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수용성 감광성 고분자의 합성에 관한 연구

        김흥주,김대진,홍성일,Kim, Heung-Ju,Kim, Dae-Jin,Hong, Seong-Il 한국섬유공학회 198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22 No.2

        Styrene and vinyl acetate were copolymerized with maleic anhydride respectively by solution polymerization and each polymer was reacted with -hydroxyethylcinnamate and -hydroxybutylcinnamate respectively in the methyl ethyl ketone at 80℃. The photosensi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kinds of polymer were investigated by using yield of residual film and IR spectra. Benzophenone, Michler's ketone, 5-nitroacenaphthene, and 2-nitrofluorene were used as a sensitizer. The best yield of residual film was obtained when the benzophenone, Michler's ketone, 5-nitroacenaphthene, and 2-nitrofluorene were added to the resin by weight percentage of 8, 8, 5, and 8 respectively. Among the four sensitizers, 5-nitroacenaphthene had the best sensitivity for the water soluble photosensitive polymers.

      • KCI등재

        한국의 먹거리 보장 실태와 정책과제

        김흥주 ( Kim Heung-ju ),이해진 ( Lee Hae-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2

        먹거리 위험사회일수록 그 사회 전체가 지속가능하지 않고 불확실한 미래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제대로 된 먹거리 보장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의 먹거리 문제 인 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먹거리 문제를 사회구성원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으로 받아들이지도 않았고, 먹거리에 대한 양적ㆍ질적 욕구를 사회적 욕구로 인정 하는 데에도 매우 인색하였다. 때문에 체계적인 먹거리 보장 정책이나 복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식 빈곤층과 기초생활수급 자에 대한 `공공급식`을 지원하는 수준이었다. 이렇게 먹거리 보장 정책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첫째, 먹거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철저하지 않다는 것이다. 결핍문제 해결을 먹거리 보장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먹거리 위기를 인식하 는 데에 생산자와 소비자, 절대 빈곤계층과 상대적 부유층, 시장주의자와 생태주의자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이렇기 때문에 먹거리 연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으며, 결 과적으로 먹거리 문제해결에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먹거리 문제를 개인적 차원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먹거리는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먹거리 공급연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과 관련된 문제이며, 경제ㆍ사회ㆍ환경에서부터 건강ㆍ교육ㆍ문화에 이르는 많은 분야들에 널리 걸쳐 있는 문제다. 시장성 보다는 공공성으로 풀어야 한다. 새로운 먹거리 보장 정책에는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The riskier a society`s food system becomes, the more unsustainable and uncertain the future of the society will be. Being concerned about food safety can be regarded as a core characteristic of a food risk society. That is the very reason why we need a well-designed policy to secure food safet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blic`s perception of food safety problems remains low in Korea. Korean people are unwilling to acknowledge food safety problems as a general social risk. The dearth of systematic policies and welfare programs regarding foods safety can be ascribed at least in part to lack of public interest in food safety. Current foods-related policies remain focused only on providing `public catering services` for those who live under the minimum wage level. Why food security policies are underdeveloped in Korea? First, the level of people`s perception about foods security remains low. Secondly, there have been some serious discrepancies in the understanding of food crisi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between those living in absolute poverty and those enjoying relatively wealthy lives, and between those who are market-oriented and ecology-oriented. Third, people tend to view food problems only as personal concerns. On the contrary, the food problems should be regarded as community problems in which all participants in the food supply chain, from producers to consumers, are involved. Food problems, therefore, are social problems, not personal ones, and because of the very social factors they have, should be approached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These changes in viewpoints are prerequisites for initiating a new food security polic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특징

        김흥주(Kim Heung Ju),박길태(Park Kil Ta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일반가정 청소년과 비교 분석하면서 그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문화 청소년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정책 과제를 모색하고자 전북 익산지역의 다문화청소년 89명과 일반청소년 127명을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조사결과 다문화 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의사소통이나 관계형성이 미숙하였고,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에서도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 문화, 경제차원에서 다층적 욕구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육복지, 문화복지, 지역복지 체계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중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다문화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소득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경제적 안정이야말로 문화욕구와 교육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between multi- cultural family youth and Normal family youth.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ir lives and welfare needs to help facilitate policy setting about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you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89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127 teenagers of a single Korean racial background in Iksan city, Chonbuk Provi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elected teenagers, the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lagged behind the teens of a single Korean racial background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t home and school. Community resources were less accessible to the former as well, and the former eventually had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cultural and financial needs. Therefore educational, cultural and community care systems should be built to address the educational, cultural and economic divide. First of all we must be searching for income increasing program for solution to that economic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conomic stability make a satisfy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needs and educational needs possible.

