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침입죄의 객체와 주거침입을 요소로 하는 결합범의 실행의 착수

        김태명 ( Kim Tae-myeo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3

        주거침입죄의 객체인 ‘사람의 주거’에 해당한다는 법리를 취하고 있다. 얼핏보면 자명한듯 여겨지나, 이러한 법리는 주거침입죄로 처벌되는 주거의 범위를 확대하여 결과적으로 처벌의 범위를 확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공동주택에서 공용부분은 주거가 아니라 관리하는 건조물에 해당할 수 있으며 회사 사무실이 밀접한 빌딩이나 연구실이 밀집한 대학내 연구동 내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공용부분에 무단으로 침입한 행위는 건조물침입죄로 의율된다는 점과 비교해 볼 때, 공용부분에까지 주거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가 의문이다. 공동주택에서 공용부분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행위는 일반인의 무단출입이 통제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건조물침입죄로 의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례는 주거침입을 요소로 하는 결합범에서는 주거침입시에 이들 범죄 전체에 대한 실행의 착수가 인정된다는 법리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법리를 야간주거침입절도, 야간손괴주거침입절도, 야간주거침입강도, 주거침입강간 등의 주거침입을 요소로 하는 결합범에서 실행의 착수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결과적으로 처벌의 범위를 앞당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주거침입을 요소로 하는 이들 결합범의 본질은 절도, 강도, 강간 등으로서 결합범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실행의 착수가 인정되지 않는 단계, 즉 주거침입의 단계에서 전체 범죄의 실행의 착수를 인정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나 책임원칙에 부합한다고 할 수 없다. 다른 범죄를 목적으로 하는 주거침입은 그 자체로서 주거침입죄를 구성하고 나아가 강도, 강간 등의 죄의 예비의 성격을 가진다. 최근 형법과 성폭법의 개정으로 강간 등의 죄의 예비·음모죄가 신설된만큼 주거침입죄와 예비죄의 상상적 경합으로 처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e Korean Supreme Courts uphold that the common areas of apartment houses are included in the residence as a object of housebreaking, and explained the reason that the common areas are the space appurtenant to the exclusive dwelling area in apartment, supposed to be monitored by the residents, and it’s actual tranquility needs to be protected. But the common areas of apartment houses are not the space where the residents mak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eating, bathing, getting dressed, toileting, transferring, and continence that are basic tasks of daily life that most people are used to doing without assistance. And the reasons cited by the Korean Courts are aren’t enough to claim that the common areas need to be treated as an part of the area of exclusive space. And the Korean criminal law prescribes heavy punishment over several combined offenses that includes housebreaking as a factor of them. According to these provisions, persons who committed larceny, robbery or sexual violence by trespassing upon the places specified in the preceding Article after destroying or damaging the gate, the wall or a part of the structure shall be punished much more severely than persons who committed larceny, robbery or sexual violence. And The Korean Supreme Courts uphold that persons who intruded upon others residence, guarded building, structure or ship or occupied room shall be punishable as an attempt of those combined crimes, even though they didn’t initiate larceny, robbery or sexual violence. These legislation and the court's legal principle have stirred controversy over excessive punishment. This paper claims that the common areas should be included in the part of the guarded building as the other object of housebreaking, and persons who only committed housebreaking and did not initiated other crimes should not punished for an attempt of those combined crimes.

      • KCI등재
      • KCI등재

        판례평석 : 야간주거침입절도죄에서 야간의 상황이 요구되는 시기

        김태명 ( Tea Myeong Kim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1 비교형사법연구 Vol.13 No.1

