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학대적 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혜영(Gim Hye Yeong),석말숙(Seog Mal Su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6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적 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개인 특성 및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계 구조를 설정하여 전체 모형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관계들을 포괄적으로 검증하고, 어떤 요인이 아동학대 세대간 전수의 매개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10월부터 12월까지였고, 서울지역 강북, 강남지역의 4개 초등학교 저학년 2개학급, 고학년 2개학급 학생의 어머니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최종 사례는 324부였다. 요인들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을 위해 Lisrel 8.5를 사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아동기 학대경험은 신체학대, 정서학대, 방임, 성학대에 이르는 직접적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의 성격문제, 통제적 양육태도, 부부갈등, 부모-자녀 관계와 같은 개인 특성 및 가족관계를 통한 간접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학대적 경험이 신체학대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통제적 양육태도가 매개변수로서의 효과가 가장 컸으며, 정서학대와 방임의 경우 부부갈등이 매개변수로서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 유형 중에서도 특히 신체 학대와 정서학대의 세대간 전수를 차단하기 위해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 태도, 부부갈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A number of study have been accomplished for the finding and prevention of child maltreatment until now. But there are few studies of path analysis between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and chid maltreatment in adultho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of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on child maltreatment, the link between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the characteristic of parents, family relationship and child maltreatment.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the characteristic of parents and family relationship was studied. 334 mother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324 cases were analyzed and Path Analysis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did not effect on child maltreatment directly. But the effect of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on parenting attitude, spousal conflict, dominant parent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The path between abusive experience in childhood and chid maltreatment were mediated parenting attitude, dominant parent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 스마트폰 사용자의 해석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자기통제에 관한 연구

        김혜영(HyeYeong Gim),유승호(SeoungHo Ryu)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스마트폰에 대한 자기 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 및 문제적 이용을 극복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에서는 성공적인 자기통제는 해석수준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의 해석수준이 스마트폰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목표 중요성이 해석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자기통제의 효과를 달라지게 하는가의 문제를 검증하고, 스마트폰 자기통제 연구의 확장으로서 해석수준과 스마트폰 중독 및 성격과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상위해석수준으로 조작된 참가자는 하위해석수준을 지닌 참가자보다 스마트폰에 대하여 강한 자기통제를 보였으며, 반면에 하위해석수준 조건의 참가자는 상위해석수준을 지닌 참가자보다 스마트폰에 대하여 약한 자기통제를 보였다. 그러나 목표 중요성과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위해석수준이 하위해 석수준보다 성격에서 높은 호의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martphone users’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In particular, we focu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which explains high-contrual level facilitates one"s self-contro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users" construal level affects smartphone self-control and whether goal importance moderate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We also attempt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construal level,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high-contrual level participants showed higher smartphone self-control compared with low construal level participants. There was, however, no influence of goal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Lastly, high-construal level participants showed higher agreeableness in personality.

      • KCI등재

        A Study on Promoting Optimism Utilizing a Communication Board Game

        Hye-Yeong Gim(김혜영),Seol-Ri Ryu(류설리),Seoung-Ho Ryu(유승호)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보드 게임을 활용하여 낙관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낙관성이 자기효능감, 성취감, 성적, 삶의 만족도, 역경 극복 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에 낙관성 증진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질과 상관없이 낙관성도 학습될 수 있다는 Seligman(1990)의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캐주얼한 환경에서 게임을 활용하여 낙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study1에서는 사전(t1) 검사 시 낙관주의는 M=–4.7, 그리고 사후(t2) 시기에는 M=12.8점으로 증가하였다(***p<.001). study2에서는 실험집단(n=21)과 함께 통제집단(n=22)도 설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M=–2.4(t1)에서 M=11.5(t2)로 증가하였으나(***p<.001), 통제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promoting optimism by utilizing communication board games with university students. Since optimism is closely related to grade, self-efficacy, a sense of achievemen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optimism was emphasized.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practical measures that can promote optimism utilizing games in a more casu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earch of Seligman(1990), which claimed that the optimism can be learned regardless of temperaments. In Study1, the level of optimism increased from M=-4.7(t1) to M=12.8 in t2(p<.001). In Study2, a control group(n=22) was added with the experiment group(n=21). The level of optimism increased from M=-2.4(t1) to M=11.5(t2) in the experiment group(p<.001),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 단일 병원에서 소아 기도 이물 흡인에 대한 30년의 임상 경험

