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브부식토의 사료내 첨가에 따른 In Vitro 발효특성과 젖소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섭(Hyeon Shup Kim),박중국(Joong Kook Park),김홍윤(Hong Yun Kim),김상범(Sang Bum Kim),양승학(Seung Hak Yang),김창현(Chang Hyun Kim),안종호(Jong Ho Ah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허브 부식토를 이용하여 첨가 수준별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 평가와 젖소를 이용하여 급여시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티머시 건초를 기질로 하여 허브부식토(herbaceous peat)를 0, 1 및 5%를 3반복으로 각각 첨가하여 in vitro 반추위내 pH, 가스발생량, VFA (volatile fatty acid), ammonia-N 및 건물분해율을 조사하여 반추위내 발효성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pH 변화는 0, 3, 12 및 24시간 배양에 있어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시간, 대조구에서 1 및 5%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pH를 나타냈다 (p<0.05). 가스 발생량은 배양 12시간까지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반추위액내 암모니아 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24시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물분해율은 모든 시간에서 5%구가 대조구 및 1%구와 비교하여 건물분해율이 높았다 (p<0.05). 따라서 허브부식토를 0, 1 및 5% 수준으로 각각 첨가하여 반추위내 in vitro 배양시간별 반추위 발효특성은 대부분 조사항목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시험 2에서는 젖소를 이용하여 사양시험을 통해 유생산성을 평가하였으며, 우유생산량 변화와 유성분 및 체세포 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홀스타인 착유우 16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산유량은 T3구가 25.0 ㎏으로 대조구 (23.2 ㎏), 부식토 처리구 (23.1 ㎏), 비타민 C 처리구 (23.4 ㎏)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처리구별 시험시작전?후 유성분 (유지방, 유단백, 유당, MUN 및 SNF) 및 체세포 수의 변화는 일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5). 4주간의 시험 기간 중 전반기 (1~2주)와 후반기 (3~4주)의 유성분 변화를 보면 부식토 첨가구에 있어서 유단백질과 SNF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와 처리구의 시험 시작 전?후의 혈액내 영양성분 (총단백질, 콜레스테롤, NEFA, BUN), 간기능 성분 (AST, GGT) 및 무기물 (Ca, P, Mg)에서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착유우에 부식토를 급여하는 것이 유성분, 체세포 수 및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herbaceous peat on in vitro fermentation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Ruminal pH, gas production, VFA (volatile fatty acid), Ammonia-N, and rumen degradability were examined by the addition of three times over 0, 1, and 5% herbaceous peat with substrate of timothy hay, and the change of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0, 3, 12 and 24 hours cultivation, all treatmen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rol at 6 hours appeared significantly lower pH compared to 1 and 5% treatments (p<0.05). The gas production of the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12 hours of cultivation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rumen ammonia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ntil 24 hours in all treatment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bout the rumen degradability, 5% treatment showed higher rumen degradability in all hours than control and 1% treatment (p<0.05). Meanwhile, for in vivo trial, 16 heads of Holstein lactation dairy cow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for four weeks in order to research the change of milk yield, milk compositions and change of somatic cell counts of lactation dairy cows by herbaceous peat feeding. The milk yield of vitamin C and herbaceous peat treatments (T3) was 25.0 ㎏ but the control was 23.2 ㎏, herbaceous peat treatment (T1) was 23.1 ㎏, and vitamin C treatment (T2) was 23.4 ㎏, so there was linear increase effect of milk yield by T3. The partial significance of the milk (fat, milk protein, lactose, MUN and SNF) and change of somatic cell count before and after experiment by the control and treatments about change of milk and somatic cell counts (p<0.05) were recognized. About change of milk in the first half (1~2 weeks) and latter half (3~4 weeks) during four weeks of experiments period, the herbaceous peat supplement treatments showed a tendency of significant decrease of quality of milk protein and SNF. The control and treat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of blood nutrients (total protein, cholesterol, NEFA, BUN), liver function component (AST, GGT) and minerals (Ca, P, Mg) before and after experiment. In summary, it is judged that herbaceous peat feeding for lactation dairy cows would be recommendable based on the results of milk, somatic cell count physiologically.

