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 시대의 소비자 연구 제안

        나종연 ( Jong Youn Rha ),김학균 ( Hakkyun Kim ),김학진 ( Hackjin Kim ),이유리 ( Yuri Lee ),이진명 ( Jin Myong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최근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CSV는 아직 생소하고 모호한 개념으로 공유가치가 정확하게 무엇이며,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CSV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CSV가 실무영역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SV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CSV를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향후 연구의 방향과 실천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CSV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을 재분배를 통해 사회에 환원하는 CSR과 달리 사회적 문제를 기업의 경제활동과 일체화시켜 기업과 사회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의 총량을 확대하는 발상의 전환을 의미한다. CSV는 사회적 문제를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보았다는 점에서 분명한 강점을 지니나 이론적 독창성과 개념의 모호성, 지나치게 이상적이라는 점 등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아직 태동기에 있는 CSV 패러다임이 건강한 사회, 건강한 자본주의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가치창출에 관련된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학문영역에서는 사회적 가치의 정의 및 CSV 혜택의 범위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고, 공유되는 가치 영역의 최적점(optimal point)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및 가치의 하위요소들 간의 갈등과 이를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CSV의 패러다임이 기존 자본주의의문제를 극복하고 사회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orter와 Kramer가 기업만을 CSV의 주체로 본 것에서 나아가, 소비 의사결정의 주체인 소비자의 영향력과 역할 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The term CSV(creating shared value) which refers to the notion of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value simultaneously has been gaining a lot of attention lately. The idea was first introduced in 2011 by Porter and Kramer, and soon it became sensation among leading companies all over the world, Korea being no exception. As Korea recently experienced market problems where economic value such as efficiency and social value as reviving small business collide, CSV beca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Korea, too. CSV has the obvious advantage in the point of seeing a social problem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corporate competitiveness. However CSV is only a recent concept and its limits have been raised which include the lack of theoretical originality, conceptual ambiguity, and excessive idealism. CSV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 where only framework concept is presented. A review of Korean literature on the topic revealed that research thus far have been limited to the topic of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and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the notion of CSV has not yet been cleared distinguished from the notion of CSR. Also, the number and scope of research on the topic thus far is very limi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CSV, the market environment and changes behind the introduction of CSV was reviewed, and the notion of CSV will be comprehensively explained. Second,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s that CSV has are critically investigated. Third, future subjects of study and practical tasks with regard to CSV are proposed. An integrative effort of all members of society in relation to value creation is required for CSV implementation. A company should make the structure of company in general so that CSV implementation is possible. And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ould actively support and cooperate so that the company can sufficiently display ability that the company has. Besides, consumers should recognize a role of consumer citizen, and should take an interest in the activities of company,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the academic area,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created value and the range of benefits through CSV.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find what is intersection of sets of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previously regarded as antagonistic to each other, and to find the optimal point of shared value area. Besides, we should carry out a study on a conflict between the stakeholders concerned in CSV and a plan of relieving it. We should eventually think whether the paradigm of CSV can overcome the problem of conventional capitalism and can act as an engin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expanding a discuss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and role of consumer that is the subject of consumption decision-making, going further than Porter and Kramer``s study that regarded only company as the subject of CSV.

      • KCI등재

        유통채널 이용 특성에 따른 지역농산물 소비자 유형화 연구

        나종연(Rha, Jong-Youn),전윤선(Chun, Yunsun),이보한(Lee, Bohan),한슬기(Han, Seulgi),고주희(Ko, Juhui)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1

        지역농산물 소비는 소비자와 지역사회, 환경 전반에 기여하는 바가 크므로 지역농산물 소비 활성화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구매채널이 다변화되는 유통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지역농산물 소비행태를 이해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지속가능한 지역농산물 소비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의 지역농산물 구매행태가 다변화되는 유통채널을 통해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채널 선택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 특성 차이 및 구매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며, 지역농산물 소비에 따른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접 지역농산물을 구입하여 이용한다고 응답한 전국의 소비자 7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 검정, 일원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유형은 ‘다채널 이용집단’, ‘친환경 전문 채널 이용집단’, ‘전통적 채널 이용집단’, ‘대형 채널 이용집단’과 같은 네 집단으로 발견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지역농산물 구매 수준과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학력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지역농산물 구매 시 중요하다고 여기는 정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유형별로 구매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지역농산물 구매에 따른 만족도 역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용하는 구매채널에 따라 소비자들이 차별적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지역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sumption of local food contributes greatly to consumers,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s a whole,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sustain the activation of local food consumptio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sumer s consumption behavior of local food in a retail environment where shopping channels are diversified,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level to establish a sustainable local food consump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consum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the shopping channel by reflecting the recent changes i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local food through diversified channels.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each consumer type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level of shopping channel use.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on 767 consumers across the country who responded to directly purchasing local foo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consumers were found into four groups: ‘multi-channel user group’, ‘eco-friendly channel user group’, ‘traditional channel user group’, and ‘large retail channel user group’.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but also level of local food consumption, perception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with shopping channel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use of shopping channels differed by consumer type. Through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food in the long ter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consumers hav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channels they use.