        A people who steals another`s property by trespassing upon residence, guarded dwelling house, structure or occupied room at night shall be punished for compound larceny(§ 330). But it`s not clear whether a person who broke into a house in the daytime and stole another` property at night shall be punished for compound larceny or concurrent crimes of Intrusion upon Habitation(§ 319①) and Larceny(§ 329). On April 14. 2011, Korean Supreme Court upheld that the accused who entered a motel room at 15:30 and lifted a LCD monitor at 21:00 could not be punished for compound larceny, because the §330 requires the circumstance of night at the time when the burglar intrudes a occupied room and it`s application could not be expanded to the a people who trespassed upon residence in the daytime and stole another` property at night. But sense of instability and danger of extension of damage which caused by the trespassing from daytime to night are not smaller than that which brought by intrusion at night. And the translation of words in the criminal code couldn`t be limited to the literary meaning but it should be done based on the consideration from various angles such as the spirit of legislation, system of the provisions etc. So the § 330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requires night as a condition of time and another`s residence a condition of place when the accused steals another` property. When the bugler intrudes a house in the daytime and lifted a steals another`s possession at night, the necessary conditions of time and place which requires the provision of compound larceny(§ 330) is fulfilled. So the accused this decision could be punished for compound larceny.

      • KCI등재

        피의자 유치 및 처우의 실무와 주요 판례에 대한 검토

        김태명 ( Tae Myeong Kim ) 한국경찰법학회 2012 경찰법연구 Vol.10 No.1

        In this study, the treatment of the pretrial detainee in police cells are examined by reviewing the practice and cases of the treatment of them. Though pretrial detainee are under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the appropriate treatments are not given to them and there are some problem in violation of human rights, for example, excessive body searches, infringement of the rights to interview and communicate with the suspect of the defence counsel. One of the significant problem is the strip search of the newcomers in police cells. strip search has caused very hot issues among Korean society, for there were a great possibility to humiliate detainee seriously. And there are some unhappy incidents have been occurred, for example commit suicide, assault another detainee, and break jail and so on. 26)From a standpoint of police, maintenance of order and safety of inmates could be recognized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 rights of the inmates in police station. But Korean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have made certain declaration that the rights of the pretrial detainee should be guaranteed to the highest degree. Even now regarding to the principle of legal state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the practice and rules dealing the treatment of the pretrial detainee in police cells have many defects and problems. They should be amended through legislation regarding pretrial detain especially in police cells.

      • KCI우수등재

        [논문] 간접정범 규정의 해석과 허위공문서작성죄의 간접정범

        김태명(Kim Tae-Myeong) 한국형사법학회 2004 刑事法硏究 Vol.22 No.-

        The indirect principal is one who commits a crime by way of taking advantage of a person who himself is not punished. The article 34 paragraph 1 provides that a person who commits a crime by instigating or aiding and abetting another who is not punishable for such conduct, or who is punishable as an offender through negligence, shall be punish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for an instigator or accessory. The majority opinion understands that this provision defines that the indirect offender is not a kind of complicity but of principal, and insists that the indirect principal of a status crime, of which a person's status is an element, such as the preparation of false public document can't be constituted, because a person who lacks the status can't commit that crime. On the contrary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person who made an untrue statement to a public official, thereby caused a false entry to be made in a public document shall be punished as an indirect principal of the preparation of false public document. For an adequate interpretation of the indirect principal clause, we should examine its provision not from its nature as a type of the principal, but from the legal or interpretational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e lawmakers of the Criminal Code in 1953 provided it as a fictitious complicity which shall be punished with provisions of complicity, and intended to prevent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its punishment.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principal shall be constituted and pu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for complicity. So the commencement of its commission is recognized not at the time when the indirect principal takes advantage of a person, but at the time when the person who is instigated or aided and abetted reaches the commencement stage of its commission. And the indirect principal shall not be punished, unless the person doesn't carry out a crime. Second, the indirect principal of a status crime such as preparation of false document(article 227) shall be constituted and punished. Because to a person who collaborates in the commission of a crime, of which a person's status is an ingredient, the provision of the Instigator and Accessories shall apply even though that person lacks such status(article 33), and the indirect principal shall be punish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for complicity(article 34 paragraph 1), a person who makes a false report to a public official and has that official enter record any false fact in a public document shall be punished as the indirect principal of the preparation of a false public document.

