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적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이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휘곤 ( Hwi Gon Kim ),김승철 ( Seung Chul Kim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수술적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의 치료 시기에 따른 지질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총 227명을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전 자궁 적출술과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한 수술적 폐경 여성군 120명은 0.625 mg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를 투여하였고 자연 폐경 여성 107명은 0.625 mg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과 5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을 투여하였다. 3개월간 호르몬 치료를 받은 군을 단기간 치료군으로, 1년간 호르몬 치료를 받은 군을 장기간 치료군으로 정하여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LDL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호르몬 치료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적 폐경 후 3개월 경과군과 1년 경과군 모두에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폐경 후 3개월 경과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중성 지방은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수술적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치료는 혈중 지질 농도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Objectives: To evaluat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ERT) on lipid profile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120 surgically menopaused women after tot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oophorectomy and 107 natural postmenopausal women were enrolled. After surgical menopause, 28 women received 0.625 mg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and 32 women did not for 3 months, 28 women received and 32 women were did not for 1 year. Natural postmenopausal women received 0.625 mg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and 5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The effects of hormone therapy on plasma levels of lipids were investigated. Results: During hormone therapy,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or 3 months and 1 year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P<0.05). HDL cholesterol level raised at 3 month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05). Triglyceride level decreased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had not received ER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ERT had more beneficial effects on lipid profile in surgically menopaused women.

      • KCI등재

        매실(Prunus mume) 메탄올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의 apoptosis 유도 효과

        김휘곤(Hwi-gon Kim),김정호(Jeong-Ho Kim),허지안(Ji-An Heo),원영선(Yeong-Seon Won),서권일(Kwon-I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매실 메탄올 추출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을 제조하여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 RC-58T 및 PC-3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체 전립선암세포인 PC-3 및 RC-58T와 비교해보았을 때, LNCaP은 MMF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효과에 가장 민감했다. LNCaP의 형태학적 관찰과 apoptotic body 형성을 관찰해보았으며, MMF의 처리로 인한 형태의 변화, 핵 손상 및 응축을 확인했다. MMF의 처리로 인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성장억제 효과가 내인성 apoptosis 경로와 관련 있는지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 caspase-3, caspase-9, PARP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MMF와 AIF inhibitor인 N-phenylmalemide (N-PM)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AIF 및 Endo G의 발현 증가를 통해 외인성 apoptosis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PI3K inhibitor인 LY294002와 MMF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PI3K, p-Akt, p-mTOR의 발현 감소를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MMF의 증식억제 효과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 fraction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MMF) on LNCaP, PC-3, and RC-58T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s. Among these cell lines, LNCaP was the most sensitive to the inhibitory effects of MMF. Observation of the morphology and apoptotic body formation in the LNCaP cells revealed morphological changes, nuclear damage, and condensation in response to MMF treatment. The suppressive effect of MMF was related to the intrinsic apoptosis pathway, as indicat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proteins Bax, capase-3, capase-9, and PARP and decreased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protein Bcl-2. Combined treatment with MMF and the AIF inhibitor N-phenylmalemide (N-PM) indicated that MMF treatment alone had a significant growth suppression effect. The involvement of the extrinsic apoptosis pathway was also confirm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AIF and Endo G. The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MMF was also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the PI3K inhibitor LY294002 and MMF. The reduced expression of PI3K, p-Akt, and p-mTOR confirmed the involvement of the PI3K/Akt/ mTOR signaling pathway in regulating the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MMF. In conclusion, the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MMF in the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natural product in functional foods.

