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서촌(西村) 역사문화탐방로 조성방안 연구 - 인왕산록과 배운동천 수계(白雲洞川 水系) 지역을 중심으로 -

        김한배,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3

        The direction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a schematic proposal for a historical walk over an area called 'West Village' located inside the old city wall of Seoul. The case study area is comparable to the historic 'North Village,' including historical assets such as the Kyunghi Royal Palace and Sajik-dan. Moreover, it has spectacular scenic spots surrounding Mt. Inwang and Baegundong Stream, although this has now been paved over for use as a road. This village maintained its fame as a hub of art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this study ranges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 the ecological and vis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hemed walk would commemorate the great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Baegbeom Kim Ku, as well as the famous Korean style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school under the leadership of Kyumjae Jeong Seon, a great artist of the Josun Dynasty. In addition, a scenic streamside walk would accentuate the surrounding panoramic vistas which were drawn by Kyumjae,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ecological system of Baegundong Stream to be uncovered and restored.

      • KCI등재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 - 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한배,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6

        근대이전 동아시아의 상류사회는 시서화 삼위일체의 통합체제를 유지해왔고 이에 따라 정원조성의 원리 또한 산수화의 작화원리를 참조하며 발전해 왔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산수화론과 원림론을 비교, 양자 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원림의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양자 간의 비교는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여기서 내용은 주로 가치와 의미 등 비가시적 측면을 말하고, 형식은 주로 시각과 공간 등 가시적 측면을 말한다. 먼저 산수화론에 있어 내용면의 주요 주제는 무엇보다도 '기운생동(氣韻生動)'이었다. 이는 음양사상을 기반으로한 동양문화 고유의 가치인데, 남조의 사혁이 이론화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요 주제는 '풍수(風水)'와 '의경(意境)'이었다. 풍수 역시 음양사상을 기반으로 한 지기(地氣)의 원리이고, '의경'이란 시서화 공동의 가치로서 마음의 경지를 의미하는데, 특히 원림론에서는 가시적 경관 이면의 상징적 의미를 말하고 있다. 형식면에서 산수화론의 두드러진 주제는 북송조 곽희에 의해 정립된 '삼원법(三遠法)'이라는 일종의 동양화의 투시도법으로 다원적 조망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제는 '인지(因地)'와 '차경(借景)'으로 명조의 계성이 이론화하였으며, 각각 대상지 내외부 경관자원의 조성과 차용을 의미한다. 특히 차경의 세목들은 삼원법의 각 관점에 대응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 원림론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은 화론과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서 원림술은 예술의 한 분야로 인정받아 왔다. East-Asian intellectual societies in the pre-modem age sustained a holistic system of poem-calligraphy-painting trinity until the coming of Western modernism. Therefore, it has been insisted that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landscape gardening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ose of landscape painting and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ose influences closely to discover the essence of traditional Asian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landscape painting theory and landscape gardening theory within the dual categories of 'contents(value and meaning)' and 'form(view and spatial structure)'. The most important theme of landscape painting theory in contents category was 'Chi and its Vitality(氣韻生動)'. The matching theme in landscape design field was 'Feng-Shui(風水)' and 'Yi-Jin'g(意境)'. The most important theme of landscape painting theory in formal category was 'the Three Ru1es of Perspective(三遠法)'. And the matching theme of landscape design theory was 'Yindi(因地)' and 'Jie-Jing(借景)'. The most important theme of landscape painting theory in formal category was 'the Three Rules of Perspective(三遠法)'. And the matching theme of landscape design theory was 'Yindi(因地)' and 'Jie-Jing(借景)'. It was found that themes and various principles of both fields were closely inter-related and have much in common in their representation of contents and form.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main art genres like this, the landscape gardening could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genres of fine art.

