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 구성 지도를 이용한 전자메일 자동응답 및 브라우징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노영주(Young-Ju Noh),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Ⅱ

        컴퓨터의 사용인구가 많아지고,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좀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들도 많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쉽게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돕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인터넷 서비스제공 업체들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관리자가 직접 답을 해주는데, 이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증가로 질의응답 업무의 양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질의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응답하고 사용자가 FAQ를 개념적으로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그 적용 가능성과 일반 사용자들의 이용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비적 결과

        노영주(Young Ju Noh),김학재(Hak Jae Kim),허대석(Dae Seog Heo),신희영(Hee Yung Shin),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방사선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에서 2001년까지 치료를 받은 두개내 배아종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은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항암치료, 5명은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항암치료, 1명은 EP (VP-16, 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았고 5명은 두개척수조사, 1명은 두개방사선조사, 12명은 종양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원발 종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39.6에서 54 Gy였다. 결 과: 남자는 16명, 여자는 2명이었고 중간 나이는 16세였다. 자기공명영상 상 12명은 송과체에, 각각 1명에서 안상, 시상, 대뇌기저핵에 원발성 종괴가 있었고 3명에서 다발성 종괴가 있었다. 6명은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고 3명은 뇌척추액검사 상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고 2명에서는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전이 소견이 있었다. 종양지표검사 상 1명에서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수치가 44 mlU/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암치료 후 5명은 완전 관해, 12명은 부분 관해를 보였고, 1명은 반응이 없었다. 현재 중앙 추적 기간 20개월로 17명은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고 1명은 bleomycin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의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다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 관해 상태이다. 6명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3∼4도의 혈액학적 부작용이 11명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조사 중 두개척수조사를 받은 5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에서는 2도 이상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고 항암치료로 인한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만성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며 이 결과가 나온 후에 두개내 배아종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We intended to decrease late CNS reaction after radical radiotherapy for an intracranial germinoma by using combin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involved-field radiotherapy. The efficacy in terms of its acute toxicity and short-term relapse patterns was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etween 1995 and 2001. The chemotherapy regimen used was the Children's Cancer Group (CCG)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for 5 patients younger than 16 years,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for 12 patients, and EP (VP-16, cisplatin) for 1 patient. The radiotherapy covered the whole craniospinal axis for 5 patients, the whole brain for 1, and the partial brain (involved field) for 12. the primary lesion received tumour doses between 3,960 and 5,400 cGy. Results :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6:2 and the median age was 16 years old. The tumors were located in the pineal gland in 12 patients, in the suprasellar region in 1, in the basal ganglia in 1, in the thalamus in 1. Three patients had multiple lesions and ventricular seedings were shown at MRI. In 3 patients, tumor cells were detected in the cerebrospinal fluid and MRI detected a spinal seeding in 2 patients. The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was complete remission in 5 patients, partial remission in 12, and no response in 1. However, after radiotherapy, all except 1 patient experienced complete remission. The toxicity during or after chemotherapy greater than or equal to grade Ⅲ was remarkable; hematologic toxicity was observed in 11 patients, liver toxicity in none, kidney toxicity in none, and gastrointestinal toxicity in one. One patient suffered from bleomycin-induced pneumonitis. Radiotherapy was therefore stopped and the patient eventually died of respiratory failure. The other 17 are alive without any evidence of disease or relapse during an average of 20 months follow-up. Conclusion : A high response rate and disease control was experienced, which was the same as observed other studies and the morbidity from chemotherapy-induced toxicity was similar. With these results, the results from adjuvant chemotherapy and involved-field radiotherapy cannot be concluded to be equal to those from extended-field radiotherapy. The long term follow-up study on later complications are required in order to draw definite conclusions on the optimal management with minimum side effect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두섬유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 오배자를 중심으로 -