      • KCI등재

        술에 취해 항거가 곤란한 사람에 대한 준강간죄의 불능미수

        김태명(Kim, Taemyeo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59 No.-

        이 판결의 [다수의견]과 [보충의견]은 실제로는 반항이 불가능할 정도로 술에 취하지 아니한 피해자를 술에 만취하여 항거불능의 상태에 있다고 오인하고 간음한 피고인의 행위는 준강간죄의 불능미수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분명히 피해자를 그의 의사에 반하여 간음을 하였으므로 실행행위가 종료되지 못하였거나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미수범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 때문에 [반대의견]은 이 사건은 미수범의 영역에서 논의할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사건 피고인의 범행은 간단히 술에 취해 제대로 반항하지 못하는 피해자를 그의 의사에 반하여 간음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판례는 강간죄의 수단인 폭행·협박은 ‘항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에 이를 것을 요구하고 있고,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폭력을 행사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피고인을 강간죄로 처벌하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이 사건 피해자는 술에 취해 제대로 반항을 할 수 없었는바, 술에 취한 상태에 있거나 잠을 자고 있는 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준강제추행죄의 인정한 사례가 다수 있음을 감안해 볼 때, 피해자의 상태를 보다 면밀히 검토하였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 사건의 피해자가 준강간죄의 객체인 심신상실자 또는 항거불능자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술에 취해 항거가 곤란한 상태에 있었으므로 심신미약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고, 나아가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행사한 물리력이 강간죄의 수단인 폭행 또는 협박의 정도에는 이르지 않더라도 위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형법은 위계 또는 위력을 수단으로 심신미약자를 간음·추행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제302조)을 따로 두고 있는 이상, 마땅히 검찰과 법원은 피고인의 범행이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했어야 한다고 본다. On March 28, 2019, the Korean Supreme Court declared that the accused who had sexual intercourse with a victim who has difficulty in resisting to drunkenness shall not be punished for Quasi-Rape by Compulsion, if the victim was not the condition of unconsciousness or inability to resist. However the Korean Supreme Court adjudged the accused to be guilty of attempt to impossible Quasi-Rape, This ruling was meaningful in that it had clarified the requirement for the impossible attempt, especially to Quasi-Rape that was rarely ruled of in the Courts. In this case, however, the accused completed the sexual intercourse with the victim. Thus the accused in this case can not be punished to the impossible attempt, because the attempted crime is the case when an intended crime is not completed or if the intended result does not occur. The dissenting opinion in this case claimed the act of the accused does not constitute the attempt to impossible Quasi-Rape for that reasons.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throw doubt that it applied the laws on the impossible attempt by constraint in order to avoid the acquittal of the accused who had infringed on the sexual freedom of the victim. This paper seeks the reasonable ways to punish a criminal who took advantage of the victim’s condition in want of resistance.

      • KCI등재후보

        유가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김태명 ( Tae Myung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4