      • KCI등재

        생협운동의 변화와 생협복지주의

        김흥주(KIM Heung-Ju),이현진(LEE Hyun-Jin),김철규(KIM Chul-Kyoo) 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학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의 대안 먹거리 운동의 하나인 생협 활동을 복지주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친환경 먹거리의 소비를 위해 시작된 생협은 최근 들어 보다 포괄적인 생활문화운동으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도시 공동체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생협복지주의는 이전의 조합원 중심의 소극적 활동에서 벗어나 안전한 먹거리를 포함한 생협의 다양한 혜택을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생협의 새로운 가치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는 새로운 생협운동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참여형 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돌봄 위기를 정부나 시장의 서비스에만 의존하여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의 힘으로 해결하려는 주체적인 활동이 '참여형 복지'의 실천이다. 둘째, 사회적 돌봄을 실현하고, 전문서비스를 제공한다. 생협은 상호 호혜적 관계를 통해 돌봄을 주고받을 수 있어 '돌봄 공동체'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조합원만의 이익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던 생협이 유연하게 조직을 개방하고 다양한 시민단체 등과 연계하면서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가고 있다. 이 연구의 사례는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한 '울림두레생협'(구 마포두레생협)이다. 울림두레생협은 성미산 마을이라는 지역적 배경과 성미산 지키기 운동이라는 시민운동을 배경으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조합원과 더불어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생협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돌봄 두레'와 같은 복지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어 생협복지주의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공공성보다는 사적 이해가 우선시되며, 마을공동체 활동에 주민 참여가 제한적이고 자발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로 남아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Saenghyop, which is the main form of alternative food movement, from 'cooperative welfare' perspective via a case study. Saenghyop began as an effort to consume safe organic food. Yet, they have evolved into a more comprehensive cultural movement of everyday life, which is developing into a new model of community in the cities. Cooperative welfarism means a new value of sharing the benefits of Saenghyop including organic food. In order to realize this new value, recent Saenghyop activities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y emphasize participation. Caring is regarded as something that involves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of Saenghyop and not a service that is provided by either the government or market. Second, specialized caring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through face-to-face relationship. Mutual recipro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ing community' of Saenghyop. Third, Saenghyop have become an crucial base of community care. Saegnghyop, which was a closed system in pursuit of member interest, have become more open to the public and non-members by connecting with other citizens' organizations. Our case is Ulim Doore Saenghyop(Mapo Doore Saenghyop) located in Seongsan-dong, Mapo, Seoul. Ulim Doore Saenghyop has its roots in Seongmi-san(Mt.) village and it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due to a social movement to protect Seongmi-san(Mt.). As a result of the movement, Ulim Doore Saenghyop has evolved into a Saenghyop embedded in local residents. It is a good case of cooperative welfarism being realized in reality. Yet, it does have room for improvement as only limited number of core resi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building community.

      • KCI등재

        국가의 ‘가족 만들기’와 과잉기획의 한계 -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분석

        김흥주(Kim Heung-Ju)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2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저출산ㆍ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문제와 맞물려 새롭게 부가되고 있는 가족정책이 정치적으로 실현가능하고, 경제적으로 부담가능하며, 사회적으로 수용가능한 것으로 정착될 수 있는 가를 검토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04년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 규정에 의해, 2006년 수립된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을 대상으로 사업내용과 특성, 그리고 정책 지향과 실천의 가능성과 그 한계를 검토해보았다. 검토 결과는 그리 낙관적이지 않았다. 정책지향은 적극적인 국가개입이지만, 현실은 선언적이고 당위적 성격의 정치적 수사나 사회적 담론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이념지향과 현실의 괴리도 문제로 지적할 수 있었다. 부앙과 돌봄노동의 사회화를 지향하지만 현실의 가족부양체계는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가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지만 현실의 새로운 가족주의는 ‘가족에 의한’ 복지체제를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기본계획이 기획하고 있는 ‘건강가정’은 실제로 존재하는 가족이기 보다는 국가가 정치경제적 필요성에 의해 ‘만들고자’ 하는 허구의 가족일 수 있다는 점도 주시할 필요가 있었다. 이런 점에서 향후 가족정책은 가족인지ㆍ성인지 관점에서 재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제도나 이념의 가족이 아니라 현실의 가족을 대상으로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the family policy, newly getting public attention these days with regard to the demographic problems of low fertility and aging, can be effective as a politically feasible, economically affordable, and socially acceptable measure. For this purpose, the paper reviews the 1st. Base Plan for Strong Families(BPSF) made in 2006 according to the mandate of the 2004 Strong Family Law, focusing on its contents, characteristics, policy orientations, plausibility of policy instruments, and limitations. Results are not optimistic. Apparently, its policy orientation is state-interventionism, while in reality the plan still remains as an amalgam of political rhetoric and social discourse filled with declarative and normative assertions. Its ideological orientation also doesn"t fit well with reality. Although the plan aims to socialize the burden of support and care work, actually family support system still remains powerful. Social responsibility for family is emphasized, while a new familism in reality still accentuates "welfare by the family."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strong family" which the plan aspires after can simply be a fantasy with no substance in reality. It might be a "fictitious" family which the state wants to "build" for its own politico-economic purposes. With these findings in view, current family policies need to be reconstructed from family-sensitive and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Family policies have to be made with a focus on families in reality and individual needs of their members, not on a family existing only in an ideological conceptualization.