        노영주 ( Young Ju Noh ),이신희 ( Shin Hee Lee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sthe dyeability of soybean protein fabric after dyeing with gallut.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gallnut were extracted with boiling water at 60oC and 60min. Soybean protein fabric was dyed with extracted solution from gallnut according to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After dyeing with gallut solution, dyeability (K/S) was obtained by CCM observation. Al, Cu and Fe were employed as a mordanting agents. Various color changing were produced by the interactions of mordants that weredifferent from soybean protein fabric; however, Al mordant was not indicated as a variable color change.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ere also investigated. Consequently, the dyeability of the soybean protein fabric dyed with gallut showed reasonable results at 100% o.w.f, 90oC, for 60min. Fastness to washing according to concentration indicated good result as more than grade (4-5) in general. Fastness to light was almost the same compared to fastness to washing at all concentrations. Fastness to washing according to mordants indicated good grade (4) in principle at Al, Cu, and Fe; in addition, fastness to light indicated a good grade too. Fastness to light also indicated the highest dyeability at Fe mordant. This study shows that gallut is a reasonable dyestuff to soybean protein fabric and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products that use soybean protein fabric.

      • 침입탐지 평가를 위한 침입패턴 자동 생성

        노영주(Young-Ju Noh),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Ⅰ

        최근 몇 년 동안 이루어진 네트웍 및 인터넷 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빈번히 발생하는 시스템에 대한 침입으로 이를 방어하기 위한 여러 도구들이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도구들 중 침입탐지시스템은 시스템 방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현재까지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자동화된 온라인 평가도구는 없는 실정이다. 보안관련 시장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DARPA의 지원아래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대규모의 침입탐지시스템 평가가 이루어졌으나, 이때의 평가들은 당시의 침입 수준만을 고려한 것으로 새로운 침입 환경에 대한 확장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급속도로 증가하는 침입 기술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침입코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침입을 만들어 내어 침입탐지 평가도구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 위치변환과 더미코드 삽입을 제안한다. 모듈 위치변환은 알려진 u2r코드를 모듈 단위로 나누고 나뉘어진 모듈의 위치 변환을 통해 새로운 침입을 만들어낸다. 또한 더미코드 삽입은 침입코드의 모듈 사이의 침입과 관련없이 수행되는 정상 모듈을 삽입하여 새로운 침입을 만든다. 모듈 위치변환을 통해 평균 6.1%의 침입 변환율과 더미코드 삽입을 통해 새로운 침입을 만들었다.

      • KCI등재

        유리 선량계와 다이오드 측정기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체표면 선량측정 비교

        고영은,박성호,최병준,김희선,노영주,Ko, Young-Eun,Park, Sung-Ho,Choi, Byoung-Joon,Kim, Hee-Sun,Noh, Young-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1

        다이오드 측정기(diode)와 유리 선량계(glass dosimeter)를 이용하여 체표면 선량측정을 시행하고 실제 방사선조사 영역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치료계획 시스템에서 계산된 방사선량과 비교하여 유리 선량계를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방암 치료로 방사선을 조사받는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다이오드 측정기와 유리 선량계를 같은 부위에 부착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유리 선량계는 총 40개 중 재현성이 3% 이내인 28개의 소자만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치료 셋업 위치에 따라 네 부위에 각각 선량계를 부착하여 각 위치에서의 선량값을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27명의 환자 모두에 대하여 180 cGy/fraction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이때 같은 부위에 부착한 두 측정기가 나타내는 선량값의 차이는 최대 3.2%였으며, 치료계획 된 선량값과 비교했을 때 다이오드 측정기의 경우 평균 2.3%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리선량계의 경우 평균 3.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유리 선량계는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값에 비해 두 종류 측정기로 측정한 선량값이 모두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각각의 선량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 오차의 영향과 선량계를 부착한 부위가 고정되기 쉽지 않고 움직이기 쉬운 부분이라는 신체적 특성의 영향에 따른 차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kin dose using the glass dosimeter and diode and to compare those measurements to the planned skin dose from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For the reproducibility of the glass dosimeter (ASAHI TECHNO GLASS CIRPORATION, Japan), the same dose was irradiated to 40 glass dosimeters three times, among which 28 with the reproducibility within 3% were selected for the use of this study. For each of 27 breast cancer patients, the glass dosimeters and diodes were attached to 4 different locations on the skin to measure the dose during treatment. All the patients received one fraction of 180 cGy each. The maximum difference of measurements between the glass dosimeter and diode at the same location was 3.2%. Comparing with the planned skin dose from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Eclipse v6.5, Varian, USA), the dose measured by the glass dosimeter and the diodeshowed on an average 3.4% and 2.3% difference, respectively. The measured doses were always less than the planned skin dose. This may be due to the specific errors of both detectors. Also, the difference may be caused by the fact that since the skin where the detectors were attached is pretty moveable, it was not fix the detectors on the skin.