      • KCI등재

        번식률 향상을 위한 무인 발정발현 관찰시스템 구현

        김석준(Kim, Suc-June),지선호(Jee, Sun-Ho),조현찬(Cho, Hyun-Chan),김춘수(Kim, Chun-Su),김현섭(Kim, Hyeon-Shup)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논문에서는 무인 발정발현 관찰을 통해 다두 사육 시 발생하는 공태를 줄이고, 정확한 수정적기 판단을 통해 번식률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무리 생활을 하는 소의 특성상 운동량의 증가 유무만으로는 발정 발현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소의 운동량 수집 센서와 개체 정보 종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무인 발정발현 관찰시스템을 구축하고 운동량 정보와 번식 정보를 이용하여 발정 발현 관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시스템과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검증은 수정 전 시스템을 통해 수정적기를 관찰하고, 수정하고 21일 후 재발정 여부를 확인, 다음 21일 후 초음파 진단을 통해 수태여부를 확인하여 적절하게 수정적기를 판단하였는지 검증하였고, 이를 규모가 유사한 실제 축산 농가 4곳에서 수행하였다. 각 농가의 총 사육 두수는 87, 81, 93, 82두이며 관찰된 발정 예정인 소는 14, 19, 15, 17두 이다. 이중 미약발정에 해당하는 3, 2, 1, 3두는 관찰에 실패하였으나 정상발정에 해당하는 11, 17, 14, 14두의 발정을 감지하였고, 인공 수정 후 10(91%), 17(100%), 13(93%), 14(100%)두의 소가 수태하여 제안된 무인 발정발현 관찰 시스템이 정상발정 시 수정적기 판단에 유효함을 보였다. In the paper, we reduce non-pregnant conditions and improve impregnation rate by unmanned estrus detection and decide proper tim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t is too hard to detect estrus only by using activities, we develop unmanned estrus detection system that consist of RF activity sensors, cow management program and estrus detection algorithm that uses information of activities and breeding. We verify performance by experiments in four similar scale stockbreeding farmhouse. Each stockbreeding farmhouse breeds 87, 81, 93, 82 cows and expected estrus cows are 14, 19, 15, 17. In expected estrus cow, we fail in weak estrus detection - 3, 2, 1, 3 cows, but detect successfully normal estrus - 11, 17, 14, 14 cow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10, 17, 13, 14 cows became pregnant successfully confirming that proposed unmanned estrus detection system is effective for deciding proper tim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n normal estrus.

      • KCI등재

        조사료 급여 수준이 Holstein 착유우의 산유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배훈,김현섭,성경일,Lee, Bae Hoon,Nejad, Jalil Ghassemi,Kim, Hyeon Shup,Sung, Kyung I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1

        본 실험은 조사료와 농후사료비율(조:농비)에 따라 low forage(LF)구 및 high forage(HF)구로 나누어 Holstein 착유소(초산) 10두를 각 5두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LF구는 조:농비가 37:63로 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 조사료의 급여량을 줄인 반면 농후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 HF구는 조:농비가 62:38로 농후사료 급여량을 줄인 반면 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 조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 평균 조사료섭취량은 LF구 7.1 및 HF구 13.0 kg으로 HF구에서, 평균 농후사료 섭취량은 LF구 12.3 및 HF구 7.9 kg으로 LF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사료 섭취량은 LF구 19.4 및 HF구 20.9 kg으로 HF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CP, TDN 및 NEL 섭취량은 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실제 산유량은 LF구 26 및 HF구 23.9 kg/d 으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LF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FCM은 LF구 22.8 및 HF구 22.3 kg/d 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F구에서 유지방 함량은 높고 MUN 함량은 낮았다. 우유의 C14:0, C16:0 및 C16:1n7 함량은 HF구가 LF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그 외의 우유지방산은 두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와 같이 급여 사료 중 BIRG 사일리지와 수입건초와 같은 조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다량급여 하여도 착유소(초산우)에 필요한 영양소 충족이 가능하여 산유량의 감소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wo groups (10 cows) for primiparous Holstein lactating cows (av. 98 days in milk : DIM) which were divided into low forage diet (LF) and high forage diet (HF) groups based on forage : concentrate ratio (F : C ratio). The F : C ratios of LF and HF groups were 37:63 and 62:38, respectively. Concentrat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F group than the HF group whereas the HF group showed higher forage intake (12.9 kg) compared to the LF group (7.4 kg)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otal feed intake between the HF (20.9 kg) and LF (19.4 kg) group (p>0.05), but the HF group tended to be higher. CP, TDN and NEL intak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ctual milk between the two groups (26 vs. 23.9 kg/d, p>0.05), the LF group tended to be higher. 4% FCMs of LF and HF groups were 22.8 and 22.3 kg/d, respectivel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HF group was higher in fat content and lower in MUN. C14:0, C16:0 and C16:1n7 of milk fatty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milk fatty acids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increasing high quality forage such as BIRG silage and hay in the diet will not only fulfill nutrient requirements but also reduce milk production.