        김혜영 ( Hye Young Kim ),공섬김 ( Seom Gim Kong ),박희주 ( Hee Ju Park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소아 기도 이물 흡인은 치명적일 수 있는 응급질환이며 진단이 늦어진 경우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기도 이물 흡인에 대한 임상 자료를 분석하여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0년부터 2009년까지 약 30년간 부산대학병원 소아 청소년과에서 기왕력,흉부 방사선검사,기관지 내시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기도 내 이물 흡인으로 진단 받은 15세 미만 206명을 대상으로 임상 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급성 중증 호흡기 폐색 증상이 있었던 16명의 임상 자료를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기도 내 이물 흡인 후 진단 및 치료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24시간 이내인 경우를 조기 진단,24시간 이상인 경우를 지연 진단으로 나누어 임상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7일 이상 진단이 늦어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지연된 진단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결과: 기도 이물 흡인 환아의 평균 연령은 22.3개월이며 3세 미만이 76.2%로 대부분이었고, 남녀 비는 2.12:1였다. 첫 내원시 임상증상은 기침이 67.9%, 진찰시 호흡음 감소가 43.6%로 가장 많았다. 흉부 방사선 소견에서 폐기종이 50.0%로 가장 흔하였다. 이물 종류는 식물성이 63.6%로 이중 땅콩이 45.6%로 가장 많았고,이물 위치는 주 기관지가 66.5%로 가장 흔하였다. 심한 급성 호흡곤란은 3세 미만이 어린 영아에서 더 흔하였다. 조기 진단 군에서 사래걸림 증상과 후두와 기관에 이물이 위치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고, 지연 진단 군은 발열, 반복적인 폐렴,기관지 확장증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7일 이상 진단이 지연된 환아들은 천식 및 기도 감염으로 오인된 경우가 흔하였다. 결론: 기도 이물 흡인은 3세 이하의 소아들에서 호발하며 어릴수록 호흡기 폐색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어 영아의 이물 흡인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보호자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기왕력이 없고 흉부 방사선 소견이 정상이더라도 비특이적인 호흡기 증상들이 지속된 경우 기도 이물 흡인의 감별을 위해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spectrum of foreign body aspiration in children and explore the clinical features which could facilitate early diagnosis. Methods: We studied 206 pediatric patients who had aspirated foreign bodie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0 and 2009. Age, sex, symptoms, signs, the type and location of foreign bodies,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We compared these findings of children diagnosed within 24 hours (early-diagnosis group: EDG) with those of the delayed-diagnosis group (DDG). Results: The majority of patients (76.2%) were yonger than 3 years of age. Cough (67.9%) and decreased breathing sound (43.6%) were the predominant symptoms and signs. Obstructive emphysema (50.0%) was the most frequent radiologic finding. Peanut was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Acute severe airway obstruction by aspirated foreign bodies tended to occur in younger children because of their small airway. Choking was more frequent in the EDG group than in the DDG group (P=0.018). For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the larynx and trachea were more common in the EDG group (P=0.031). Fever (P=0.024), persistent pneumonia (P=0.011) and bronchiectasis (P=0.041) were more common in the DDG group than in the EDG group. Bronchial asthma, upper respiratory infection and pneumonia were the most common wrong diagnosis. Conclusion: Reducing the number of accidents associated with foreign body aspiration is the best way to promote public prevention policies. Physicians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foreign body aspiration in children with chronic respiratory symptom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383-391]