      • KCI등재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정보탐색 유형 분석

        나종연 ( Jong Youn Rha ),구혜경 ( Hye Gyoung Koo ),김효정 ( Hyo Jung Kim ),이진명 ( Jin Myong Lee ),이해랑 ( Hae Rang Lee ),이화옥 ( Hua Yu Li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금융소비자보호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요즈음, 사후적 보호기제로서의 피해구제뿐만 아니라 사전적 차원에서의 소비자중심적 금융정보의 제공 및 설명의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금융상품이 어렵고 복잡하고 전문적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대인채널에의 의존도가 높은 등 다른 상품군과는 상이하기에 금융소비자가 어떻게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정보를 활용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금융상품을 보유한 소비자들이 금융상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어떠한 정보탐색을 실시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정보탐색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정보탐색유형화에서는 탐색하는 정보원천의 수를 기준으로 하지만, 정보를 탐색함에 있어 여러 원천을 다양하게 탐색하는 유형뿐만 아니라 제한된 원천을 심도 깊게 탐색하는 것 역시 중요한 탐색 과정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천 탐색의 다양성과 깊이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금융소비자의 정보탐색 유형은 저탐색형, 일반적 탐색형, 자기주도형, 설계사 확인형, 고탐색형 등 5가지로 유형화 되었으며, 저탐색형의 경우 38.8%, 일반적 탐색형이 26.2%로 나타나 금융상품의 경우는 정보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당히 많은 수의 소비자들이 금융상품을 탐색하는데 있어서는 정보취약자(information poor)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욱이 각각의 정보탐색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원인 파악을 위한 다항로짓 분석의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보다는 금융관여도, 금융관련 지식, 금융교육경험 등 금융관련특성 변수의 영향력이 실제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전적 차원에서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금융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금융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이 구체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유형별 특성의 단순 비교뿐만 아니라, 각 유형별로 금융상품 구매후 지표로 상품에 대한 만족도 및 보유상품정보에 대한 이해도 측정 및 비교를 통하여 금융정보정책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증명하였다. 저탐색형과 일반적 탐색형에 속하는 소비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정보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융 관련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금융상품에 대한 관여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맞춤형 금융소비자교육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이 미치지 못할 수도 있는 저탐색형 소비자에게는 찾아가는 금융서비스 제공 등과 관련된 새로운 차원의 정책적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e provision of financial information to consumers more effectively has become one of the key issues in financial consumer policy recently globally. To provide consumer centric information, the exact knowledge of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 and behavior is more important. Because the financial products are difficult, professional so that interpersonal channel was active in the market. The focus of this paper is exploring consumer``s financial information searching type. Specifically, we surveyed consumer financial information search channel by multi angle that are the width and depth of search channels although many research have checked just width of information search channel. And to compare the financial information search group characteristics, we measured financial experiences,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finance involvement. Furthermore to compare the post-purchase situation, we measured understanding level and satisfaction of their own financial products.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ive financial information search type that are low level search group, normal group, self-leading group, checking agent group, high level search group. Composition of low level search group and normal group are each 38.8% and 26.2%, so many consumers didn``t work actively to search information to buy financial products. Through these result, we can expect the possibility many consumers being financial information poor. Also we confirmed the main variables to affect being belonged the other information searching type. As a result, The important variables to make search financial information actively are financial knowledges, financial involvement, the financial education experience, marriage and age. We argue that to protect consumer in financial market, the policy have to focus on understanding real consumer``s financial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next, have to apply customized policy to different consumer groups. This is an essential step f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이보한 ( Lee Bohan ),박서니 ( Park Sunny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나의 친환경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던 매장에 제품군을 추가하는 형태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예측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11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소비자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방문의도, 체류의도, 구매의도로 구성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 유사 선호 집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30.8%인 143명, 유사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262명인 56.3%,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60명으로 12.9%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소비가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각된 효용, 그리고 매장 관련 변수로 매장의 매력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소득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매장의 매력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장의 매력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소극적 소비자 집단에 속할 승산은 0.62배 낮아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이 하나의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매장의 매력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ifestyle store is a retail type that sells a variety of products meeting the consumer's specific valu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such as Patagonia, 10 Corso Como Milano have emerged as consumer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general level of eco-friendly consumption. Also,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type. We collected data from 465 Korean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7, 2018.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30.8%), indiscriminative group(56.3%), and eco-friendly lifestyle store non-preference group(12.9%)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visit, stay, and purchas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indiscriminate group were consumer value, perceived benefits of eco-friendly product, and store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compared with the indiscriminate group,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non-preference group.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style is increasing by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usage intention for eco-friendly lifestyle store, and that eco-friendly lifestyle has become one consumption behavior. Also, it was meaningful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is important because it predicts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which is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 KCI등재