      • 혼합미생물제가 육우 송아지의 체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양승학,김현섭,조원모,김상범,조성백,박규현,최동윤,황성구,유용희,Yang, Seung Hak,Kim, Hyeon Shup,Cho, Won Mo,Kim, Sang Bum,Cho, Sung Back,Park, Kyu Hyun,Choi, Dong Yoon,Hwang, Sung Gu,Yoo, Yong 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suppl.

        증체량은 모든 처리구(281.4~294.5 kg)가 대조구(271.4 kg)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PS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의 DM, CP 및 TDN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3~8%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시험축군에서 수의적 치료를 요하는 질병은 발생되지 않았다. ES구가 모든 처리구와 비교할 때 총 단백질량은 낮고 BUN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면역물질인 IgG항체 농도는 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중 glucose 농도는 대조구(114 mg/dl)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97.8~104 mg/dl)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ES구(109.8 mg/dl)의 총 cholesterol 농도가 대조구(86.3 mg/dl) 보다 26%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간상피세포 손상여부와 관계있는 GOT, GPT는 대조구(56, 14IU/L)에 비해 모든 처리구(45~49, 11~13.8 IU/L)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비타민 A는 PS구(36.1 IU/dl)가 다른 처리구(30.9~34.4 IU/dl)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비타민 C는 ES구(3 mg/L)가 다른 시험구(3.7~3.9 mg/L) 보다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모든 처리구의 비타민 E(150.1~155.4 IU/dl)는 대조구(143.7 IU/dl)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Effect of commercial Direct Fed Microbials (DFM) or protease treated feed (PTF) supplementation on growth rate and biogenic substances such as BUN, glucose, IgG, GOT, GPT and Vitamin A, C, E from Holstein steers was studied for 7 months. Thirty two steers aged 2~3 months were separated with 4 groups for control, DFM (PS), protease (ES) and their mix (PS + ES) supplementally fed 0, 100, 100 and 50 + 50 g/day respectively. Weight gain was averagely higher in PS than any other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significantly. All treatments enhanced to 3~8% of control in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P>0.05). Metabolic diseases with veterinary cure had not shown in this study. Plasma GOT and GPT were lower in the PS and ES than control.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also lower in PS than the others. Total cholesterol of ES was higher than the others but that of PS is the lowest. Plasma vitamin C was higher in PS than the others. It was shown that dietary PS affected change from glucose to vitamin C with not overloading liver. Conclusionally, PS and ES were shown to enhance metabolic health of steers during growing period.