      • 온톨로지 기반 DTD 필터링 및 정합에 의한 XML 질의 시스템

        김명숙 ( Myung Sook Kim ),노영주 ( Young Ju Noh ),공용해 ( Yong Hae K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XML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와 의미적 태그의 사용은 구조와 내용에 기반 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구조와 형식이 매우 다양하게 표현되므로 정보검색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효율적인 XML 정보검색을 위해, 본 논문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검색에 적합한 문서만을 선별하는 문서여과 방법, 대상문서에 적합한 최소한의 질의생성을 위한 온톨로지 정합 방법 그리고 문서에 내재된 의미적 정보의 검색을 위한 정합된 온톨로지 기반의 질의확장 방법을 각각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 및 효율은 예제 XML 및 DTD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되었다.

      • KCI등재

        Head Mount Display (HMD)를 이용한 안구의 고정 및 감시장치의 임상사용 가능성 확인

        고영은,박성호,이병용,안승도,임상욱,이상욱,신성수,김종훈,최은경,노영주,Ko, Young-Eun,Park, Seoung-HO,Yi, Byong-Yong,Ahn, Seung-Do,Lim, Sang-Wook,Lee, Sang-Wook,Shin, Seong-Soo,Kim, Jong-Hoon,Choi, Eun-Kyung,Noh, Young-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07 의학물리 Vol.18 No.1

        CCD 카메라가 부착된 head mounted display (HMD)를 이용하여 포도막 흑색종(uveal melanoma)을 치료하기 위해 외부 침투적 고정장치 없이 안구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는 안구의 고정 및 감시장치를 제작하여 임상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구 고정 및 감시장지 시스템은 환자의 안구를 고정시키기 위해 환자의 초점을 일정하게 해 줄 수 있는 스크린이 달린 head mount display (HMD) 장치와 고정된 안구를 감시할 수 있게 HWD에 부착시킨 CCD 카메라, 그리고 환자의 머리를 고정시키는 마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CCD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는 HMD를 마스크 위에 부착하여, HMD의 스크린에서 보여주는 기준점을 환자가 주시하도록 하여 환자의 안구를 고정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4명의 지원자와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시행하는 한 명의 포도막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4명의 지원자에게서는 셋업에 따른 오차와 안구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자료를 얻었고, 한 명의 환자에게서는 임상 사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환자는 HMD를 착용한 후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기준점에 안구를 고정시킨 후, CT 촬영을 하였다. 방사선 수술기간 동안에도 치료 전에 치료계획을 위한 CT 촬영 시와 동일한 조건에서 매일 CT 촬영을 시행하였고, 이것을 치료계획을 위해 촬영한 CT 영상과 비교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수정체의 움직임을 비교하였다. 4명의 지원자의 자료에서 얻은 셋업에 따른 오차는 1mm 이내였으며, 안구의 움직임도 2mm 이내의 오차범위 내에 고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안구의 고정 및 감시장치는 외부 침투적 고정장치 없이 환자의 안구를 성공적으로 고정시켜 포도막 흑색종의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자체 제작한 안구의 고정 및 감시장치의 임상 사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system to non-invasively fix and monitor eye by a head mounted display (HMD) with a CCD camera for stereotactic radiotherapy (SRS) of uveal melanoma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clinically. The eye fixing and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a HMD showing patient a screen for fixing eyeball, a CCD camera monitoring patient's eyeball, and an immobilization mask. At flrst, patient's head was immobilized with a mask. Then, patient was Instructed to wear HMD, to which CCD camera was attached, on the mask and see the given reference point on its screen. While patient stared at the given point in order to fix eyeball, the camera monitored Its motion. Four volunteers and one patient of uveal melanoma for SRS came into this study. For the volunteers, setup errors and the motion of eyeball were analyzed. For the patient, CT scans were peformed, with patient's wearing HMD and fixing the eye to the given point. To treat patient under the same condition, daily CT scans were also peformed before every treatment and the motion of lens was compared to the planning CT Setup errors for four volunteers were within 1mm and the motion of eyeball was fixed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For the patient with uveal melanoma, the motion of lens was fixed within 2mm from daily CT scans. An eye fixing and monitoring system allowed Immobilizing patient as well as monitoring eyeball and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treatment of uveal melanoma for SRS.

