에 대한 결과를 불완전한 절제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의 치료성적과 비교분석하였다. 16명은 남성이었고 11명은 여성이었으며, 평균나이는 58세(34~70세)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0MV Linear Accelerator, 4 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고 총 조사량은 45~55Gy이었다. 관내 근접조사는 외부방사선조사후 시행하였고 Ir-192를 사용한 고선량치료기기인 Gamma-Med 12i를 이용하여 총 15Gy를 조사하였다. 최소 추적조사기간은 12개월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대별해보았는데, 1군(6명)은 불완전 절제술후 미시적 잔류암존재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했던 경우이고 2군(13명)은 수술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하였던 경우이며, 3군(8명)은 외부방사선조사와 관내근접조사를 병용하였던 경우로 분류하였다. 치료실패요인의 대부분 국소실패였고 원격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앙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고 2년 생존율은 30%이었다. 각 치료군에 따른 치료실패율은 1군 67%(4/6), 2군 79%(10/13), 3군 38%(3/8)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 6개월, 10개월이었다. 또한 2년 생존율은 각각 56%, 18%, 50%로서 종합적으로 1군과 3군간의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간외담도종양 환자의 경우 외부 방사선치료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수 없었으며 외부방사선 치료와 관내근접조사를 병용하였을 경우 수술적 절제술이 시행되었던 경우와 비슷한 치료성적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방사선치료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리라 생각하는 바이다. Twenty-seven patients with unresectable extrahepatic bile duck carcinoma (n=21) or with microscopic evidence of tumor rest after aggressive surgery for extrahepatic bile duck carcinoma (n=6) between 1985 and 1990 were given radiotherapy consisting intentionally external radiotherapy and/or intraluminal therapy using Gamma-Med 12i(192-Ir) high dose rate (HDR) remote control afterloading system following bile drainage procedures and Gianturco stent inser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as been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effects on survival of a combination of external radiotherapy and brachytherapy with which we hope to achieve optimal lovo-regional control for patients with unresectable extrahepatic bile duck tumors. Sixteen patients were men and eleven were women, and the mean age was 58 years (34-70). 10MV X-ray was used for radiation therapy, with the total dose ranging from 45 Gy to 55 Gy, and intraluminal brachytherapy performed after external radiotherapy, with the dose of total 15 Gy. The minimum follow up was 12 months. Failure were predominantly local-regional, without distant failure. Median survival was 10 months; 2-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as 21%. Median survival for common hepatic duct(CHD) cancer was 9 months; for common bile duck (CBD) cancer, was 16 months. And median survival for incomplete surgery/external radiotherapy group was 10months; for external radiotherapy alone group, was 6months. Use of chemotherapy and/or hyperthermia were not affected in survival. Therefore, our results is that the survival rates in the group of external/intraluminal radiotherapy were comparable with ones in the group of incomplete resection/external radiotherapy, and so we believe that the aggressive local and regional radiotherap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urvival length.