      • KCI등재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지희정,최기춘,최기준,최보람,오승민,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Ji, Hee Jung,Choi, Ki Choon,Choi, Gi Jun,Choi, Boram,Oh, Seung Mi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located in Pyeongchang of South Korea. Four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eeding dates of grass mixture: T1, August 13; T2, August 27; T3, September 10; and T4, September 24.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he highest ratios of grass in T1 and T2 (81-100% grass) and the lowest in T4 (46-90 % grass). In the plant length, the first harvest time was longer than other cutting times and last harvest time was the lowest.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grass was highest in T2 ($9,042kg\;ha^{-1}$) and T1 ($8,845kg\;ha^{-1}$) and lowest in T4 ($5,086kg\;ha^{-1}$).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eeding by late August provide the most desirable results for vegetation and grassland productivity in oversown hilly pasture, Pyeongchang of South Korea. 본 연구는 평창지역의 산지에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평창지역의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의 산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8월 13일 파종 T2: 8월 27일 파종, T3: 9월 10일 파종, T4: 9월 24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초지 식생구성을 보면 T1과 T2까지는 목초 식생비율이 98%이상으로 높은 식생밀도를 보였지만 T3이후부터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얼의 경우 T1과 T2에서 4.4개 이상으로 양호하였지만 T3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기 월동률의 차이는 이후 목초의 식생 및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연차별 식생변화를 보면 T1과 T2의 경우 목초 비율이 81%이상으로 우수하였지만 T4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전체 건물 수량의 경우 T2와 T1이 각각 $9,042kg\;ha^{-1}$와 $8,845kg^{-1}$로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T4의 경우 $5,086kg\;ha^{-1}$로 건물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평창지역에서 8월 말까지 파종을 완료 한 경우 목초 월동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지희정,최기준,오승민,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Ji, Hee Jung,Choi, Gi Jun,Oh, Seung M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파종량을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의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과 천안시의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2개소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기준 파종량 대비 50%감량, T2: 기준 파종량(평창 $37kg\;ha^{-1}$, 천안 $34kg\;ha^{-1}$), T3: 기준 파종량 대비 50% 증량, T4: 기준 파종량 대비 100%증량 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T1이 목초 63%, 잡초 24%, 나지 13%로 가장 불량하였으며 T3와 T4는 목초 90%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은 T1이 6.53개 (본/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4가 4.49개(본/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 개체수는 T4가 62개($30{\times}30cm$)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1이 44 ($30{\times}30cm$)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T1에서 92%로 가장 높았고 T4에서 7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목초 식생은 2016에서 T2, T3, T4에서 목초 비율이 87~100%로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T1의 경우 목초 비율이 75~92%정도로 나타났다. 2017년도 목초 식생은 T1의 경우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비율이 91% 였지만 4차 예취시기에서 75%까지 떨어졌다. 2017년 T2, T3, T4에서 목초의 비율은 79~95%의 양호한 식생을 유지하였다. 초장의 경우 유의적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016년 목초 건물 생산성은 T4 ($13,576kg\;ha^{-1}$)와 T3($12,727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9,583kg\;ha^{-1}$)과 T2 ($10,925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7년 전체 건물 생산성을 보면 T3 ($9,598kg\;ha^{-1}$)와 T4 ($9,294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6,809kg\;ha^{-1}$)과 T2 ($8,117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6년과 2017년 전체건물수량을 종합해보면 T4 ($11,435kg\;ha^{-1}$)와 T3 ($11,162kg\;ha^{-1}$)가 상대적으로 T1 ($8,196kg\;ha^{-1}$)과 T2 ($9,521kg\;ha^{-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기준량 대비 50%에서 100%증량은 목초의 정착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eding rate of a seed mixture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Seeding rate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reatments varying by the amount of seed: T1, 50% de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T2, standard seeding rate; T3, 5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and T4, 10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In 2016,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2, T3, and T4 in portion of grass ratio were the highest with a range of 87-100%, whereas T1 was the lowest of all treatments. In 2017, the botanical composition in T1 showed that the grass ratio in of the first cutting was 91%, but in the fourth cutting its ratio decreased by 75%. The results from both years were combined for each treatment, T4 ($11,435kg\;ha^{-1}$) and T3 ($11,162kg\;ha^{-1}$) demonstrat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the treatments (T1: $8,196kg\;ha^{-1}$; T2: $9,521kg\;ha^{-1}$) (p<0.05). As a result, a 50-100% increase in the seeding rate from the standard demonstrated the best grassland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 KCI등재

