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간이상수도 시설에서 수온과 폭기량 변화에 따른 수중 라돈 제거 효율에 관한 연구

        김현구,최정수,주현종,김성철,Kim, Hyun Gu,Choi, Jung Soo,Joo, Hyun Jong,Kim, Sung Chu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3

        Radon, which is one of the radioactive elements in the natural world, exists in the atmosphere and water. When this element inflows into the human body, it carries the risks of developing lung cancer and stomach cancer. Therefore, in this study, an effective 10 L scaled reactor was produced to mitigate radon in water and the radon mitigation efficiency in water following the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amount of aeration were evaluated. Based on this, the radon mitigation efficiency (SRRR; Specific radon removal rate) was derived per unit air volum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when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10^{\circ}C$ to $16^{\circ}C$, the SRRR value increased from 95 $nCi/m^3{\cdot}L$ to 134.4 $nCi/m^3{\cdot}L$, and when the amount of aeration increased from 0.2 L/min to 1 L/min, the SRRR value decreased from 198.1 $nCi/m^3{\cdot}L$ to 72.2 $nCi/m^3{\cdot}L$. Therefor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examination factor and objective indicator during the design of future radon-in-water mitigation systems.

      • KCI등재

        T3 담낭암의 임상 양상 분석

        김현구(Hyun Gu Kim),최새별(Sae Byeol Choi),박평재(Pyoung Jae Park),김완배(Wan Bae Kim),최상용(Sang Yong Choi) 대한종양외과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9 No.2

        Purpose: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3 gallbladder (GB) cancer, and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preoperative diagnosis. We studied th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fter surgical resection of T3 GB cancer. Methods: Subjects were composed of 51 patients with T3 GB cancer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11. We divided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diagnosis: 1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benign GB disease at preoperative evaluation, and confirmed GB cancer from pathological result after operation (group 1); and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GB cancer at preoperative work up (group 2). We perform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of th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Results: Significantly lower proportion of the group 1 patients received liver resection, lymph node dissection, and extrahepatic bile duct resection than group 2 patients. R0 resection was performed in 23.5% of the group 1 and. 67.6% of the group 2 (P=0.007). In the univariate analysis for survival, lymph node dissection and R0 rese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R0 resection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hazard ratio, 3.404; P=0.013). Conclusion: Group 1 patients tended to perform less R0 resection than group 2 patients. In the T3 gallbladder cancer, curative resection was the only factor to offer survival benefit. Therefore exact preoperative diagnosis might be important. If GB cancer was diagnosed during or after operation, additional resection to achieve R0 resection should be performed to enhance the survival.

      • KCI등재
      • 가상객체의 경직성 및 밀도 인지에 주는 진동의 영향

        김현구(Hyun Gu Kim),김지인(Jee In Kim),김형석(Hyung Seok Kim)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에서 현존감을 높이고자 진동을 이용한 힘 피드백을 사용하여 진동에 기반했을 때 가상객체의 경직성과 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고 간단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실험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진동에 따라 경직성과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일본 근대국가 형성기의 고대 한·일 관계사상(關係史像)

        김현구(Kim Hyun Gu)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4 亞細亞硏究 Vol.47 No.3

        The first official history of Japan, KOHON KOKUSIGAN was published in 1888 after the compilation and editing by Kume Kunitake. In this sense, KOHON KOKUSIGAN could be a text to show how Japan in the formation period of a modem state articulated the image of 'ancient relationship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br/> The image of anci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reflected in KOHON KOKUSIGAN centers on the rule of south Korean Peninsula and emphasizes the installation of an institution functioning as a tool, MIMANA-NIHONBU. According to KOHON KOKUSIGAN, MIMANA-NIHONBU originated from the tribute of Sonakasiti, which was based on the part of Su-jinTenn in NIHONSHOGI. This line of thought cherished by Kokugakusya of that time represents the farthest origin of MIMANA-NIHONBU.<br/> The abolishment of MIMANA-NIHONBU was explained in the relation to so-called Nitira affair. This is an original part of this book without no proof. By relating Nitira affair to the abolishment of MIMANA-NIHONBU, KOHON KOKUSIGAN could give an impression that MIMANA-NIHONBU was the main headquarters in order to rule the whole south Korean Peninsula including Paekche as well as Kaya.<br/> <br/>

