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자 대장 CT 프로파일을 이용한 전자적 장세척 방법

        김한별(Hanbyul Kim),김동성(Dong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8

        가상 대장 내시경을 위해서 환자 대장 CT 프로파일을 이용한 전자적 장세척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관강 영역을 cubic seeded region growing(SRG)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이에 인접한 tagged material(TM)을 제거한다. TM의 경계에서 Air-TM의 partial volume(PV) 효과로 발생한 찌꺼기를 제거하고, TM-soft tissue(ST)의 PVE에 의해서 제거된 ST는 환자 CT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복원한다. 제안된 방법을 16명의 가상 내시경 환자 CT 데이타에 적용해서 임상의의 주관적인 평가와 computeraided diagnosis(CAD)의 정량적 평가에서 매우 고무적인 결과를 획득했다. This paper proposes an electronic colon cleansing method using a patient CT profile for a virtual colonoscopy.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colon using cubic seeded region growing, and removes tagged materials adjacent to the colon. Residuals produced by a partial volume effect at the boundary of air-tagged material are deleted, and the removed soft tissue pixels due to a partial volume effect at the boundary of tagged material-soft tissue are recovered using a patient CT profile.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16 virtual colonoscopy patient data sets, and produced promising results by a subjective evaluation of a radiologist and by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a computer-aided diagnosis system.

      • KCI등재

        문헌 속 동남 방언의 어제와 오늘

        김한별 ( Kim Hanbyul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4

        이 글은 과거와 현재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 오늘날 이 방언을 반영한 문헌의 생산 현황과 전망을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대 이전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는,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는 자료가 확대되고 정밀화되었으며, ‘연구 대상’의 측면에서는 사투리 연구에서 방언 연구로 변화해 온 것으로 그 성과를 정리할 수 있다. 향후에는 ‘사회적 요소도 적극 고려’하고, ‘사투리 반영률을 데이터베이스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투리 연구를 넘어 방언 연구를 추구’해야 한다. 다음으로, 현대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는, 문학 방언의 ‘뜻풀이’와 ‘국어학적 분석’, ‘오류 교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후에는 문학 방언 연구의 대상 작품을 확대하고 그 연구를 체계적인 방식으로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오늘날 동남 방언을 반영한 외국어 학습서, 문학 작품, 신문 기사 등의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문헌상에 이 방언을 전면적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는데, 앞으로 그러한 현상은 더욱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has two goals: (1) to review the studies on southeastern dialect (SED) reflected in past and present literature and suggest future tasks for the studies; and (2)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production of the literature reflecting the dialect. The studies on SED in the pre-contemporary literature have been expanded and refined in terms of ‘research data’ and have changed from the study of sathwuli to that of dialect in terms of ‘research object.’ It is needed, from now on, to take account of social factors; build a database for sathwuli reflection rate; and pursue the study of dialect beyond the study of sathwuli. Besides, the studies on S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xplanation of the meaning,’ ‘linguistic analysis’ and ‘correction of errors’ of literary dial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orks of literature for the study and continue it in a systematic way. There is a movement towards using dialect entirely in literature today, such as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literary works and newspaper articles, and such phenomen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m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대학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이수자의 학습경험 탐색

        김한별(Kim Hanbyul),박소연(Park So-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평생교육 실천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양질의 전문가 양성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 현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대학에서 운영되는 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 설계를 하였으며, 4년제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 교육사 양성과정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 자료로 삼았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평생교육사 양성 교과를 이수함으로써 평생교육 실천영역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아지고, 자신의 진로목표로 평생교육 전문가를 염두에 두면서 자신의 역할과 정체성을 형성해갔다. 또한 학생들은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자로서 자신이 실무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내용, 방법에 높은 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과목 간의 낮은 계열성으로 인하여 각 교과목을 통해서 습득한 교육내용을 평생교육사로서 갖추어야 할 통합적인 역량과 안목을 형성해 가는데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선, 정비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는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develop lifelong educators who lead and facilitate a variety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e courses of the lifelong educator development program.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for 10 university students who current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is designed.<BR>  As the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ories and practices of lifelong education, they become to develop their perspectives on lifelong education practices and enable to suggest their own thoughts. In so doing, they shape and strengthen their identity as lifelong educators. Students also address practical learning needs about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can be readily utilized in real world. Such needs and expectations of stud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program that certification is endorsed as a result of successful completion. Furthermore, due to the lack of sequence, integrity, and continuity among the courses, students feel difficulty in grasping their roles and desired competence as a lifelong educator.<BR>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lifelong educator development program by addressing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from his or her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무형식 학습의 이해 - 대학생들의 일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무형식 학습의 이해