        본 논문은 선진유가의 저작인 논어, 맹자, 순자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유가의 경제사상을 분석하였다. 물론 주관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텍스트를 재단하려는 것이 아니라 전통 경전을 충실하게 대우 하면서 경제사상을 중심으로 현재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신자유주의의 혼란 속에서 유용하고 의미 있는 사고의 틀과 방향을 모색 하는데 또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론에 이어 선진 유가에서 인식하는 이익과 의로움의 개념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진 유가들의 이익개념은 공적 이익과 사적이익으로 구분하여 사적이익은 당시 백성들 생활의 기본적인 물적 토대로 그 필요성을 인정하였지만, 인간의 탐욕에 의한 무제한적인 사적 이익추구는 조화로운 사회질서의 유지에 역행하므로 억제되어야만 하였다. 즉 인간의 경제활동은 윤리적 가치와 밀접하게 관계된 인간생활의 총체로 파악하여 경제와 윤리 문제는 이익과 의로움의 관계로 치환되어 인간의 탐욕을 적절히 조절하는 자기 조정적 윤리의 기준을 사회적 규범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유가 경제윤리는 상업 활동을 통해 경쟁적으로 많은 이익을 추구할 경우 소수에게 이익이 편중되는 것을 비판하였다. 지배 계층은 이익추구에 몰두하지 말고 백성들에게 재물을 베푸는 것을 주장하면서 계층 간에 경제활동의 윤리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선진 유가는 이러한 공적이익 추구와 의로움의 실천에 기초한 경제윤리사상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소비, 분배의 경제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생산관을 살펴보면, 생산의 증대는 국가 재정의 증대와 백성들의 경제생활안정에 기여하므로 중요시하였지만, 생산의 증대를 통한 부의 축적에는 소극적이었다. 맹자는 토지의 경계와 분배를 공평하게 하는 정전제를 시행하여 농업생산물의 사취가 없어지고 백성들이 생업에 집중하여 생산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고자 하였다. 순자는 생산 공구의 개발로 농업생산의 증대를 꾀하였다. 비록 오늘날과 같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획기적인 관점은 없지만 생산의 증대가 백성들의 삶에 물적 기초가 된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백성들이 풍족히 먹는 것을 치국의 기본으로 파악 하고 있었다. 춘추시대에 활동하였던 공자는 유통에 대한 경제적 인식이 부족하였다면, 맹자와 순자가 활동하였던 전국시대에 와서는 사회분업체계가 상당히 진전되고 상업이 발달하여 유통에 대한 정치경제적 인식이 점점 높아지면서 맹자와 순자는 유통의 경제적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그 도덕적 한계성을 경계하였다. 분배관에서 선진유가는 모두 균등한 분배를 주장하고 있다. 소수의 부의 집중에 의한 상대적 빈곤은 계급갈등을 유발하고, 사회를 심각한 불안으로 몰아가 국가의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분질서에 따른 상대적 균등분배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분배관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오늘날의 경제 권력은 정치권력에 맞먹는 힘을 행사하며 권력에 대한 순치 보다는 금력에 의한 순치가 점점 보편화되어가는 상황에서 부의 편중에서 나오는 금력의 힘이 일상을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부의 합리적 관여에 의한 적극적인 재분배기능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안정을 파괴할 수 있는 대다수 극빈층의 양산도 막고, 소수의 경제 권력에 의한 지배관계를 구축하는 부자 세력의 부의 편중도 억제하는, 즉 빈부의 격차도 줄이고 힘의 역학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을 선진유가의 분배관에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선진 유가의 소비관은 생산은 증대시키되 소비는 절제하는, 즉 절용에 두고 있다. 공자는 개인의 탐욕과 사치를 절제하는 절검의 소비생활을 의로움의 실천으로 보았다. 맹자는 소비관의 핵심이념을 ‘과욕’(寡慾)에 두고, 지위와 나이에 따른 소비생활 양식을 제시하면서 ‘예’(禮)에 근거한 소비생활로 지배계층의 사치와 낭비를 막고 백성들의 기본적인 소비생활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순자의 소비관도 공자와 맹자처럼 절용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결론적으로 선진유가의 경제사상에 기초한 경제행위들은 모두 공동체 구성원들의 균등하고 지속가능한 삶의 질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행위의 윤리적 기반을 의로움에 두고 소수에게 집중되는 이익의 편중을 해소하고, 과욕과 절용으로 고르지 못하고 안정되지 못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상이 오늘날 자본주의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그러나 시대적 배경과 산업구조가 다른 현대에서도 선진유가가 제시한 경제사상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선진 유가의 경제사상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새로운 경제 질서를 모색하는데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첫째, 국민의 기본적 생활권을 적절히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공동체 삶을 위한 윤리적 가치를 재 발굴하여 경제활동의 정신적 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는데 그 가치가 있다. 둘째, 정부의 합리적인 관여로 부가 소수에게 집중되는 것을 해소하고 공평한 재분배를 통한 균등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경제정책의 수립에 근간을 제공 할 수 있다. 셋째, 오늘날의 무제한적 소비생활이 초래하는 자원낭비와 환경파괴를 막고 친환경적이고 생태주의의 경제생활에 과욕과 절용의 정신이 커다란 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얻은 시사점들은 소 농업 경제를 기반으로 한 선진 유가의 경제사상이 오늘날의 경제 질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아니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람직한 경제 질서의 구축을 위해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바꾸기 위한 이념적 제안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grope for the framework and direction of useful and meaningful thoughts in the confusion of neo-liberalism in which texts of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Xunzi, works of Pre-Qin Confucian scholars, will be analyzed and reinterpreted on economic thoughts from present point of view.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concept and relationship of gain and rightousness recognized in Pre-Qin Confucian scholars are analyzed. The concept of benefit in Pre-Qin confucian scholars was classified into public one and private one. Private benefit which was regarded fundamental physical base recognized in necessity, but the unlimited pursuit of private benefit owing to human avarice should have been restricted because private benefit ran counter to the maintenance of harmonious social order. As for production though the increase of produc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since i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national finance and stability of the people`s economic life, they passive in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the increase of production. This means that they deeply recognized the increase of production was physical base to the people`s life and found that to make people wealthy was the basis to governing a country. As with distribution, all of Pre-Qin Confucian scholars advocated uniform distribution. They insisted relative uniform distribution in proportion to order in social position since the relative poverty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wealth on a small number of people might give rise to class conflict and national crisis. For consumption, they demanded that production be increased and consumption be moderate. Confucius looked upon consumption life temperate in individual avarice and extravagance as practice of rightousness. Mencius placed the ideal concept of consumption on few wants and let the daily life as a consumer based on courtesy stop extravagance and waste of ruling class, and wanted to guarantee the people`s basic consumption life. Xunzi`s consumption viewpoint was rooted in thrift just like Confucius and Mencius. To conclude,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 economic thoughts of Pre-Qin Confucian scholars aimed at enhancing equal and sustainabl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members and placed ethical basis of activities on rightousness and solved preponderance of profits concentrated on minorities. Further they intended to settle the inequity and instability by making use of few wants and thrift. The economic thoughts of Pre-Qin Confucian scholars are judge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in probing for new economic order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economic thoughts of Pre-Qin confucian scholars could adequately ensure people`s living rights and provide mental basis of economic activities by rediscovering ethical values for sustainable community lives. Second, they could present establishment of economic policies to seek equitable quality of lives by letting government`s rational participation solved the concentration of wealth on minorities and by impartial redistribution of wealth. Third, spirits of few wants and thrift could provide colossal framework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friendly economic life in which they could interrupt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brought about by unlimited consumption of today.