      • KCI등재

        뿌드갈라와 부실법의 실체적 관계 비판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4

        본 연구의 목적은 개아론자로서 독자부(犢子部)와 같은 계열의 정량부(正量部)가 주장한 ‘뿌드갈라’ 이론을 까르마 성취 원리인 ‘부실법’(不失法)과 함께 고찰하여, 두 이론의 관계로부터 그 실체적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두 개념의 관계를 통해 뿌드갈라 이론을 살펴보았을 때, 뿌드갈라가 까르마와 관계하는 방식은 인도 우파니샤드의 개아(jīva-ātman)론의 실체적 이해를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개아론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뿌드갈라는 부실법과 관계를 맺는다. 이 부실법은 채무를 청산할 때까지 남아있는 채권처럼 도덕적 성품을 가진 까르마로서 즐거움이나 고통의 과보를 받아 소진할 때까지 뿌드갈라와 관계를 유지한다. 즉 개아론자들은 과거, 현재, 미래 삼세에 걸쳐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윤회주체로서 뿌드갈라와 까르마의 성취원리로서 부실법을 도입한 셈이다. 이 글에서는 중관학파의 인무아(pudgala-nairātmya) 논증 기조를 유지하되, 개아론자들의 주장 가운데 까르마 성취원리를 집중적으로 비판한다. 이는 개아론자들이 윤회주체로서 뿌드갈라와 개인의 까르마에 대해 존재론적 근거를 다르게 구획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교 내부에서 뿌드갈라 이론을 아트만 계열 이론으로 간주하는 배경으로서 개아론자들의 까르마에 대한 이해방식을 추적하고, 그들이 뿌드갈라와 부실법의 관계를 이원론의 시각에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This paper aims to draw out a substantial aspect of the pudgala theory and the indestructible phenomenon (avipra āśa)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pudgalavādin, who belong to Vātsīputrīya and Sāmmitīya of its branch, advocates the pudgala theory and the indestructible phenomen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it seems that the way in which Karma relates to the process of describing its function did not go beyond the category of jīva or the jīva-ātman theory, in the Upanishad. According to the pudgalavādin, pudgala maintains a relationship with the indestructible phenomenon that cling to the person performing the action, and which, like a promissory note, ensuring the repayment of a debt, guarantees the result of the action in the distant future. In other words, the pudgalavādin solve the problem of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Saṃsāra), maintaining self-identity through the achievement of the indestructible phenomenon. This article attempts to keep the basis of pudgala-nairātmya argument of the madhyamika and intensively criticize the principles of karma achievement among the pudgalavādin, since it seems that the pudgalavādin has established the existential ground of the cognitive subject and the Karma by applying dualistic premises, such as nature and phenomena,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dgala theory and the indestructible phenomenon. Through this, we track the pudgalavādin’s understanding of Karma as another background considered as a variant of Ātman theory, confirming that they remain within the dual limitations of nature and phenomena.