        중부지역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목초 이용 혼파조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이상훈,지희정,최기준,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Lee, Sang Hoon,Ji, Hee Jung,Choi, Gi Ju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품종을 이용한 혼파조합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중부지역 산지초지 갱신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2013년 8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서산시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경사초지에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pH가 산성이었고 유기물의 함량은 높았으며, 애기수영 및 고사리 등이 일부 우점되어 있는 중급정도의 초지였다. 초기생육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출현되었고 월동 후 초장은 5~6cm, 분얼은 3~5개 정도로 양호하였지만 목초 식생비율이 66~75%로 악성잡초로 인하여 목초 정착이 불량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초지식생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는 목초 및 잡초의 식생비율변화 폭이 크지 않았으며 여름철 잡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all fescue 위주 혼파조합을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대조구 대비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조성 초기에는 orchardgrass비율이 높았지만 3년차(2016) 부터는 tall fescue비율이 증가하였고 상대적으로 orchardgrass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Orchardgrass 'Kordione'과 Orchardgrass 'Onnuri'위주 혼파조합은 유사한 식생비율 변화를 보였으며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봄철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차가 지속될수록 하번초인 Kentucky bluegrass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성에서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은 3년차에서 tall fescue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면서 대조구 및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 보다 잡초침입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 연차별로 보면 2년차에서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3년차 때 대조구와 tall fescue위주 혼파조합은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orchardgrass위주 혼파조합의 수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 부실초지를 갱신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혼파조합은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이었지만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의 경우 조성 후 2년차가 넘어가면서 수량감소가 나타나기 때문에 2년차 때 목초를 보파해준다면 우수한 식생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ver seeding using new grass varieties orchardgrass 'Kordione' and 'Onnuri', and tall fescue 'Greenmaster'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from 2013 to 2016 in low productivity hilly pasture, middle area of Korea. There were used 3 grass seed mixture types made of different compositions and amounts {T1: control - no over seeding, T2: tall fescue (TF) 'Greenmaster' $18kg\;ha^{-1}$, orchardgrass (OG) 'Kordione' $9kg\;ha^{-1}$, Perennial ryegrass (PRG) 'Linn' $5kg\;ha^{-1}$, and Kentucky bluegrass (KBG) 'Kenblue' $2kg\;ha^{-1}$, T3: TF 'Greenmaster' $9kg\;ha^{-1}$, OG 'Kordione'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 Kenblue' $2kg\;ha^{-1}$, T4: TF 'Greenmaster' $9kg\;ha^{-1}$, OG 'Onnuri'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Kenblue' $2kg\;ha^{-1}$}.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land, T1 nearly remained constant in other seasons while ratio of weeds were increased in summer season. T2 was better than control (T1) in portion of grass ratio, which has increased by 80%. In the early time of establishment, the portions of OG were increased in T2, but TF rate was increased after 3 years later when grass was established. T3 and T4 showed a very similar patterns, grass ratio had increased by 80% and the portion of KBG had increased as time passed. T2 ($129,763kg\;ha^{-1}$) was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T1: $6,756kg\;ha^{-1}$, T3: 9641, and T4: 10,738) in 2016.

      • 젖소의 성장 및 생산 단계에 따른 분뇨배설량 및 성분의 변화

        이현준,이왕식,김현섭,조원모,양승학,기광석,김상범,박중국,Lee, Hyun-June,Lee, Wang-Shik,Kim, Hyeon-Shup,Cho, Won-Mo,Yang, Seung-Hak,Ki, Kwang-Seok,Kim, Sang-Bum,Park, Joong-Koo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1