        김한별(Kim Hanbyul)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상 경험을 통해서 벌어지는 무형식 학습의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가정, 신념, 가치 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보편적 일상 경험의 사례로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가운데 접했던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적 내러티브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무형식 학습이란 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해서 학습자 스스로 적극적인 인지적, 논리적 성찰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자신의 일정한 경험에 대해서 비용효과성과 이윤추구 가능성 등과 같은 경제적 가치, 구성원들의 상호존중을 중시하는 공동체주의 가치가 경험의 의미해석에 주로 개입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자기경험에 대한 의미해석이 가치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그 결과는 여전히 사회의 지배담론 안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Informal learning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for current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life-long learning. It is defined as a form of learning that is predominantly experiential and non-institutional. It includes many situations outside the classroom that are not designed in any detail but that are plann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informal learning, therefore, aspects of experiences and intentional reflection of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Informal learning refers to a cognitive process of a learner that constructs meaning of an experience as a result of critical reflection on certain social events or people.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ssumptions, beliefs, and values embedded in learner"s informal learning shape the meaning-making process of their lived experiences.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s employed with five written narratives of college students that contain narrator"s own experience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a learning process begins with a surprising situation that a learner"s existing assumptions and scheme are challenged. Furthermore, informal learning has to do with engaging in critical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whereby socially dominant discourses frame the individual"s reflective process. In particular, economic and efficiency oriented values, and communitarian values played a role of a reference when participants" reflection took place. Such values govern learner"s meaning-making process in a hidden way as discourses that determine what is good, right, and desirable as a social-being.

      • KCI등재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 원리: C시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한별(Hanbyul Kim),김영옥(Youngok K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평생학습에 대한 사회적 인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지역사회 차원에서 평생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학습동아리는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능동적 활동을 통해서 새로운 학습과 지역사회봉사를 추구하는 학습단위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의 관점에서 어떠한 요소가 효과적인 동아리 운영 원리로 인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학습동아리의 운영과정에 대하여 구성원들은 어떻게, 그리고 왜 그렇게 인식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고, 그로부터 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주요 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C시의 평생학습 동아리 구성원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원활한 학습동아리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섯가지 사항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학습동아리 활동하는 구성원들의 관점에서 볼 때, 동아리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연대감 증진, 리더의 전문성과 구성원 개인의 역량 개발, 동아리 활동에 대한 충분한 예산 지원, 동아리 상호간의 교류와 피드백의 기회 마련, 동아리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의 변화 등이 효과적인 학습동아리 운영원리로서 중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 동아리 운영에 대한 지원노력을 경주함에 있어서 참여자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합하는 지원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earning community has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as a key leverage for local lifelong learning practice. Although there have been a good deal of research on learning community. few studies on the practice of learning communities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ir learning communities. Qualitative research design for the experiences of C city learning communities' members is adopted. As a result, five themes have been revealed: developing a sense of belonging as community members, cultivating community member's competence, providing with appropriate financial support for learning communities, allow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changing perceptions of social milieu on learning communities. Such findings of the study could help in developing practical strategies for learning community support.

      • KCI등재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근거이론 접근

        김한별(Hanbyul K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갈등을 접하는 결혼 초기의 부부가 적응해가는 과정을 탐색하고, 부부 적응과정이 학습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결혼기간 3년 이내의 남녀 성인 7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래서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론적 모형을 정리하고, 부부 적응과정에 내포되어 있는 학습경험으로서 의미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개인의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과 지지를 필요로 하는 정서적 과정,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조응하는 사회적 과정이 상호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험학습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배우자, 자기 자신, 그리고 결혼에 대한 관점이 유연하고 수용적인 형태로, 또한 보다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성격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부부 갈등의 경험을 통한 학습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진정한 "배우자(spouse)"라는 정체성을 획득하는 상황학습의 과정이다. 진정한 배우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의 구체적인 결혼생활 상황에서 독특하게 기대되는 배우자 역할을 실제로 감당하는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체성의 획득은 이들이 모종의 교육과 훈련의 객체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구체적인 결혼 생활 현실, 즉 상황에 적합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주도적인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변화과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of married couples within the marital adjustment.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particularly, a grounded theory approach, seven in-depth interviews with husbands and wives who have been married for no more than three year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tical procedure and the paradigm that guide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comprises three reciprocal stages of discovery, interaction, and recovery. By going through these stages, newly married couples have been adapted to each other, and had learning experiences. Findings suggest that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as a learning process is composed of three activities: reflec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empathy seeking. These learning activities has constantly taken place during the stages of discovery, interaction, and recovery. Furthermore, the process has a meaning of a situated learning resulting in identity construction. In this sense, the findings show that, as a result of such an adjustment process, married couples have gradually become genuine “spouse”, which is conceptualized as constructing identity.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사회적 변화과정에서 시민들의 무형식 학습 경험 이해