      • KCI등재후보

        과실로 태아를 모체 내에서 사망하게 한 조산사의 죄책

        김태명(Kim Tae-Myeong)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8

        지난 2001년 피해자는 37세로서 임산부로서는 고령이고 제왕절개의 방법으로 두 딸을 출산한 경험이 있는데다가 당뇨증상 및 양수과다증상을 보이고 있었고 출산예정일을 2주나 경과하여 태아가 5.2㎏의 거대아로 성장 하였는데, 조산사가 신속하게 태아를 제왕절개수술로 분만시키지 아니하고 자연분만을 시도하다가 모체 내에서 태아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공소가 제기된 때로부터 최종판결이 내려지기까지 4년 정도가 소요된 이 사건은 의료계는 물론 형법학계에서도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피해자는 피고인의 과실유무와는 관계없이 어차피 제왕절개수술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보아 제왕절개수술에 의한 업무상과실치상죄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나아가 이 사건에서는 자궁문이 다소 열려져 있었더라도 분만의 개시라고 볼 수 있는 규칙적인 진통이 시작되지 아니하여 태아를 사람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업무상 과실치사죄도 성립하지 아니하였다. 이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을 두고 피해자로 하여금 제왕절개수술을 받도록 조치하지 아니한 피고인의 과실과 제왕절개수술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에서부터 시작하여, 제왕절개수술이 필요하였던 시점을 사람의 시기(始期)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형법학계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견해들은 재판과정에서 확인된 사실관계에 근거하기 보다는 주로 자신들의 주장에 기초하여 대법원판결을 비판하는 경향을 보이는가 하면, 분만이 시작된 시점을 사람의 시기(始期)로 규정하고 있는 형법 규정이나 그동안 사람의 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진통설 또는 분만개시설과 거리가 있다고 보여진다. 분만과정에서의 진통은 불명확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본 논문은 통설이나 판례가 말하는 ‘진통’이 과연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재판과정에서 확인된 사실관계를 기초로 이 사건에서의 태아를 진통설 또는 분만개시설에 따라 사람으로 볼 수 없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는 비록 사망한 태아를 반출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제왕절개수술을 실시하였는데, 제왕절개수술에 의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경우에는 어느 시점을 사람의 시기로 보아야 하는지 그리고 이 사건에서 사망한 태아가 이미 사람이 된 것으로 볼 여지가 없는지를 검토한다. In 2001, an unborn child was dead because of a Maternity Nurse's negligence and it was taken out through the cesarian operation. She was prosecuted for the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injury of the pregnant woman and death of the fetus. The Korean Supreme Court(KSC) confirmed the accused's professional negligence but didn't acknowledge the criminal liability on the ground that there was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sed's negligence and the cesarian operation because there was no room for choice with the exception of it. And KSC concluded that she couldn't be punished for an accidental homicide on the ground that the unborn child was not a human before it was delivered of a baby. Some people emphasized the necessity to approach this case being based on the notion that a fetus is equal to a human and should be protected equally. Moreover they insisted that KSC should have approved that the unborn child in this case was a human because a fetus should be treated as a baby at a point of time a pregnant woman should be undergone the cesarian operation. Owing to its indistinctness this outstanding standard of the beginning point of human being is troublesome to accept. The legal status of fetus and KSC's opinion that it becomes a human at a point of time it begins to delivered to a baby and whether the unborn child in this case could be acknowledged as a human will be reviewed in this paper.