      • KCI등재

        국내 언론매체의 이념성향과 뉴스구성에 대한 연구

        이혜미(Hye-Mi Lee),김혜영(Hye-Yeong Gim),유승호(Seoung-H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국내 주요언론이 이념성향에 따라 보도 프레임을 달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미국 대선 후보주자였던 ‘버니 샌더스’를 대상으로 뉴스보도의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버니 샌더스라는 인물은 ‘미국’이라는 보수의 가치와 ‘불평등 해소’라는 진보의 가치를 동시에 지닌 인물이이서 언론의 이념적 차이가 잘 드러날 수 있는 대상이기도 하다.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빈도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보수언론은 ‘사회주의자’와 ‘흑인’이라는 단어를, 진보언론은 ‘불평등’과 ‘문제’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은 ‘한국’이라는 동일한 단어를 가지고 전혀 다른 의미구성을 보였다. 진보언론은 샌더스가 지적하는 사회문제와 기성정치에 대한 비판을 ‘한국’사회에 접목하여 이야기하고자 했다면, 보수언론은 ‘한국’이라는 단어와 구체적인 정당, 그리고 정치인의 이름을 거론해 샌더스와 닮았다고 한 발언에 대해 노골적인 표현으로 비난했다. 이는 동일한 단어를 사용함에도 전혀 다른 관점과 맥락에서 보도하는 경향성을 파악한 것으로, 사안에 대한 언론사의 의미구성이 이념적 지향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주요 단어들의 사용빈도 뿐만 아니라 단어들 간의 연결 강도와 중심성을 토대로 뉴스구성의 맥락을 해석했다는 점에서 보도분석을 위한 방법론의 확장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Korean major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Bernie Sanders’. Bernie Sanders promotes conservative values of Americana as well as the progressive values of relieving inequality, and thus, perhaps he is a subject on which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ress can be distinctively manifest. Upon comparison of the priority of frequency between the conservative press and progressive press, the conservative press frequently used the expressions, socialist and black man, whereas the progressive press frequently used the expressions, inequality and problem. Both the conservative press and progressive press displayed particularly different semantic compositions with the term, Korea. The progressive press aimed to express the criticism of social problems and established politics identified by Sanders in relation to the Korean society, whereas the conservative press criticized the blunt expressions stating that a specifically named politician resembles Sanders, and the specific party and term of Korea. A completely different disposition of report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context was ascertained,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same terms. Thu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press on a specific issue display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disposition.

      • KCI등재

        소비자 태도와 행위에 대한 이론적 접근

        정의준(Jeong, Eui Jun),김혜영(Gim, Hye Yeong),유승호(Ryu, Seong 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1

        본 연구는 최근 해석 수준 이론과 관련된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들을 짚어보고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 방향과 더불어 사회학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석 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에 따르면, 사람들은 동일한 정보나 상품임에도 심리적 거리(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발생확률적)에 따라 다르게 해석한다. 심리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상의 추상적, 본질적, 중심적 속성을 강조하는 상위 해석 수준의영향이 커지고, 반대로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구체적, 부수적, 비본질적 속성의 영향이 커진다. 따라서 구매 시점이 시간적으로 멀고 메시지가 추상적으로 나타날수록, 혹은 구매 시점이 가깝고 메시지가 구체적으로 표현될수록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소비자의 해석 수준은 높고 제품의 유창성은 낮을 때 혹은 그 반대일 때, 소비자의 신뢰도가 높아져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해석 수준과 동기 수준 혹은 메시지에서 강조하는 속성이 매칭(matching)되었을 때, 개인적 구매 행동뿐만이 아닌 친사회적인 소비를 지향하도록 이끌기도 한다. 소비자의 태도 행위에 대한 해석 수준 이론은 개인의 인식 요인을 다룸으로써 인간 행동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소비자 행동 변화 유도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론적 틀을 제공함과 아울러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합리적인 소비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사회적인 차원에서는 사회 격차 문제 해소를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look into recent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CLT) and to suggest research issues related to the theory. According to the CLT, people tend to construe the same objects or events differently depending on psychological distance(i.e., temporal, spatial, social and hypothetical distance). As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comes distant, people tend to consider more abstract, essential and central features of the object (high-level construal), whereas they focus on specific, subordinate and incidental features when the distance comes close (low-level construal). Thus, when a message is abstract, consumers show higher preference in the distant future rather than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 result is reversed when message is concrete. Notably, when the construal levels match with those at which motives or messages are construed, consumers are willing to do pro-social consumption as well as individual purchase. CLT provides researchers with a more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in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s and allows marketers to mak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s well. Thus, the theory can be usefully applied to enhance reasonable consumption for individuals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issues of social divide for a society.