      • 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와 저선량률 강내치료의 비교

        김우철(Woo Chul Kim),김귀언(Gwi Eon Kim),정은지(Eun Ji Chung),서창옥(Chang Ok Suh),홍순원(Soon Won Hong),조영길(Young Kap Cho),노준규(John JK L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자궁경부 선암은 발생률이 적어 편평상피암에 비하여 아직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또한 지금까지 저선량률 강내치료가 많이 사용되어 고선량률 강내치료의 결과는 많이 보고되고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자궁경부 선암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와 저선량률 강내치료를 비교하여 고선량률 강내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97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치료된 106명의 자궁경부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선량률 강내치료는 35명에서 시행되었고, 71명은 고선량률 강내치료가 시행되었다. 저선량률군에서는 병기 1기가 8명, 병기 2기가 18명, 병기 3기가 9명이었고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X-ray를 이용하여 매일 2 Gy씩 총 40∼64 Gy (중앙값 48Gy)가 조사되었다. 저선량률 강내치료는 radium 선원을 이용하여 Henshke applicator로 시행되었고 point A에 22∼59 Gy (중앙값 43 Gy)가 조사되었다. 고선량률군에서는 병기 1기가 16명, 병기 2기가 38명, 병기 3기가 17명 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량은 40∼61 Gy (중앙값 45 Gy)이었고 분할선량은 1.8∼2.0Gy이었다.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Co-60 선원을 사용하여 RALS (remote afterloading system)로 분할선량 3Gy를 주 3회 총 30∼57 Gy (중앙값 39 Gy)가 시행되었다. 결 과:저선량률군의 5년 생존률은 병기1, 2, 3기에서 각각 72.9, 61.9, 45.0%이었고 고선량률군에서는 각각 87.1, 58.3, 41.2% 이었다(p>0.05). 자궁경부 선암에서 고선량률군과 저선량률군간의 5년 생존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양군간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없었다. 고선량률군의 만성 합병증률은 26.8%로 저선량률군의 11.4%에 비하여 높았으나 대부분 grade I의 경미한 정도이었고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어 받아들일 만한 결과이었다. 결 론:자궁경부 선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저선량률 강내치료에 비하여 5년 생존률과 치료실패율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저선량률 강내치료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병기 2기와 3기에서 만성 합병증이 높아 분할 선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The incidence of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s low. Traditionally, Low Dose Rate (LDR) brachytherapy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odality in th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High dose rate (HDR) brachytherapy in the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compared with the LDR. Materials and Methods:From January 1971 to December 1992, 106 patients of adenocarcinoma of uterine cervix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with curative intent. LDR brachytherapy was carried out on 35 patients and 71 patients were treated with HDR brachytherapy. In LDR Group, 8 patients were in stage I, 18 in stage II and 9 in stage III. External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10 MV X-ray, daily 2 Gy fractionation, total dose 40∼46 Gy (median 48 Gy). And LDR Radium intracavitary irradiation was performed with Henschke applicator, 22∼59 Gy to point A (median 43 Gy). In HDR Group, there were 16 patients in stage I, 38 in stage II and 17 in stage III. The total dose of external radiation was 40∼61 Gy(median 45 Gy), daily 1.8∼2.0 Gy. HDR Co-60 intracavitary irradiation was performed with RALS (Remote Afterloading System), 30∼57 Gy (median 39 Gy) to point A, 3 times a week, 3 Gy per fraction. Results: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in LDR Group was 72.9%, 61.9%, 45.0% in stage I, II, III,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 figures for HDR were 87.1%, 58.3%, 41.2%, respectively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HDR Group and LDR Group in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here was 11% of late complication rates in LDR Group and 27% in HDR Group. There were no prognostic factors compared HDR with LDR group. The incidence of the late complication rate in HDR Group stage II, III was higher than that in LDR Group(16.7% vs. 31.6% in stage II, 11.1% vs. 35.3% in stage III, p>0.05). Although the incidence of radiation induced lat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HDR Group stage II and III patients than that in the LDR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and within acceptable level. Conclusion:There was no difference in terms of 5-year survival rate and failure pattern in the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reated with HDR and LDR brachytherapy. Even late complication rates were higher in the HDR group it was an acceptable range. This retrospective study suggests that HDR brachytherapy seems to replace the LDR brachytherapy in the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However,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refine the dose rate effects.

      • KCI등재후보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우철(Woo Chul Kim),이돈행(Don Haeng Lee),이건영(Keon Young Lee),이미조(Mi Jo Lee),김헌정(HunJung Kim),이석호(Suk Ho Lee),노준규(John JK L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군의 비교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하대 병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41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이 중 22명의 환자는 수술 단독으로 치료 되었고(1군) 19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 되었다(2군). 수술은 완전절제가 시행된 경우가 1군에서는 11명(50%)이었고 2군에서는 7명(36.8%)이었다.나머지 환자는 절제연양성으로 현미경 적미세종양이 남아있었다.두 군 간에병기,수술방법,병리소견등의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이용하여 45˜54Gy(중앙값: 50.4 Gy)를 원발종양과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다. 결 과: 1군에서는 국소실패한 환자가 12명(54.5%)인 반면 2군에서는 3명(15.8%)으로 수술단독군에서 국소실패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0.010), 1군에서 국소실패한 12명 중7명이 절제연 양성군에서 발생하였고 2군에서는 국소실패한 3명 모두가 절제연 양성에서 발생하여 완전 절제군보다 절제연 양성군에서 국소실패가 월등히 높았다.1군과 2군의 3년전체 생존율은 각각 38.3%, 38.9%이었고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18.8%와 26.3%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연 양성인 환자에서는 3년 생존율이 24.2%와 36.4%로 방사선 치료군에서 좋았고(p=0.06) 절제연 양성인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18.2%와 25.0%로 통계학적으로도 의미 있게 방사선 치료군이 좋았다(p=0.04). 결 론:간외 담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제어율을 높이며,특히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는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1, 41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having undergone surgical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f the 41 patients, 22 were treated by surgeryalone(GroupI) with remaining 19 treated by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Group II). A gross total surgical resection with pathologically negative margins was performed in 11 of the patients (50%) in Group I, and in 7 of the patients (36.8%) in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ease stage, surgical procedure or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The patients in group II received 45˜54 Gy(median:50.4Gy)of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to the tumor bed and draining nodal area. Results: The local failur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 (54.5%) than in group II (15.8%)(p=0.010). Of the 12failed patients in Group Iand the 3 failed patients in group II,7 and 3 had a positive resection margin. The overall 3-year survival rates were 38.3 and 38.9% and the 3-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18.8 and 26.3% in groups I andII,respectively. However,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who received adjuvant radiation therapy had higher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than those with surgery alone (36.4% vs. 24.2%, p=0.06), and 3-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I patients who had positive margins compared with those in group I (25.0% vs. 18.2%, p=0.04). Conclusion: Post 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appear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localfailure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and might improve the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 KCI등재