      • SCOPUSKCI등재

        Progesterone과 TGF-${\beta}1$에 의해 탈락막화가 유도된 인간 자궁내막세포의 삼차원 공배양이 2-세포기 생쥐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권욱현,김휘곤,이동형,고경래,이규섭,Kwon, Wook-Hyun,Kim, Hwi-Gon,Lee, Dong-Hyung,Ko, Kyung-Rae,Lee, Kyu-Sup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1

        목 적: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삼차원 공배양을 통한 탈락막화 유도에서 성호르몬과 TGF-${\beta}1$의 역할을 알아보고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가 유도된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와 영양막세포수 및 부착율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인간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된 기질세포와 상피세포의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분리를 확인하였으며, 성호르몬 우세환경 (progesterone, estrogen)에서 분리된 세포를 단일배양 혹은 3차원 공배양을 통하여 RT-PCR법으로 TGF-${\beta}1$, 수용체-1, -2, integrin-${\beta}3$, prolactin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배양액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 유도와 유도하지 않은 인간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부착율과 부화된 포배의 영양막세포와 내세포괴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상피세포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기질세포 표지인자인 vimentin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한 결과 각각 95% 이상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자궁내막조직으로부터 상피세포와 기질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단일배양에서는 성호르몬의 조건에 관계없이 TGF-${\beta}1$과 수용체 type-1, type-2, integrin-${\beta}3$, prolactin mRNA가 발현되지 않았다. 공배양에서는 progesterone 우세환경일 경우 TGF-${\beta}1$ 수용체 type-2를 제외한 모든 mRNA가 발현하였으나 estrogen 우세환경에서는 TGF-${\beta}1$ 수용체 type-2와 prolactin이 발현되지 않았다. 2-세포기 생쥐배아를 배양액군, 비탈락막군 및 탈락막군으로 나누어 공배양하였을 때 포배기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율 (92%)과 부착율 (82%)은 탈락막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비탈락막군의 공배양에서 다수의 영양막세포가 투명대를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은 상태로 부착한 비정상형태를 보였다. 부화된 생쥐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수는 탈락막화에 관계없이 공배양한 포배의 내세포괴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5), 영양막세포수는 탈락막군에서 배양액군과 비탈락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분리하여 다시 삼차원적 공배양을 통하여 progesterone (100 nM), estrogen (1 nM)과 TGF-${\beta}1$ (10 ng/ml)을 첨가하면 체외에서 탈락막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탈락막화를 유도한 자궁내막 세포와 2-세포기 생쥐배아를 공배양하였을 때 탈락막화가 부화율, 부착율 및 영양막세포수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2-cell mouse embryos. Methods: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were immunostained for cytokeratin and vimentin. Expression of TGF-${\beta}1$, its receptor-1, -2, integrin-${\beta}3$ and prolactin in mono or co-culture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hormone conditions was investigated by RT-PCR. Differential stain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ICM and trophectoderm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in different three conditions. Results: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ositive for cytokeratin or vimentin and confirmed that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were isolated from endometrial tissue successfully. In co-culture, TGF-${\beta}1$, its receptor-1, integrin-${\beta}3$ and prolactin except TGF-${\beta}1$-r2 were expressed in progesterone dominant condition.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were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p<0.05). However, we observed that lots of the incomplete hatched blactocysts attached on non-decidualized cells. The ICM number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was higher in co-culture with decidualized and non decidualized cells than media only culture (p<0.05). The trophectoderm number of hatched blastocyst was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than non-decidualized cells or media only culture (p<0.05).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progesterone, estrogen and TGF-$\beta$ could induce decidualization of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using 3-dimensional co-culture, and the decidualization of human endometrial cells could increase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of 2-cell mouse embryos.

      • KCI등재

        순수 자궁 지방종

        김승철 ( Seung Chul Kim ),김휘곤 ( Hwi Gon Kim ),서동수 ( Dong Soo Suh ),나용진 ( Yong Jin N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3

        Lipomatous tumors are the most common mesenchymal tumor. But, pure lipoma of the uterus is very rare and only few cases are reported in international literatures. These tumors usually develop in postmenopausal women and symptoms are similar to leiomyoma. We report a case of a pure uterine lipoma in 64-years-old woman presenting with palpable pelvic mass and voiding difficulty in which a preoperative diagnosis was made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n pathologically confirmed after the operation.