        젖소는 성장단계 및 생산단계별 사료 급여 및 사양 관리 방법을 다르게 하여 사육되고 있어, 이에 따라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과 특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조사되고 제시되지 않아 축산분뇨 정책을 수립하고 낙농농가가 적절하게 분뇨처리를 실시하도록 유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성장 단계와 생산 단계별로 젖소를 공시하여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과 분뇨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와 물의 최대 섭취조건에서의 젖소의 평균 분뇨 발생량은 41.5 kg/두/일(분 24.9, 뇨 16.4 kg)이고 분뇨의 평균 수분함량은 각각 85.0% 과 93.9% 이였다. 젖소 분뇨의 $BOD_5$, COD, SS의 오염 물질농도는 각각 분에서 15,444, 53,159, 40,528 mg/L이었고, 뇨에서 8,454, 1,116, 962 mg/L이었다. 그리고 분과 뇨를 통한 수질오염물질인 $BOD_5$, $COD_{Mn}$, SS의 일일부하량은 523, 1,416 및 1,025g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료성분인 N, P, K의 함량은 분 중에는 0.33, 0.49 및 0.20% 으로 나타났고, 뇨 중에는 1.02, 0.27, 1.03으로 나타났다. 광물질인 Ca, Na, Mg 함량은 1.56, 0.24, 0.69% 이었으며, 중금속물질인 Zn, Cu, Cr, Pb, As의 분중의 함량은 69.23, 19.14, 2.89, 7.73, 2.94 ppm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가에서 젖소의 성장단계별 배출되는 분뇨를 파악함으로써 영양과 오염물질의 최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ntity of manure excreta and characteristics in growth and production phase of Holstein dairy cattle. The average manure production of dairy cattle under condition of ad libitum feeding was 41.5 kg/head/day (feces 24.9, urine 16.4 kg). The average moisture contents of feces and urine were 85.0% and 93.9%, respectively. Water pollutant concentration, $BOD_5$, $COD_{Mn}$ and SS excreted from dairy cattle were 15,444 mg/${\ell}$, 53,159 mg/${\ell}$, and 40,528 mg/${\ell}$ in feces and 8,454 mg/${\ell}$1,116 mg/${\ell}$, and 962 mg/${\ell}$in urine, respectively. And The daily loading amount of $BOD_5$, $COD_{Mn}$, SS in dairy cattle manure were 523 g, 1,416 g and 1,025 g, respectively. N, P and K contents of manure produced by dairy cattle were 0.33, 0.49 and 0.20% in feces, and 1.02, 0.27 and 1.03 in urine, respectively. In the concentrations of mineral and heavy metal of manure, Ca, Na and Mg contents were 1.56, 0.24 and 0.69%, and Zn, Cu, Cr, Pb and As were 69.23, 19.14, 2.89, 7.73 and 2.94 ppm, respectively. In conclusion, Dairy farms can be estimated optimum nutrient and pollutant balance to effectively manage the manure produced.

      • KCI등재

        중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파종시기 이동이 겉뿌림 초지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최기춘,김원호,김현섭,최기준,Jung, Jeong Sung,Choi, Ki Choon,Kim, Won Ho,Kim, Hyeon Shup,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천안지역에서 겉뿌림 초지조성 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천안시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개발부 구릉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8월 18일 파종, 9월 1일 파종, 9월 15일 파종, 9월 29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8월 18일 파종과 9월 1일 파종이 목초 93%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9월 29일 파종은 목초 75%, 잡초 25%로 약간 저조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의 경우 8월 18일 파종이 7.2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 29일 파종이 3.7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개체의 경우 9월 1일 파종과 9월 15일 파종에서 75개($30cm{\times}30c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월 18일 파종에서 49개($30cm{\times}30cm$)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전체적으로 87에서 92%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를 보면 9월 1일 파종이 목초 96%, 잡초 4%,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으며 9월 29일 파종은 목초 88%, 잡초 12%로 양호한 식생을 보였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에서 초종구성을 보면 일찍 파종할수록 톨 페스큐의 비율이 높았고 늦게 파종할수록 상대적으로 오차드그라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7년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의 식생비율이 87에서 95%로 양호하게 나타났지만 2차 예취시기부터 잡초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는 5월부터 7월까지 극심한 가뭄으로 목초가 크게 피해를 받아 상대적으로 잡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총 건물수량은 8월 18일($13,632kg\;ha^{-1}$)파종과 9월 1일($13,988kg\;ha^{-1}$)파종이 9월 15일($11,883kg\;ha^{-1}$)파종과 9월 29일($11,459kg\;ha^{-1}$)파종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는 되도록 9월 초까지 파종을 완료하는 것이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pasture located in Cheonan of South Korea. Four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eeding dates: 18th August, 1st September, 15th September and 29th September.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showed that the highest ratios of grass in 18th August and 1st September (pasture species 93% and weeds 7%) and the lowest in 15th September (pasture species 75% and weeds 25%). In the plant length,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5% probability level. In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grass, 18th August ($13,362kg\;ha^{-1}$) and 1st September ($13,988kg\;ha^{-1}$) were higher than 15th September ($11,883kg\;ha^{-1}$) and 29th September ($11,459kg\;ha^{-1}$). The findings of the this study suggest that seeding by early September the most desirable results for botanical composition and grassland productivity in oversown pasture, Cheonan of South Korea.