        소비자의 건강관리활동 유형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나종연 ( Rha Jong-youn ),남영운 ( Nam Youngwon ),김지혜 ( Kim Jihye ),장유정 ( Chang Youchung ),장지수 ( Jang Jisu ),엄근선 ( Eom Kunsun ),문현석 ( Moon Hyunseok ),정명훈 ( Jung Myoung Hoon ),황정은 ( Hwang Jeong-eun ),김윤재 ( Ki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3

        ‘건강한 삶’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관리 활동을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관리 활동을 소비자들이 건강한 삶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실천하는 일상적이고 예방적인 활동으로 정의하여, 건강관리 활동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ㆍ심리적 기제를 설명하기 위해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소비자 유형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6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6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활동은 식이 활동, 보조기기 사용, 신체 활동 순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걷기, 달리기 및 자전거타기, 건강기능 식품 섭취, 식단 관리, 식사량 조절의 활동 수준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리 활동 수준에 따른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식이 활동, 보조기기 사용, 신체 활동의 활동 수준이 모두 높고 고소득 소비자의 비중이 높은 ‘적극적 활동형(31.4%)’, 모든 신체 활동의 수준이 높은 신체 활동 중심형(31.6%)’, 식이 활동과 건강 관련 보조기기 사용 수준이 높으며 고연령층과 기혼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식이 활동 중심형(18.4%)’, 모든 건강관리 활동 수준이 낮고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편인 ‘소극적 활동형(18.5%)’이라는 네 집단을 도출하였다. 셋째, 보호동기이론은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인의 건강상태를 취약하게 느낄수록 적극적 활동형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건강을 잃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건강관리 활동에 소극적인 성향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높아질수록 소극적 활동형 대비 신체 활동 중심과 식이 중심의 건강관리 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된 비용이 증가하면 적극적 활동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적극적 활동형, 신체 활동 중심형, 식이 활동 중심형을 비롯해 모든 건강관리 활동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에 대해 체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보호동기이론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인지ㆍ심리적 요인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As a considerable interest in maintaining a healthy living has continued among consumer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essential part of their lives. Defining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s the use of consumers’ resources, we firstly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consumer engaged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dentified consumer seg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order to expla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e also demonstrated relationships between five components in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consumer segments.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1,063 respondents aged between 20’s and 60’s, we suggested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dietary activities are found to be the most engag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ollowed by the use of health care devices and physical activities. In specific, walking and jogging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taking a dietary supplement, managing diet and restricting calories. Second, four consumer segments were identified:(1) highly active consumers(31.4%) who were the most engaged in every kind of health promotion activity, physically vigorous consumers(31.6%) who were the second most vigorous consumers in all physical activities, dietary adherers(18.4%) showing the highest engagement in all dietary activities, and passive consumers(18.5%) who displayed the lowest engagement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Lastly, demonstrating the role of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e found perceived benefit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being physically vigorous consumers and dietary adherers, while perceived costs increase the likelihoods of being highly active consumers.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being highly active consumer, physically vigorous consumer and dietary adherers compared to passive consumers. Consumers who reported lower scores in perceived vulnerability in their healthiness are more likely to be highly engaged consumers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Perceived severity of the consequences of unhealthy conditions increased the likelihoods of being passive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nsumers and underlying cogni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demonstrating a role of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KCI등재

        아동 소비자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김지혜 ( Kim Jihye ),한슬기 ( Han Seulgi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정보주체로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고,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은 연령별 온라인 이용행태와 발달수준이 매우 상이하여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방안을 고려할 때 아동을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상호작용하는 가족적 맥락의 접근이 필요하며, 연령에 따라 역량 강화 방안의 주체와 초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아동은 인지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정보주체로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 이에 법정대리인의 역할이 중요하나 부모 또한 온라인상에서 개인정보보호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역량 강화 교육과 함께 부모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넷째, 현행의 법정대리인 동의 제도만으로는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 등 추가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약관에 그림/영상/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여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아동 친화적 고지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 개인정보보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기존에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아동을 중심으로 연령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으며, 아동의 발달수준 및 역량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ldren’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online privacy protection of Koreans in order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as consumers.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27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garding online privac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with 617 completed responses from October 29 to November 4, 2019.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nline usage pattern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pply a polic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bdivided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online usage behavior. On top of that, in a similar way of above statement, the involvement and control of parents in online us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child’s age.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nline privacy education through family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on with parents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higher gra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for the online privac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mpowered their own competencies. Another point is that both the cognitive developments of children and the abilit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as an information subject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role of the legal representative is important; however, the competencies of parent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is low. As a result of the above statement, parental competency education for online privacy is required along with child competency education. Furthermore, the current legal representative consent system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in the online environment, indicating that additional the supplementary policy is needed to reflect this reality. Even though it is not an online service provider directed to children, that is targeted to children are necessary to consider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child protection. Lastl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rivacy policy.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how to provide privacy policy formats so that children can choose suitable types dependence on their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