      • KCI등재

        조선시대 산수화의 경관관이 원림양식에 미친 영향

        김한배,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2

        조선시대의 산수화의 시대별 대표유형들은 지식인들이 공유하는 이상향의 역할을 해왔으며, 동시대 원림양식의 형성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쳐 왔다. 특히 조선초기의 대표적 산수화인 <몽유도원도>는 소형 계류부에 입지하면서 은둔지향적인 '도원형 원림'을 형성시키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조선조 원림의 보편적 원형의 역할을 해왔다. 조선중기에는 <무이구곡도>의 전파와 함께 '구곡형 원림'이 등장한다. 구곡형 원림은 굴곡이 많은 대규모 계류에 입지하면서 은둔형의 '곡(曲)'과 조망형의 '경(景)이 결합된 복합적 경관특성을 보여준다. 조선후기의 <진경산수화>는 승경탐사를 통해 팔경문화를 토착화 시키면서 '조망형 원림'을 촉발시켰고, 사회적으로 원림이용이 보다 개방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진경산수화의 연장선상에서 나타났던 민화풍의 <풍수명당도>는 '길지형 원림'을 통해 원림과 주변부 지역간의 풍수적 형국을 강화하게 하였으니, 내명당 외명당의 구조에 따르는 내원과 외원의 이중구조가 그것이다. 이렇게 조선조 전반의 원림경관은 시대별 산수화 대표유형의 영향 아래 은신과 조망의 양면적 가치를 시기적, 지역적 특징으로 부각시키면서 변화해 왔다고 판단된다. The popular landscape paintings in Jaseon Dynasty had become the prototypes of the paradise of people and played the essential role in making the typical types of garden in those times. The representative types of the paintings include <Mongyudowondo>, <Muigugokdo>, <Jinkyung Sansuhwa> and <Poongsu Myungdangdo> etc. They made ways to produce the typical types of Joseon landscape gardens such as 'Dowon Type Gardens', 'Gugok Type Gardens', 'Prospect Type Gardens' and 'Gilji Type Gardens' etc. The types of garden above showed their landscape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with the types of painting respectively. The 'Dowon Type Gardens' mostly located at the mountain valley showed enclosed landscape suited for refuge it corresponds with the composition of <Mongyudowondo>. The 'Gugok Type Gardens' mostly located at the long and winding valley composed of sequential sceneries with open and enclosed views corresponding with the composition of <Muigugokdo>. The 'Prospect Type Gardens' located mostly m the hilly sites holds open views contrasting with the earlier types, and activated with the influence of <Jinkyung Sansuhwa>. The 'Gilji Type Gardens' influenced by <Poongsu Myungdangdo> extended their territory beyond the main garden and made the vicinity areas, including the whole village, a paradise in respect with feng shui. Most of the garden types in Joseon Dynasty have alternated the bipolar characteristics of Prospect and Refuge in time and area respectively.

      • KCI등재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김한배,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5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탈근대의 사회와 문화는 새로운 환경설계의 문법을 요구하고 있었고, 당대에 등장한 대지예술은 새로운 혼성적 설계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대지예술의 영향아래 건축으로부터 시작된 지형적, 경관적 접근은 환경설계 전반에 장르간 혼성화의 큰 흐름을 일으켰다. 대지예술과 지형건축의 영향을 받은 조경에서는 신픽쳐레스크 조경이 등장하게 되었고, 조경의 영향을 받은 도시설계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이 태동되었다. 이러한 환경설계 전반에 걸친 땅과 경관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동시대 도시의 유동적 도시활동과 동태성이 중시되면서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들 땅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은 혼성적 환경설계장르들의 작업에 필요한 새로운 방법론들을 안출해 내게 하였는데 맵핑과 다이어그램, 폴드가 그것이다. 이들 세 가지 방법론은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폴드는 모든 혼성적 장르에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다이어그램은 지형건축과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맵핑은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고, 대지조형적 조경에서는 소극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맵핑이 가지는 진보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론이 개별적이고 주관적이어서 보편적 적용이 어려운 이유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은 현대도시상황으로 보아 매우 시의적절한 대안적 방법이며, 혼성의 포괄성과 지역성 구현에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조경분야가 도시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the late 20th century, post-modern society has needed new styles in environmental design. The land art begun during that time supplied the momentum for the birth of the hybrid environmental design. The new design approach, focusing on land form and landscaping begun with land-form architecture, raised a powerful current of hybridization in the environmental design genres. The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distinguished by manipulated land forms and sublimated aesthetics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land art and land-form architecture. Similarly, landscape urbanism was formed by the fus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refore, the representative hybrid styles in environmental design appear as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land-form architecture and landscape urbanism. With the new, strong interest in land and landscape, this same new interest was given to 'time' on account of the dynamics and indeterminacy of urban society. This new interest in land and time gave rise to new hybrid methodologies for environmental design such as mapping, diagramming and folding. These three tools have been applied most comprehensively in landscape urbanism. The 'fold' is the most popular design tool for most of the hybrid genres. The 'diagram' is the second-most popular design tool mostly for landscape urbanism and land-form architecture. Mapping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landscape urbanism and passively applied in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In general, landscape urbanism seems to be a timely and suitable alternative for contemporary urban society. It displays very high potentials in the regeneration of the locality through the comprehensive hybrid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and develop landscape urbanism fit the local needs.