      • KCI등재

        17세기 후반 통제영의 화포 제작과 監造軍官의 궤적

        김현구 ( Kim¸ Hyun-gu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9

        조선후기 양란을 겪으면서 화기류의 개발과 보급은 확대되었다. 17세기 후반기는 명ㆍ청의 교체에 따른 수도권 방어 강화를 위한 일련의 정책이 추진되고, 중앙 군영이 신설되면서 화기의 수요는 더욱 늘어났다. 특히 수군의 전력 유지를 위한 탑재 화포의 다양화와 배정의 증대는 화포 주조의 활성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8전선 선단 자체의 수급을 위한 주요 화포의 제작 현장이자 여분의 물량 공급이 가능했던 곳이 통제영이었다. 통제영과 연관된 현존 화포들은 천자 총통에서부터 주류를 이룬 불랑기류까지 다양하다. 무엇보다 화포 제작을 위한 기술력과 원자재 공급의 용이함이 작동하였고, 이를 이끈 감조군관이나 장인의 활약상은 눈부신 바 있었다. 화포 제작의 양상은 통제영 현지에서 생산된 물량을 직접 수요처에 공급하는 방식과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한 감조관과 장인들이 현장에 파견 투입되어 제작하는 방식이었다. 전자에는 신청과 강준, 후자에는 신기립이 감조군관으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이를 계기로 삼아 재지무반으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고, 그 후 그들 가계의 후예들은 여럿 보직을 맡아 지역사회의 핵심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윤만제의 가계처럼 중앙무대에서 이탈하여 변방 사회에 편입되면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경우도 있었다. 요컨대 지방 군영이 가진 화기 제작의 여력과 인적 자원의 양성은 이 시기 군제 재편의 일익을 담당했고, 나아가서 해당 지역사회의 변모에도 파급력을 발휘하였다. 통제영은 그러한 역동성의 구현을 보여주는 현장이었다. During the dual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 kind of firearms(cannons) expand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demand for firearms increased further as a series of policies were promoted to strengthen the defense of the metropolitan area following the replacement of Ming and Qing, and the central military was newly established. In particular, the diversification and allocation of artillery loaded to maintain the naval forces seem to have led to the activation of cannon casting. In this process, Tongjeyoung was the main site of the production of cannon to adjust supply and demand of the 8 Warships fleet itself and the place where the extra supplies could be supplied. The existing cannons related to Tongjeyoung range from Cheonjachongtong(天字銃筒) to the mainstream Bulranggi(佛狼機). Above all, the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canon and the ease of supplying raw materials work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military commander in overseeing or craftsman who led it was remarkable activities. The aspect of cannon production was to directly supply supplies produced in the Tongjeyoung to the consumer, and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by inspectors and craftsmen with abundant experience and technology. Shin Chung(申淸) and Kang Joon(姜俊)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er and Shin Gi-Rib(申起立) in the latter as a inspecting military officer. Taking this opportunity, they were able to solidify their position as Jaejimuban(在地武班), and after that, descendants of their households took several positions and emerged as key forces in the local community. On the one hand, like Yoon Man-je's family, there were cases where he deviated from the central stage and was incorporated into the marginal society to seek a new path. In short, the capacity and training of human re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firearms owned by local military Camps and military management played a part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military system during this period, and furthermore, it had a ripple effect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e Tongjeyoung was a site showing the realization of such dynamics.

      • KCI등재

        분별(vikalpa)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이 글에서는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의미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불교와 인지과학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이다.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본문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불교의 ‘무아’설과 ‘체화된 인지’ 이론을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인지언어학이 주장하는 추상적 개념의 신체적 뿌리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중관학파가 바라보는 중생의 괴로움의 원인으로서 ‘분별’의 양상과 이를 의미만들기로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괴로움의 주된 원인을 무명 ? 번뇌로 특징짓는 불교 교리의 특성 상 번뇌의 내용과 구조를 성찰하였다. 또한 인간 사고의 기반인 언어의 가상성에 대해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 역시 번뇌에 대한 현대적 이해로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하지만 불교는 번뇌를 제거하여 해탈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간 사고의 본질로서 언어를 탐구하는 인지언어학과 다른 종착역을 노정한다. 다시 말해 중관학파는 분별을 번뇌의 특징으로 규정하며, 분별이 갖는 부정성에 주목한다. 반면 인지언어학은 분별을 인간 종(種)의 개성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인지언어학은 분별이 의미화의 ‘차이’이며, ‘의미만들기’라는 시각에서 진화와 사회화의 과정에서 발달하고 획득한 특수한 신경기능으로 받아들인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different manifestations” (vikalp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man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is lead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uddhism and cognitive science. In my discussion, I will deal with the following issues. In Chapter Ⅱ I will compare the Buddhist idea of “denying a self” (an?tman) with the embodied cognitive theories. In Chapter Ⅲ I will explore the physical roots of the abstract concepts that are the main claim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hapter Ⅳ I will explore what the Madhyamaka regards a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cause of suffering,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meaning-making. Because Buddhism characterizes the main cause of suffering as the delusion (avidy?) and affliction (kle?a), I will reflect 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affliction. It seems that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is a modern understanding of affliction in that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hypothetical language is the basis of human thought. Buddhists pursue liberation by removing affliction, while cognitive linguistics explores language as the essence of human thought. As a result, Buddhism and cognitive linguistics have their ways. In other words, the Madhyamaka defines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characteristic of affliction, and pays attention to the negativity of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However, cognitive linguistics accept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part of the personality of the human species, treating them as the “differentiation” of the signification and studies the specific aspects of the neural function obtain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 KCI등재