      • KCI등재

        유전자결핍 생쥐를 이용한 aquaporin-3의 태반 내 분포 및 기능 연구

        김하정 ( Ha Jeong Kim ),나용진 ( Yong Jin Na ),김기형 ( Ki Hyung Kim ),이동형 ( Dong Hyung Lee ),김휘곤 ( Hwi Gon Kim ),조무성 ( Mu Seong Jo ),정준양 ( Jun Yang Jung ),전미련 ( Mei Lian Quan ),배혜란 ( Hae Rahn Bae ),최욱환 ( Oo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Aquaporin (AQP) 3은 세포막을 통한 선택적인 수분과 글리세롤 이동을 촉진시키는 수분통로 단백질이다. 본 연구는 AQP3 유전자결핍 생쥐를 이용하여 태반에서 AQP3을 통한 수분 및 글리세롤 이동이 양수 및 태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재태 14.5일된 야생형 및 AQP3 유전결핍생쥐 각각 30마리에서 임신낭을 적출하여 양수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AQP3 발현 및 분포는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재태 14.5일된 생쥐 태반에서 AQP3는 태아막의 난황막세포의 기저측면막과 미로 태반의 융합영양막세포에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반면 AQP1은 태아막의 난황막세포의 관강막과 미로 태반의 혈관조직에 고농도로 발현되었다. AQP3 유전자결핍 생쥐의 재태 14.5일이 태반은 야생형 CD1 생쥐와 비교할 때 태반 형성 및 태반 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AQP3 유전자결핍 생쥐는 야생형 CD1 생쥐에 비해 태아 단위 무게 당 양수량은 증가되었으며, 양수의 삼투질 농도는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양수 내 이온과 다른 용질의 농도가 낮았다. 또한 AQP3 유전자결핍 생쥐 태아 평균 체중은 야생형 생쥐의 70% 수준으로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AQP3는 모체 혈액 및 난황과 접하고 있는 태반과 태아막에 풍부하게 발현되어 이를 통한 수분과 글리세롤의 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양수 조절 및 태아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 Aquaporin (AQP) 3 is a small integral membrane protein that functions as a facilitated transporter of water and glycerol. To elucidate a role of AQP3 in placenta, changes in amniotic fluid composition and fetal growth were investigated using AQP3 null mice. Methods: Embryonic day 14,5 gestational sacs of wild-type and AQP3 kncok-out pregnant mice, thirty each, were used for this study. AQP3 localization and expression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Results: AQP3 was highly expressed in basolateral membrane of visceral yolk sac cells of fetal membrane and syncytiotrophoblast cells of labyrinthine placenta. In contrast, AQP1 was expressed in apical membrane of visceral yolk sac cells and endothelial cells lining vascula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placentation and differentiation from trophoblast stem cells between wild type and AQP3 null mice. However, AQP3 null mice had increased amount of amniotic fluid per gram of body weight and decreased osmorality of amniotic fluid with low concentrations of ions and solutes in amniotic fluid. In addition, AQP3 null mice pups were smaller than CD1 wild type mice. Conclusion: AQP3 plays an important role in amniotic water balance and nutrient supply to developing fetus by facilitating transplacental transport of water and glycerol.

      • KCI등재

        청소년기 여아에서 발생한 공격성 혈관 점액종

        김승철 ( Seung Chul Kim ),주종길 ( Jong Kil Joo ),김휘곤 ( Hwi Gon Kim ),나용진 ( Yong Jin N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Aggressive angiomyxomas (AAMs) are rare, benign, but locally aggressive, hypocellular soft tissue neoplasms found in the vulvovaginal region. AAMs are most commonly found in women in their reproductive years. Only about 150 cases of this rare, soft tissue tumor have been reported thus far, most of which are reported from the gynecologic, obstetric, urologic, and pathologic fields. AAMs are considered to be a slow-growing mesenchymal tumor with a locally infiltrative growth pattern. There are only two reports of metastasic disease. We have managed a case of AAM which occurred during adolescence and was pathologically-confirmed.

      • KCI등재

        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

        정재혁 ( Jae Heok Jeong ),김휘곤 ( Hwi Gon Kim ),김기형 ( Ki Hyung Kim ),최욱환 ( Ook Hwan Choi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id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an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resection (Mammotome) for benign breast lesions through a core needle biopsy. Methods: The authors carried out a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for 347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results was demonstr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413 in a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is experience suggest Mammotome is a useful procedure for providing more correct pathologic findings through complete resection of benign breast lesion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9-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