      • KCI등재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 간 재정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시·군 권역별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흥주 ( Kim Heung Ju ),강인호 ( Kang In 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간 재정불평등도를 살펴보고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불평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159개 시·군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엔트로피 지수, 지니계수를 활용하여 각 권역별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의 5개집단으로 구분하여 당초 지방세 징수, 지방세 비과세· 감면이 시행된 이후에 지역 간 재정불평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교적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지역 간 재정불평등도는 전라도와 경상도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과세가 실시된 이후에 불평등도가 대체적으로 높아졌으나 감면의 경우 불평등도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수요자를 인구수로 보았을 때 지방세 비과세·감면 실시 이후 경상도와 충청도를 중심으로 불평등도가 악화된 반면 기준재정 수요액을 기준으로 할 경우는 충청도와 강원도의 불평등도가 악화되었다. 셋째, 각 권역별 요인분해에서도 연도별, 재원별 모두 자치단체 내의 불평등도가 자치단체간의 불평등도 보다 그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방세 비과세 제도가 지역 간 재정형평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inequalities and analyze the effect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 on financial inequality. Using the entropy index and the Gini coefficient, 159 local governments except Jeju Island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gional inequalities by dividing into five groups of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Gangwon Province, Jeolla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latively meaningful results were obtained. First, Regional inequalities of finance were higher in Jeolla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Second, inequality has increased largely after the tax exemption, but the reduction in inequality has been relatively small. When the demander was considered as the population, the inequality had worsened since the tax reduction and exemption was implemented mainly in Gyeongsang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On the contrary, when the demander is based on the standard financial demand, the inequality between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s deteriorated. Third, factor decomposition of each region, inequality in municipalities was more influential than inequality among municipalities in both year and financial sources. In particular, local tax exemption system worsened regional equ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ax reduction and exemption system.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규제정책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환경오염행위 신고포상금제도를 중심으로-

        김흥주 ( Heung Ju Ki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규제정책에 있어서 신고포상금제도가 왜 확산되고 시행되었는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환경 규제순응 제고수단으로서 환경오염행위 신고포상금제도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환경오염 행위 신고포상금제도를 채택한 각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내부적 결정요인으로서 경제적요인(자체재원, 정책사업 예산 비중, 지역소득), 정치·행정적요인(선거시기, 단체장 정치적 성향, 단체장 경력, 단체장 선거공약, 환경문제에 대한 제도적 기틀), 사회적 요인(인구수, 주민투표율, 공익집단으로서 환경단체, 기업집단으로서 사업체)이, 그리고 외부적 결정요인으로서 이웃효과가 환경정책의 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일정한 기간 동안 변수들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는 패널 로짓 분석(panel logit analysis)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자체예산, 정책사업 예산 비중, 선거시기, 단체장 정치적 성향, 단체장 공약, 제도적 기틀, 지방투표율, 환경단체가 지방정부의 환경오염행위 신고포상금 제도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diffusion of the report reward system for environmental pollution behavior adopted by local governments as a instrument of regulatory compliance for environment.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environmental policies and literature reviews both at home and abroad, but the factors that impact policy diffusion have not been analyzed. This study reviews report reward system for environmental pollution behavior adopted by 43 local governments from 2003 to November 2011, and analyzes the impact of internal determinants which include economic factors, consisting of self-generated revenue, percentage of policy project budget and regional incom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including election pledges, career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election time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issue, social factors including number of population, voter turnout, number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business group. The panel logit analysis, which allows the study on influences of the factors for a given period, is used. The results suggest that variables of regional diffusion, per capita self-generated income, spending on policy project, election time, political orientation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issue are most signific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