        김한별(KIM Hanbyul),허효인(HUR Hyo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삶의 변화 속에서 시민들이 어떠한 무형식 학습 경험들을 해나가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환경 변화에 따른 개인들의 생각과 태도를 이해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일상적으로 자주 접하는 사람들을 연구 참여자로 섭외하여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민들은 COVID-19 상황 속에서 온라인 소통의 가능성과 한계, 일과 삶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생활의 리듬을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능력의 계발, 기존의 생각, 관점, 상식의 변화, 마스크 착용을 둘러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이라는 학습 경험을 하였다. 이를 통해 감염병 확산으로 평생교육 기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민들은 무형식 학습을 통해 보완적으로 학습을 해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가 동원하는 정보나 자원의 속성에 따라 학습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어 사회적 소통을 통해 무형식 학습이 검증되는 담화의 과정을 거쳐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 활용이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나 교육학적인 성찰과 고민을 통해 온라인 활용이 진정한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하고, 집단적 활동에서 소외된 시민들이 물리적으로 고립된 상황 속에서도 사회적 활동과 소통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마스크 미착용자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사회적 자본 및 공동체 구성원 간의 신뢰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of citizens whose lives changed because of COVID-19. To this en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houghts and attitud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onducted ethnographic interviews by recruiting people who frequently encounter as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citizens had sever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online communications,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create a rhythm of life within the blurred boundaries of work and life, changes in existing thoughts, perspectives, common sense, and perception of social inequality about wearing mask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itizens can learn complementarily through informal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do not function properly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However, it was discussed that the learning pattern may var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or resources mobilized by the learner, and thus the process of discourse in which informal learning is verified through social communications was discussed. In addition, online use has spread rapidly due to COVID-19, but systematic management or educational support for online learning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so it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online use can lead to true learning through pedagogical reflection and consideration. Even in a physically isolated situa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people s daily rhythms were formed by connecting social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using online systems, and through this, it was understood that social interest and support should be made available to citizens who are marginalized from collective activities. Lastly, it was discussed that ami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 situation in which complaints against non-mask users accumulate, and thus, the trust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members may decrease.

      • KCI등재

        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 :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사례를 중심으로

        김한별(Kim Hanbyul)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중문화 확산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문화적 취향과 기호가 대량으로 복제, 생산, 소비되는 증거이면서, 동시에 대중문화가 개개인의 일상적 생활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광범위한 무형식 학습의 계기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 텍스트로서 대중문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최근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드라마, 『오징어 게임』사례를 중심으로 드라마 시청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징어 게임』은 드라마 속 게임의 구조와 장치들, 그리고 참가자들의 상황적 조건들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 사회구조 속에서 자연스럽게, 그러나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은연중에 재현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속성이 게임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동조에 의해서 정당화되는, 즉 헤게모니의 작용 매커니즘도 묘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오징어 게임』의 전 세계적 흥행 성과를 다루는 언론의 접근방식에서 민족주의 담론이 우세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우리 대중문화의 글로벌한 성장 가능성보다는 그 성공 요인이 지니고 있는 ‘한국적’인 가치에 더 주목하는 국수주의적 가치를 조명함으로써 로컬한 만족을 강화하고 생산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spread of popular culture is evidence that the cultural tastes and preferences of various members of our society are reproduced, produced, and consumed. It is also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for a wide range of learning that can take place in the lives of individuals. This study is aimed at, focusing on the case of 『Squid Game』, examining what viewers can learn by watching dramas, which is a genre of popular culture. By doing so,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popular culture as a public pedagogy. 『Squid Game』points out the three neo-liberalism’s influences on the structure of today’s society. At the same time, it describes the hegemonic mechanism by which the neo-liberal discourse are justified through the voluntary conformity of game participants. It also addresses that nationalist discourse is predominantly working in the media that deals with the globally successful performance of 『Squid Game』. By over-emphasizing ‘Korean’ aspects of its success, it create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and producing local satisfaction, instead of developing the potential of our popular culture.