      • KCI등재

        포스트모던 조경설계의 다원적 전개 양상

        김한배,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2 No.6

        The styles of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have diversified since the emergence of Postmodernism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 diversification was mostly influenced by contemporary fine arts and archite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luralistic development of Postmodern landscape desig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s from those sister arts. In this point of view, the main approaches of Postmodern landscape design are thought to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the formal abstract approach', 'the figurative approach' and 'the new picturesque approach'. The first category of the formal abstract approach was formulated with the concepts and vocabulary of Minimal Art and Installation Art. Its representative icons such as 'point grids' and 'stripes', and the main concepts such as the sense of 'flahess', 'expansion' and 'materiality' are mostly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se art forms. The second category of the figurative approach is characterised by the concepts and vocabulary of Pop Art and New Image Paintings. Its representative icons such as 'map' or 'figurative forms' and main concepts like the sense of 'reality', 'context' and 'symbolism' are mostly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se art forms. The third category of the new picturesque approach was formulated with the concepts and vocabulary of Land Art and Late Deconstructive Architecture. Its representative icons such as 'hybrid', 'layer' and 'fold', and the main concepts such as the sense of 'complexity', 'continuity' and 'reversibility'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se art form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ain stream of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seems to be gradually moving toward the second and third approach above, in step with the cultural orientation and the dynamism of contemporary urban life. Therefore, the study focused especially on the new picturesque approach which would be in greater need for coping with the hybrid culture toda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김한배 ( Han Bai Kim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조선시대 서촌에서는 많은 성시원림들이 만들어졌고 그들 중 다수가 진경산수화로 그려졌었다. 본 연구는 먼저, 서촌의 대표적 원림들의 위치를 보다 실증적 기법에 의하여 규명하려 하였다. 조선조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원림경관을 ArcGIS 3차원지형 모델링과 비교함으로써 사실에 근접한 위치를 밝혀내고 이에 근거하여 지형과 경관의 특징을 해석하려 하였다. 원림추정지 주변의 지형을 3차원 지형모델로 작성한 후, 조망점을 이동시켜 진경산수도와 근접한 3D 모델의 구도에서 대상지의 위치를 찾아내었다. 이후 모형에 지적도를 중첩시켜 원림 터의 지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서촌의 초기 원림인 ‘청풍계 원림’은 인왕산 계곡의 종단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감추어진 ‘위요형 경관’을 보인다. 중기원림인 ‘청휘각 원림’은 옥류동 계곡과 능선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보다 개방된 ‘반(半)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후기원림인 ‘서원 원림’은 대상지 중 가장 높은 능선 상단에 위치하여 ‘조망형 경관’을 보인다. 말기원림인 ‘송석원 원림’은 능선과 시가지의 접점 언덕에 위치하여 ‘개방형 경관’을 보인다. 즉, 서촌원림의 경관과 사회적 기능은 함께 점진적으로 개방되어 온 것으로 나타난다. Several Sungsi Gardens were built up in Old West Village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m were painted as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original locations of representative gardens of the Old West Village by empirical investigation of related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It seeks to demonstrate the garden landscape in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utilizing ArcGIS, 3D topographic modeling to observe geographical locations and landscape more realistically. After forming 3D topographic modeling of estimated locations of the gardens, location of objects at composition of 3D modeling similar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as found by shifting viewpoints. And by overlapping the cadastral map on the modeling, we could verify the current lot number of the garden sites. The interpretation of process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 Chungpunggye garden was built at the very end of Mt. InWang valley. The site is hidden from the outside, and appeared as ‘Enclosed Landscape’. In the middle stage, Chunghuigak garden was built between Okryu-dong valley and the surrounding ridge. It appeared as ‘Semi-Opened Landscape``. In the late stage, Seowon garden was built at the highest level of the ridge among the research areas. It appeared as ‘Prospective Landscape’. In the last period, Songsukwon garden, was built at a point of contact of the ridge end and surrounding residential area. So it appeared as ‘Opened Landscape’ to the town. In other words, the location, landscape and social function of the gardens in Old West Village had been gradually opened in Joseon Dynast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이창연,김한배,Lee, Chang-Yeon,Kim, Han-Bai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6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들은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도시정체성의 중요한 기간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대표경관들이 어떠한 지각-인지의 조건들로 인해 대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 대표경관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대표경관들을 도출하고, 그들 각각의 인지요인들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유형별 요인별로 다각적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향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특히 가시적 요인, 심미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면적 요인의 분석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의 대표경관의 인지 순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는 시민들의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기는 하지만 후속 연구의 보완을 통해 향후 대표경관 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city identity via a symbol of the city and a mediator to make the city all the more worthy of being peculiarized. The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erceptive factors in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round the metropolitan Seoul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e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ing, in an attempt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type and reason, while further proposing progressive management plans. This study was mostly focused on the visibility factor, activity factor, aesthetic factor and cultural factor influencing on the cognition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The important findings discover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ople were being interested more on the cultural factors and the activity factors these days rather than visibility factors in the cognition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iority rank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reveal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otal account of more diverse perceptive factors, showed so much alte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mostly upon the visual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