      • KCI등재

        TMR 제조 시 수분 함량 및 발효제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유무가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기광석(Kwang Seok Ki),김현섭(Hyeon Shup Kim),이현준(Hyun June Lee),이왕식(Wang Shik Lee),백광수(Kwang Soo Baek),김상범(Sang Bum Kim),임근발(Keun Bal Lim),여준모(Joon Mo Jeo),김용국(Yong Kook Kim)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TMR 제조 시 물을 첨가하여 수분 함량을 높여줄 경우 수분 함량(15, 35, 50%)과 발효제(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유무에 따라 저장방법(자연노출과 밀봉보관)경과시간별(자연노출 : 0, 6, 12, 24, 48, 72시간; 밀봉보관 : 0, 2, 6, 10, 14, 18일) 사료가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노출 상태로 저장한 경우, 수분 함량이 적을수록 외관상태가 양호하였으며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곰팡이가 생기는 시기가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시료의 냄새도 수분함량별, 발효제 첨가유무별로 달랐는데 물만 첨가하여 수분 함량을 35%와 50%로 맞춘시료는 자연노출 24시간째에 시큼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였으나 같은 수분 함량의 시료에 발효제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발효에 의한 냄새로 시큼한 냄새가 나지 않았고 오히려 발효로 인해 향긋한 냄새가 났다. 발효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서는 자연노출 후 6시간이 경과하면서 지속적으로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발효제를 첨가한 수분 함량 50% 시료에서는 자연노출 6시간부터 지속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발효제를 첨가한 수분 35% 시료는 자연노출 48시간부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함을 보이고 있다. 발효제를 첨가한 시료를 자연노출 시 수분 함량에 따른 경과시간별 pH 변화를 보면, 수분 15%에서는 경과시간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나 수분 35%와 50% 시료는 각각 12시간째와 24시간째부터 pH가 급격하게 증가 하였다. 자연노출 시 같은 수분 함량의 TMR 시료에서 발효제를 첨가한 것은 6시간까지는 암모니아 발생이 낮아지다가 6시간 이후부터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발효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은 12시간 이후에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연노출시 영양소 함량 변화는 경과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수분의 증발로 인해 영양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밀봉보관 시에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TMR 제조 시 수분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첨가시킬 때 물만 첨가하는 것 보다는 물에 발효제(Lactobacillus plantarum)를 섞어 주는 것이 경과시간에 따른 TMR의 사료가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increasing moisture content with or without supplementing inoculant (Lactobacillus plantarum) in TMR (total mixed ration) on its feed value. In case of exposing TMR to air, the lower the moisture level of TMR was, the less its apparent condition was changed. The time of spreading of molds tended to be faster in TMR with the higher moisture level. And also the odor was influenced by moisture content and inoculant supplement that is, sour odor was smelled from 24 hour after exposing TMR containing 35% and 50% moisture to air, but TMR supplemented with inoculant had sweet odor. The inner temperature of TMR containing 35% and 50% moisture without inoculant tended to increase continually after the lapse of 6 hours when the TMR was exposed to air. The inner temperature of TMR containing 35% moisture with inoculant tended to increase dramatically after the lapse of 48 hours when exposed to air, but that of TMR containing 50% moisture with inoculant tended to increase after 6 hours. The pH of TMR containing 15%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exposing time to air, but that of TMR containing 35% and 50% moisture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12 and 24 hour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NH₃-N of TMR supplemented with inoculant was increased from 6 hours after exposure to air, while that of TMR without inoculant increased from 12 hours. Nutrient content of TMR tended to b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xposing time to air and storage time under sealed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