        방사선치료로 인한 통증 및 암성통증에 대한 듀로제식의 효과

        신성수(Seong Soo Shin),허승재(Seung Jae Huh),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안승도(Seung Do Ahn),이상욱(Sang-Wook Lee),김연실(Yeun Sil Kim),이규찬(Kyu Chan Lee),이창걸(Chang Geol Lee),노준규(John JK Loh),전미선(Mison C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방사선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점막염, 식도염 등의 통증과 암성 통증을 가진 환자에 대한 듀로제식의 통증 완화 및 일상생활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기관 전향적 4상 임상시험으로 방사선치료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거나(A군) 암성통증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환자(B군) 중에 진통제를 복용 중임에도 숫자등급평가(Numeric rating scale, NRS)가 4 이상이거나 진통제 복용 없이 NRS가 6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듀로제식 25 ug/hr을 처방한 후에 1주일과 2주일 후에 통증횟수와 강도변화, 통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평가, 피험자와 임상의 만족도 평가, 그리고 이상반응 평가를시행하였다. 결 과: 2005년 3월 28일부터 6월 15일까지 26개 기관에서 총 312명의 피험자를 등록하였고 그 중 249명이 임상시험을 완료하였는데 A군은 185명, B군은 64명이였다. 평균 연령은 60세였고, 남자가 189명, 여자가 60명이였다. 2주후 가장 심한 통증의 강도 변화를 보면 A군에서 6.9에서 3.9로 B군에서는 7.1에서 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3) 감소하였고 일상생활의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수면방해 정도와 일상적인 일의 저하 그리고 삶의 질의저하는 투여 2주 후에 모두 호전되었다. 연하통증의 변화는 A군에서만 유의하게 투여 후 호전되었으며 피험자의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A에서 47%, B군에서 41%로 좋았고 만족 이유는 진통효과 우수, 전반적 만족, 편리성 순이었다. 임상의 만족도는 매우만족이 50% 정도로 좋았다. 이상반응은 A군에서 40% B군에서 34%로 총 38%에서 나 타났고 오심이 30%로 가장 많았고 소양증 16%, 어지러움 14%, 변비 10% 순이었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결 론: 듀로제식의 통증완화 효과 일상생활 개선효과는 우수하였고 피험자와 임상의의 만족도도 좋았고 중대한 이상반응도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entanyl-TTS in the management of radiotherapy induced acute pain and cancer pain treated with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was open labelled prospective phase IV multi-center stud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patients with more 4 numeric rating scale(NRS) score pain although managed with other analgesics or more than 6 NRS score pain without analgesics. Patients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radiotherapy induced pain (Group A) and patients with cancer pain treated with radiotherapy (Group B). All patients received 25 ug/hr of fentanyl transdermal patch. Primary end point was pain relief; second end points were change in patient quality of life, a degree of satisfaction for patients and clinician, side effects. Results: Between March 2005 and June 2005, 312 patients from 26 participating institutes were registered, but 249 patients completed this study. Total number of patients in each group was 185 in Group A, 64 in Group B. Mean age was 60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76:24. Severe pain NRS score at 2 weeks after the application of fentanyl was decreased from 7.03 to 4.01, p=0.003.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somnia, soci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A degree of satisfaction for patients and clinician was very high. The most common reasons of patients' satisfactions was good pain control. Ninety six patients reported side effect. Nausea was the most common side effect. There was no serious side effect. Conclusion: Fentanyl-TTS was effective in both relieving pain with good tolerabil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radiotherapy induced acute pain and cancer pain treated with radiotherapy.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and doctors was good. There was no major sid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