      • KCI우수등재

        언간 자료를 통한 음운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한별 ( Kim Hanbyul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5

        이 논문에서는 언간 자료를 통한 음운론 연구의 현황을 ‘연구 자료’,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각각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총 2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언간 음운론 연구의 현황을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연구 자료의 수ㆍ시기ㆍ정확성과, 연구 대상이 되는 음운 현상의 수와 종류를 살펴보고, 공시적/통시적 연구의 비율과 자료 외적 근거의 활용도 등 연구 방법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이들 중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주제는 제3장에서 각각 절을 달리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는 2차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 최근의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참조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구 대상의 측면에서는 19세기 ‘ㄷ’ 구개음화를 예로 들어 표기의 보수성과 관련된 해석 문제를 거론하였다.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자료 외적 근거의 적극적인 활용과 공시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future tasks of phonological study using ŏn’gan (諺簡), vernacular Korean letters in the Chosǒn Dynasty period, in terms of three aspects: research data, subject and methodology. Reviewing a total of 27 papers on phonological topics using the letters, Chapter 2 describes what and how these papers have conducted the study. In particular, the following issues are discussed: the number, period and accuracy of the letters (data); the number and types of phonological phenomena (subject); and the ratio of synchronic/diachronic study and the use of evidence outside the data (methodology). Among these, the topics that require full-scale discussion are dealt with in Chapter 3: the importance of updating the recent research results; separation of subject between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need for use of evidence outside the data and for synchronic study.

      • KCI등재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발효 용해물의 피부 미생물 조절 효과

        김한별 ( Hanbyul Kim ),명길선 ( Kilsun Myoung ),이현기 ( Lee Hyun Gee ),최은정 ( Eun-jeong Choi ),박태훈 ( Taehun Park ),안수선 ( Susun An ) 대한화장품학회 202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6 No.1

        피부에는 여러 종의 미생물들이 군집을 이루며 서식하고 있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드름, 건선 및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는 피부 미생물의 균형이 깨져 건강한 피부와는 다른 미생물 군집 구성을 보인다.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의 조절은 이러한 피부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Quorum sensing (QS)은 세포간 전달인자로, QS을 조절하면 유해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이나 효소 분비등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역시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의 특허 성분인 유산균 발효 용해물(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KCCM 11179P 이용)의 QS억제능력 및 피부 유익균과 피부 유해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발효 용해물 10 μg/mL 처리시, QS에 의해 제어되는 Chromobacterium violaceum의 자주색 안료 생산을 대조군 대비 27.4% 감소시켰다. 또 피부 유익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장을 대조군 대비 12% 증가 시켰고, 피부 유해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38.5% 감소, 바이오필름 형성을 17.7% 감소시켰다. S. epidermidis를 같은 속(genus)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피부 유해균 Staphylococcus aureus와 함께 공배양 하였을 때 S. epidermidis의 생장은 대조군 대비 134% 증가시켰고, S. aureus의 생장은 13%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이용한 발효 용해물은 피부 미생물의 균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skin is colonized by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with a stable composition of species. However, disease states of skin such as acne vulgaris,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have specific microbiome composi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healthy skin. The target modulation of the skin microbiome can be a potential treatment for these skin diseases. Quorum sensing (QS), a bacterial cell-cell communication system, can control the survival of bacteria and increase cell density. Also, QS affects the pathogenicity of bacteria such as biofilm formation and protease product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anti-QS activity of Amorepacific patented ingredients, which are Lactobacillus ferment lysate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KCCM 11179P) through bio-reporter bacterial strain Chromobacterium violaceum. The purple pigment production of C. violaceum controlled by QS was reduced 27.3% by adding 10 μg/mL of Lactobacillus ferment lysate (freeze dried). In addition, the Lactobacillus ferment lysate increased growth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12% and decreased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38.5% and its biofilm formation 17.7% at a concentration of 10 μg/mL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Moreover, S. epidermidis was co-cultured with the representative dermatological bacterium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same genus, the growth of S. epidermidis was increased 134 % and the growth of S. aureus was decreased 13%.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lysate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may be useful as a cosmetic ingredient that can control the balance of skin microbi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