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절경하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의 치료

        김형식(Hyung-Sik Kim),고일현(Il-Hyun Koh),성국(Sung-Guk Kim),천용민(Yong-Min Chun),성재(Sung-Jae Kim),강호정(Ho-Jung K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해 관절경하 정복 및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편을 고정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31세 남자로 내원 2주 전 추락 후 발생한 좌측 견관절의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하여 관절경하에서 골절을 정복한 후, 표준 전상방 삽입구를 통해 1.1 mm K 강선을 가이드핀으로 삽입하고 AO 무두 압박 나사로 골편을 고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12개월째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으며, 골절은 유합을 얻었고 일상 생활에 불편감은 없었다. 결론: AO 무두 압박 나사는 나사의 길이가 다양하여 작은 관절와 골편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가이드 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나 1.1 mm K 강선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나사 돌리개 (screw driver)나 천공기 (drill bit) 등의 동반 기구의 길이가 길어 비교적 깊은 위치의 견갑과 골절의 고정에 사용하기 편리하여 관절경적 고정술 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present a case of anterior glenoid rim comminuted fracture that was treated with arthroscopic reduction and an AO headless compression screw (HCS)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31-year old man complained of left shoulder pain after falling down on stairs. The anterior glenoid comminuted fragments were arthroscopically reduced. Fixation with an AO HCS was done after placement of 1.1 mm Kirschner wire as a guide pin through a standard cannulated anterosuperior portal. Results: Twelve months after the operation, union of the fracture was achieved and the range of motion was fully recovered. He did not complain of any discomfort during hi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An AO HCS had various screw sizes and this was good for fixation of a small glenoid fracture and a long drill bit and screw driver were useful for fixation of deep seated glenoid fracture. A short guide wire could be replaced by a 1.1 mm K-wire. An AO HCS was useful for fixation of an anterior glenoid rim comminuted fracture.

      • KCI등재

        수술 후 발생한 상완골 원위부 불유합의 치료

        김형식 ( Hyung Sik Kim ),장기준 ( Ki Joon Jang ),최윤락 ( Yun Rak Choi ),고일현 ( Il Hyun Koh ),강호정 ( Ho Jung Ka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해 수상 원인, 방사선 소견, 치료 결과 및 예후 등 임상적 추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상완골 원위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 후 불유합 상태가 지속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수술 후 불유합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7.4개월(4∼16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24.6개월(12∼65개월)이었다. Mayo Elbow Performance Score와 The Disability of Arm, Shoulder and Hand Score를 이용하여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불유합에 대해 금속판 고정술 및 골편 이식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주관절의 관절운동 범위는 굴곡 구축 18.8o(0∼30o), 후속 굴곡 120.2o (102∼140o)였다. 합병증으로는 중등도의 관절 강직이 3예, 내과 불유합이 2예, 내고정물의 해리가 1예에 서 관찰되었다. 결 론: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불유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차 수술시에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유지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자가골이식 등의 적절한 추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non-union of distal humerus fracture. We evaluated them in terms of causes of injury,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such as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onsecutive radiologic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nonunion of a distal humerus fracture underwent reoperations. These patients had already undergone operations for distal humerus fractures. This survey was held from 2005 to 2010. The average period up to diagnosis of non-union after the first operation was 7.4 months (4 to 16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6 months (12 to 65 months). Each patient was graded 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Results: Osteosynthesis was performed by internal fixation with plates and screws and then a bone graft for non-union of the distal humerus fracture.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ithin the elbow joints was found to be a flexion contracture of 18.8 degrees (0∼30 degrees) and further flexion of 120.2 degrees (102∼140 degrees). Amo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ree cases of medium-degree stiffness, two cases of medial column nonunion, and one case of dissociation of the internal fixator were reported. Conclusion: Stable internal fixation for maintenance reduction status is essential after accurate initial anatomical reduction. We concluded that nonunion could be prevented by additional surgical treatment such as autogenous bone graft, if it is necessary.

      • KCI등재

        화상 후 두피에 생긴 편평 상피세포 종양에 대한 증례 보고 - 증례보고 -

        강산 ( Kang San Kim ),형식 ( Hyung Sik Hwang ),권흠대 ( Heum Dai Kwon ),문승명 ( Seung Myung Moon ),오석준 ( Suk Jun Oh ),최선길 ( Sun Kil Choi ) 대한외상학회 2007 大韓外傷學會誌 Vol.20 No.1

        Marjolin`s ulcer is a rare and often-aggressive cutaneous malignancy that arises in previously traumatized or chronically inflamed skin, particularly after burns. We experienced two cases after burns. Case I involved a forty eight year-old man who had suffered from a flame burn at the parietal scalp area, where had been initially described three years earlier as a full-thickness wound including the pericranium. The man consulted us for a persistent ulcerative and infected wound on the burned lesion during the last 24 months, which turned out on the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o be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involving the skull and the dura mater. Although the posterior auricular lymph node was enlarged on the ipsilateral side, recen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T did not show any metastatic lesion. It was impossible for us to resect the intracranial involvement of the tumor radically, and the postoperative PET CT still showed a focal fluorodeoxyglucose (FDG) uptake around the wall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We think that an aggressive combined approach is essential for treatment in early stages for a high success rate, before the intracranial structures are involved because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treatment for advanced disease, and the results are generally poor. Case 1 also did not involve a radical resection because of the intracranial invasion to the wall of superior sagittal sinus and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major cortical veins. He received adjuvant radiotherapy and must be followed periodically. Case 2 involved an eighty six year-old women who suffered from a painful scalp ulcer lesion after flame burns three years earlier. Unlike case 1, neither tumor infiltration into the dura nor lymph node enlargement was observed on the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T. We did a radical resection of the tumor, including the involved bone, and a cranioplasty with bone cement. (J Korean Soc Traumatol 2007;20:52-56)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주종환(Jong-Hwan Joo),천용민(Yong-Min Chun),김형식(Hyung-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 (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prognosi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1 patients with a minimum of 12 months follow up was done. We classified acromioclavicular (AC) injury into type I (only intra-articular fracture (IAF), 5 cases), type II (IAF with widening of the AC joint > 7 mm, 9 cases) and type III (IAF with AC joint superior subluxation > 50%, 7 cases). The distal clavicle fractures were fixed using plate (9 cases), mini screws (1 case), K wire and tension band wiring (10 cases) and transarticular pinning (1 case). Acromioclavicular or coracoacromial ligament reconstruction was not done in all the cases. Results: In 20 of 21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at an average of 8.4 weeks. Traumatic arthritis (5 cases), AC joint widening (4 cases) and AC joint subluxation (2 cases) were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average UCLA score was 32.6 in the type I AC joint injuries, 34 in type II and 34.1 in type III.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operative AC joint injury pattern,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AC joint widening or AC joint subluxation (p>0.05).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by acu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 joint injur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AC joint injury, the residual radiologic findings and the function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