      • 이온화 방사선에 의한 TIMP1 , TIMP2 유전자 발현 측정

        박건구(Kun-Koo Park),진정선(Jung Sun Jin),박기영(Ki Yong Park),이연희(Yun Hee Lee),김상윤(Sang Yoon Kim),노영주(Young Ju Noh),안승도(Seung Do Ahn),김종훈(Jong Hoon Kim),최은경(Eun Kyung Choi),장혜숙(Hyesook C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고 염증, angiogenesis, fibros i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IMP 유전자는 여러 cytokine 및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이므로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을 측정하고 전사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암 환자의 병변에서 유도하여 확립한 두경부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의한 TIMP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를 측정하고 transwell을 이용한 invasion assay로 전이성을 측정하였다. TIMP1, TIMP2 발현은 conditioned medium을 취해 ELISA assay로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는 2 Gy, 10 Gy군으로 나누어 관찰했고 조사 후 시간 간격은 24, 48시간이었다. MTT assay로 생존세포 수를 측정하여 방사선 세포치사로 인한 발현 변화를 보정하였다. hTIMP1 promoter region을 PCR하여 pGL2- basic luciferase reporter vector에 cloning하여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이입하여 functional TIMP1 발현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였고 protein kinase C(PKC) activator인 PMA (phorbol 12-myristate 13- acetate)와 Ras에 의한 TIMP1 발현이 유도되는지 확인하였다. 결 과 :HN- 1, HN-2, HN-3, HN-5, HN-9 세포주의 D0는 각각 1.55 Gy, 1.8 Gy, 1.5 Gy, 1.55 Gy, 2.45 Gy 이었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조사 후 MTT assay에 의한 cell viability는 24, 48시간에서 2 Gy인 경우 모두 94% 이상 그리고 10 Gy에서는 73% 이상의 생존 세포를 확인하였다. TIMP1, TIMP2 단백의 basal 농도는 24시간 48시간에서 점점 증가하여 세포에서 계속 합성되어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Gy 조사 후 24시간에서 TIMP2는 HN- 1, HN-9 세포주에서 감소하였으나, 10 Gy 조사 후에는 두 세포주에서 모두 증가하여 방사선량에 따라 반응이 달랐고, 방사선조사 후 48시간에는 HN- 1세포주에서는 증가하나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여 세포주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한 TIMP1 발현 변화는 미미하였다. TIMP1 reporter gene을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transfection하고 PMA (100 ng/ml)을 가한 경우 HN- 1세포주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고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였다. Ras 발현 벡터와 co- transfection한 경우 TIMP1 promoter가 활성화 되었다. 결 론 :모두 두경부 암에서 유래된 세포주 이지만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 및 전사조절 기전은 세포주 마다 차이가 있었고 이온화 방사선의 용량에 따라서, 방사선조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TIMP 발현에 차이가 있었 다. 이 결과는 TIMP의 전사 및 발현이 여러 종류의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이 signal molecule들이 각 세포주 마다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Purpose : Express ion of TIMP, intrins ic inhibitor of MMP, is regulated by s ignal transduction in response to genotoxins and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step in metastas is , angiogenes is and wound healing after ionizing radiation. Therefore, we studied radiation mediated TIMP express ion and its mechanism i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 Materials and Me thods : Human head and neck ca ncer cell lines established at Asan Medical Center were used and radiosens itivity (D0), radiation cytotoxicity and metastatic potential were measured by clonogenic assay, MTT assay and invas ion assay, respectively. The conditioned medium was prepared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2 Gy and 10 Gy irradiation and express ion of TIMP protein was measured by Elisa assay with specific antibodies against human TIMP. hTIMP1 promotor region was cloned and TIMP1 luciferase reporter vector was constructed. The reporter vector was transfected to AMC- HN- 1 and-HN-9 cells with or without express ion vector Ras , then the cells were exposed to radiation or PMA, PKC activator. EMSA was performed with oligonucleotide (- 59/- 53 element and SP1) of TIMP1 promotor. Results : D0 of HN- 1, - 2, - 3, - 5 and - 9 cell lines were 1.55 Gy, 1.8 Gy, 1.5 Gt, 1.55 Gy and 2.45 Gy respectively. MTT assay confirmed cell viability, over 94% at 24hrs , 48hrs after 2 Gy irradiation and over 73% after 10 Gy irradiation. Elisa assay confirmed that cells secreted TIMP1, 2 proteins continuous ly. After 2 Gy irradiation, TIMP2 secretion was decreased at 24hrs in HN- 1 and HN- 9 cell lines but after 10 Gy irradiation, it was increased in all cell lines . At 48hrs after irradiation, it was increased in HN- 1 but decreased in HN-9 cells . But the cha nge in TIMP secretion by RT was mild. The transcription of TIMP1 gene in HN- 1 was induced by PMA but in HN-9 cell lines , it was suppressed. Wild type Ras induced the TIMP- 1 transcription by 20 fold and 4 fold in HN- 1 and HN- 9 respectively. The binding activity to - 59/- 53, AP1 motif was increased by RT, but not to SP1 motif in both cell lines . Conclusions :We observed the difference of expresson and activity of TIMPs between radiosens itive and radiores istant cell line and the different s ignal transduction pathway between in these cell lines may contribute the different radiosens itivity. Furthe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adiation response and its s ignal pathway of TIMPs is needed.