      • KCI등재

        출산율은 삶의 질과 비례하는가? OECD 국가의 삶의 질 요인과 출산율의 관계에 관한 추이분석

        김경희 ( Kyunghee Kim ),유승호 ( Seoungho Ryu ),정희태 ( Heetae Chung ),김혜영 ( Hyeyeong Gim ),박형준 ( Heongjoon Park )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1

        출산율 제고에 대한 정책적 고민은 OECD국가들의 공통된 관심사일 뿐 아니라 세계 최하위인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의 최대 관심사이기도 하다. 많은 국가 예산을 투입해왔고 출산율 관련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출산율은 계속 감소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출산율 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던 출산율에 영향을 주는 세부적 요인들의 영향력 및 효과성 검증과 유럽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통한 정책적 접근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출산율과 삶의 질에 관한 거시적이고 구조적 접근을 통해 전체적 흐름을 다시 파악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선진국의 높은 삶의 질은 출산율을 높이는지, 삶의 질과 출산율이 모두 높은 국가 모델은 어느 나라이며 그 나라의 출산에 대한 사회 및 정책적 흐름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OECD국가들의 삶의 질 요인(BLI)와 CIA출산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국가 중에도 출산율이 낮은 국가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삶의 질 수준과 출산율이 모두 높은 국가가 한국이 지향해야 할 국가 모델임을 인지하고 본 연구에서 새로 도출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뉴질랜드의 사례와 삶의 질 수준은 높지만 출산율이 낮은 독일의 사회적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앞의 세 나라는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그 결과로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는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독일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임금 불평등이 비교적 더 크게, 출산율은 더 낮게 나타남으로써 양성평등을 위한 인식전환이 출산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부모-자식 간의 ‘상승관계(synergy)' 에 기초하여 가정 및 노동시장에서 양성평등 의식을 고양하는 것이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되고, 여타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출산율 정책의 우선순위와 인프라적 지원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국가의 출산율 목표를 ‘임신 가용한 여성의 출산율 제고’에서 ‘국민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것’으로 재설정하여 행복한 사회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출산을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Policy concerns related to raising fertility rates are not only common interests among the OECD countries, but they are also issues of great concern to South Korea whose fertility rate is the lowest in the world. The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 continues to decline, even though most of the national budget has been spent on measures to address this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ncrease in the fertility rat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tailed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rate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fertility rates, and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 towar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through macroscopic and structural studies under the recognition of problems related to the policy approache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European countries. Toward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if a high quality of life in advanced countries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the fertility rate, which country serves as a state model that has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fertility rate, and what kind of social and policy environment does the country have with regard to childbirth. The analysis of the OECD Better Life Index (BLI) and CIA fertility rate data showed that the countries whose people enjoy a high quality of life do not necessarily have high fertility rates. In addi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country with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birth rate serves as a state model that South Korea should aim for,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Iceland, Ireland, and New Zealand, which turned out to have both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fertility rat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ermany, which showed a high quality of life but a low fertility rat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the three countries that were mentioned showed high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erefore, the gender wage gap was small.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of these countries support various policies that promote both parents sharing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 Germany,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wage gap was large and the fertility rate was low. In a related move, however, the German government has made active efforts to a paradigm shift toward gender equality. The fertility rate increases when the synergy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awareness about gender equality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both at home and in the labor market.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provide support for the childbirth and rearing environment through appropriate family policies, and exert greater effor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relevant systems rather than simply promoting a system construc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elp people in making their own childbearing decisions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better society by changing the national goal from ‘raising the fertility rate’ to ‘creating a healthy society made of happy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