      • KCI등재

        체포현장에서 피의자가 임의제출한 휴대전화기의 압수와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정보의 탐색·수집

        김태명 ( Kim Taemyeong ) 한국경찰법학회 2021 경찰법연구 Vol.19 No.1

        Modern people use mobile phones not only to make phone calls, but also for voice recording, recording and storage of photographs and videos,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NS activities, using of web hard and cloud, internet banking, and various business processes including document work. Thus the mobile phones have literally become a mine of personal information. Even if an individual's mobile phone is exploited for a crime, if it is easily obtained or accessed by an investigative agency, not only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but also the basic life itself as a human may be shaken. The Constitution declares the principle of warrantism and due process with respect to search and seizure in order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of individuals.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requires that in principle a warrant should be issued for search and seizure, but only at the site of arrest, a place of crime, or in cases where urgency is recognized after an arrest a post-warrant should be received. Furthermore, in order to ensure the legitimacy of it’s procedures, the participation of suspects and lawyers in the process, and the issuance of seizure lists to them are regulated. However the Supreme Court has taken the doctorine that even at the site of arrest or crime of the suspect, items arbitrarily submitted by the holder may be confiscated without a warrant, and in this case, judicial police officers do not need to obtain a warrant later. There has been a concern that the principle of warrantism and due process may be compromised due to the doctorine of the Supreme Court, If it is necessary to continue confiscation of items arbitrarily submitted by the holder, even at the site of the current criminal arrest or at the place of a crime, a post-warrant should be requested without delay. And in the search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from confiscated mobile phones, the principle of relevance and due process principles such as participation in the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of the suspect or attorney and the issuance of the seizure list should be observed.

      • KCI등재

        일본의 미죄처분과 간이송치 제도

        김태명 ( Tae Myeong Kim ) 한국경찰법학회 2011 경찰법연구 Vol.9 No.2

        Because of the spread of recognition that the traditional justice system has not been effective to prevent minor and juvenile offences and to promote there reunion to the community, the focus of the criminal justice has moved from punishment to diversion or restorative justice. In many countries police have the discretion to divert the suspect from the formal justice system into an alternative program for rehabilitation and restitution. After the world war Ⅱ police have been granted the discretion to handle minor and juvenile offences in Japan. They are simplified transference of juvenile offences and self disposition of minor offences. But the police in Korea is not endowed with the discretionary power. However the police has released the minor and young offenders with light charge with warning. In this way the minor offences of the young people can be filtered out at the begging stage of criminal procedure and they can have the better chance to return to society without being branded as a criminal. This article reviews Police Release with Warning in Japan, and examines the police discretion to realize the ideal of divers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