      • KCI등재

        일회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마우스 구강점막염 모델의 확립

        류승희(Seung-Hee Ryu),문수영(Seung-Hee Ryu),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안승도(Seung Do Ahn),송시열(Si Yeol Song),박진홍(Jin-hong Park),노영주(Young Ju Noh),이상욱(Sang-wook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두경부 영역에 대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로 유발되는 급성 합병증 중에서 가 장 심각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방사선 구강점막염 모델을 확립하고 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에는 7∼8주령의 20 g 내외의 웅성 BALB/c 마우스 55마리를 사용하였다. 1주일간 순화 후 대조군 5마리를 제외하고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3군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두경부에 각각 16, 18, 2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 2, 3, 5, 7, 9, 14일째 마우스를 경추탈골사 한 후 설조직을 채취하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으로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군의 경우 5일 이후 급격한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18 Gy와 20 Gy군에서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16 Gy군에서는 5일부터 9일까지는 평균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되었다.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방 사선조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상피층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편평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일과 9일째에 가장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평균 113.50±2.41μm이던 상피층 두께가 방사선조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그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7일째에는 43.9% 감소한 63.70±3.28μ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p<0.0001). 14일째에는 121.00±2.82μm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BALB/c 마우스에서 방사선조사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적절한 방사선 선량은 16 Gy였다. 또한 구강 내 상피조직의 현저한 손상은 방사선조사 후 7일과 9일째 관찰할 수 있었고 9일째에는 심각한 궤양화가 나타났다. 18 Gy와 20 Gy 조사 후 9일과 10일째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지만 16 Gy 조사군에서는 14일째 조직 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Purpose: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otherapy to the head and neck area, is a common acute complication and is considered as the most severe symptom for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treatment. This study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oral mucositis mouse model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for the facility of testing therapeutic candidates which can be used for the oral mucositis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fiv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16 Gy, 18 Gy, and 20 Gy. Oral mucositis was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to the head and neck using 6 MV x-Ray from linear accelerator. After irradiation, body weight and physical abnormalities were checked daily. Tongue tissues from all groups were taken on days 1, 2, 3, 5, 7, 9, and 14, respectively and H&E staining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changes. Results: Body weight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day 5 in all irradiated mice. In the 16 Gy treatment group, body weight was recovered on day 14. The histology data showed that the thickness of the epithelial cell layer was decreased by the accumulated time after radiation treatment, up to day 9. Severe ulceration was revealed on day 9. Conclusion: A single dose of 16 Gy is sufficient dose to induce oral mucositis in Balb/C mice.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Balb/C mice on days 7 and 9 after radiation. It is suggested that this mouse model might be a useful standard tool for studying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ation.