        조선후기 統制營의 公廨 구성과 변천

        김현구(Kim, Hyun-Gu)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3 No.-

        조선후기 3세기간의 통제영의 공해 변천상을 추적하였다. 설영은 이경준 통제사의 주관 아래 1604년 9월경 이뤄졌고, 공해 건설은 이 무렵부터 본격화되었다. 곧 군영의 핵심 기반이 조성된 설영기와 통영성 축조 이후의 확장기, 사실상 공해 건설이 종료된 뒤부터 고성부의 이설과 환읍을 포함한 번성기의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공해 구조와 변천을 발굴 자료 및 각종 보고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영군의 핵심인 세병관과 백화당, 그리고 12 공방의 실체, 내아군의 운주당과 호소각, 아사와 별원의 누정 및 이중의 삼문체제를 살폈다. 중영군은 소수 관아를 제외하고 실제 부속동이 갖춰진 것은 17세기 후반이었다. 방영군은 유방의 편의를 위한 부속 시설을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선소 일대는 수군 운영을 위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며, 인근의 누정은 대개 18세기 말엽부터 등장하였다. 폐영 무렵부터 주요 공해는 행정 개편에 의한 전용과 일인들의 진출에 따른 점용으로 변용된다. 이 와중에서 무상임대나 매각, 증축 등이 행해지면서 급속하게 훼철된다. 나아가 1920년대 이후의 시가지 택지 조성이나 도로 축조 및 매립 사업 등은 통영 성곽과 공해의 해체를 촉진한 셈이 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trace back the aspect of change and constitution of the public office buildings of Tongjeyoung during the last three centuries of Chosun Dynasty At first, Tongjeyoung was started to be constructed by Admiral(the commander-in-chief of naval station), Lee Kyungjun, in september, 1604. The history of Tongjeyoung consists of the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the construction of the heart basis of the military camp(Gunyoung), the second was the expans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ongyoung Castle, the third was the flourish period; in fact, the construction of the public office buildings was completed, and the last, the closing period including the removal and relocation of GosungBu.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sed the change and structure of the public office buildings with the help of many kinds of reports and historical discoveries. I took a look into the Sebyungguan, Backhwadang, twelve craft workroom in the main camp group, Unjudang, Hosokak, Admiral’s private residence, nujeng in the secret garden and the system of the dual three Gate. In ading camp group, The control part of the camp except a few office buildings was completed by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defence part of the camp had the attached buildings for the safeguard of the people concerned. In addition, the area of the shipyard also had many kinds of facilities for the navy, and a few nujeng appeared nearside the camp toward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ince 1895, some of the public office buildings had been used in different purpose by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d occupied by the Japanese in the later. In this process, many buildings were damaged by the free lease, disposal and building-extension. Moreover, After the 1920’s, The dismantlement of the castle wall and old buildings of Tongyoung was accelerated by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 road building and reclamation of the new plan of City of Tongyoung.