      • SCOPUSKCI등재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 영역 하연의 개별화

        박석원(Suk 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허승재(Seung Jae Huh),전호경(Ho Kyung Chun),강원기(Won Ki Kang),김대용(Dae Yong Kim),임도훈(Do Hoon Lim),노영주(Young Ju Noh),이정은(Jung Eun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 적:직장암의 림프액 배액의 주된 경로는 종양의 위치가 항문환에 근접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근위부를 향하므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조사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에 따를 경우 하부 골반강과 회음부에 불필요한 방사선조사를 하게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 수술 문합부로부터 2 cm 내지 3 cm 하방으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치료 실패의 양상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4년 9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근치적 하전방 절제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Modified Astler-Coller (MAC) 병기 B2에서 C3까지인 88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환자 수는 각각 44명씩이었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7세(32-81세)였다. 2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저용량의 5-fluorouracil을 포함한 항암 화학요법을 병용하였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6, 10, 15 MV X-ray를 이용하여 후전-좌우 대향의 3문 조사법으로 전골반부에 45 Gy와 종양 병소부위에 6 Gy를 5.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연구 기간 초기의 16명의 환자에서는 전통적인 방사선조사영역 결정법을 적용하여 폐색공 하단, 또는 수술 문합부의 2 cm 내지 3 cm 하방 중에서 보다 낮은 쪽을 방사선조사영역의 하연으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7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문합부에서 2 cm 내지 3 cm 하방에서 조사영역 하연을 개별적으로 결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개별화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으로 55명(76%)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 두 군에 대해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생존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예후 인자의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추적 관찰 기간은 7개월부터 58개월이었으며, 중앙 추적기간은 27개월이었다. MAC 병기로 구분시 B2가 32명(36%), B3가 2명(2%), C1이 2명(2%), C2가 50명(57%), C3가 2명(2%) 이었다. 전체 환자의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94%와 68%였으며, 2년과 4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6%과 58%였다. 첫 치료 실패로서 국소 재발이 4명, 원격전이가 14명, 그리고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가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 결정을 전통적인 방법을 적용한 군과 수술 문합부의 위치에 따라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군을 비교하여 볼 때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2, p=0.68). 종양 색전자의 존재는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관찰되었다. 결 론: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환자들의 병소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하연 결정방법에 비하여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생존율에 있어서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방사선치료 부작용과 후유증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When determining the lower margin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iel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recommended by Gunderson), the organs located in the low pelvic cavity and the perineum are vulnerable to unnecessary radi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on the failure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Authors included 88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MAC) stages from B2 through C3,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nd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rom Sept. 1994 to May 1998 at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The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44 and 44, and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2-81 years). Three field technique (posterior-anterior and bilateral portals) by 6, 10, 15 MV X-rays was used to deliver 4,500 c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600 cGy's small field boost to the tumor bed over 5.5 weeks. Sixteen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by traditional field margin determination, and the lower margin was set either at the low margin of the obturator foramen or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whichever is lower. In 72 patients, the lower margin was set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irrespectively of the obturator foramen, by which the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was possible in 55 patients (76%). Authors evaluated and compared survival,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se two groups. Results: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7 months (range:7-58 months). MAC stages were B2 in 32 (36%), B3 in 2 (2%), C1 in 2 (2%), C2 in 50 (57%), and C3 in 2 (2%) patients, respectively. The entire patients' overall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94% and 68%, respectively,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86% and 58%, respectively. The first failure sites were local only in 4, distant only in 14, and combined local and distant in 1 patient,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p=0.42, p=0.68) between two groups of different lower margin determination policies. Conclusion:The new concept in the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depending on the anastomotic site has led to the equivalent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radiation-related morbidity by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lower margin 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