      • KCI등재

        표상일 뿐[vijñaptimātra]에 대한 홀(B. C. Hall)의 분석과 비평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표상일 뿐’[vijñaptimātra]에 대한 홀(B. C. Hall)의 분석을 정리하고, 그에 대해 비평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 비평을 위해 홀의 주장을 따라 “표상일 뿐이라는 개념이 표업과 무표업이 갖는 물질적 속성(色法)의 한계를 ‘의도’로 귀속시킴으로써 전통적 까르마 이론이 봉착한 난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에서 제안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본다. 즉 세친이 주장하려는 바는 종자 은유를 통해 우리의 이전 까르마의 힘이 우리의 경험의 원인이며 모든 물리적 자연물의 존재론적 지반이라는 점이다. 이를 통해 AKBh에서의 표업의 논의가 KSP를 거쳐 표상일 뿐이라는 유식학파 철학의 중심교리로 전개한다는 홀의 주장대로 표(表, vijñapti)의 의미가 확장하는 역사적인 순서와 의미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확인한다. 이는 표상일 뿐과 같은 하나의 개념이 의미 지반의 확장에 따라 유식학파의 철학적 입장을 대변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는 전 과정을 성찰하도록 명료한 전망도 제안한다. 따라서 한 개념의 계보학적 확장은 과거의 사유방식에 내재한 한계를 극복하면서 발전하는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표상일 뿐’도 표업 개념으로부터 까르마 이론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대안으로서 기능하는 특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반면 AKBh에서의 표업의 논의가 KSP에서 검토되고 비판을 거쳐 알라야식의 훈습으로 확장하여 까르마의 성취원리를 설명하는 구도는 명확하지만, KSP에서 Viṃś로 발전하는 사유의 연속성은 Viṃś에서 표업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 않기 때문에 둘의 친소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KSP에서 표업이 갖는 물질적 속성의 한계를 ‘의도’로 치환하여 까르마의 성취를 설명한 후, Viṃś에서 표상일 뿐을 통해 우리의 경험으로서 지각과 인식의 내용을 공동의 까르마인 증상력으로 해명하면서 식전변을 제시한다는 사실을 추가적으로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KSP와 Viṃś 논의의 연속성을 찾는다면, 이는 실재론자들이 봉착한 까르마의 물질적 속성을 정신현상으로 환원시키면서 까르마 성취의 원리를 통해 우리의 경험이 정신현상 그 자체에서 가능하다는 주장으로 발전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DBh의 삼계유심 구문과 표상일 뿐의 상관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유심의 의미 지반이 표상일 뿐과 다르며, DBh의 인용 의도가 경전적 논거를 통해 자신의 주장에 권위를 확보하려 했다는 사실도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홀은 경전적 논거와 유식학파에 대한 중관학파의 비평, 그리고 현대 불교연구자들의 비판적 시각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현시점부터 홀이 구도화한 AKBh에서의 표업의 논의가 KSP를 거쳐 표상일 뿐이라는 유식학파 철학의 중심교리로 전개한다는 그의 주장에 DBh의 삼계 유심 구문을 인용한 MS의 영향관계를 세친의 표상일 뿐의 완성 과정에 편입시킬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at critiquing B. C. Hall’s (1986) analysis of vijñaptimātra.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cept of vijñaptimātra-following Hall’s arguments-was proposed to solve the challenges faced by the traditional karma theory. From Abhidharmic perspectives, vocal and bodily karma is classified into two: vijñapti-karma (manifest) and avijñapti-karma (unmanifest), which are limited by material properties. The Buddhist scholar Vasubandhu trie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by reducing to “intention” in Viṃś. Through vijñaptimātra, he argues that the power of our previous karma is the cause of our experiences and the existential base of all physical phenomena. To verify this, I trace it back from the Akbh to KSP, and thus to Viṃś-texts written by Vasubandhu-for grasping the extension of vijñapti, a term that is related to karma theory. According to Akbh, vijñapti designates the basic phenomenon of conscious experience without requiring its separation into object, subject, and act of cognition. The KSP is the leading resource for studying the nature of vijñapti philologically-since it contains the early works of Vasubandhu-which features among other Yogācāra philosophical works in tracing the procession of his thought from Abhidharma to Mahāyāna for karma theory. On the other hand, Hall claims that Vasubandhu tried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realism and idealism by adopting vijñaptimātra, but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Vasubandhu is often regarded as a type of metaphysical idealism. The reason begins with a historical fact that vijñaptimātra, in Viṃś, was criticized by Madhyamika because Vasubandhu tends to argue that the theory of physical objects cannot exist. Particularly, because it faces a dilemma of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experience derived from criticizing the theory of realism, we ne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oblem of perception and recognition o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consciousness as our experiences. Therefore, as Hall claims,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Vasubandhu has overcome the dichotomy of realism and idealism through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our experiences in Viṃś 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cittamātra passage (cittamātram idaṃ yad idaṃ traidhātukam) in DBh. For this, securing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argument about our experiences by focusing on Viṃś, and the context of adapting vijñaptimātra from the cittamātra passage in DBh were analyzed. Curr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MS, citing DBh’s cittamātra passage, should be emerged into the comple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vijñaptimātra. Thus, I criticized Hall’s argument and gained the necessity of survey for epistemological stance of Vasubandhu, through the perspective of Western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