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글로벌 개발협력 파트너십으로서 민관협력 거버넌스에 대한 비교연구

        김태균(Taekyoon Kim),이승철(Seung-Chul Lee),최나은(Naeun Choi)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 국제관계연구 Vol.20 No.1

        2000년 MDGs를 넘어 Post-2015 개발의제 도출과 SDG의 17개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제 중 민관협력이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는 반면, 민관협력의 가치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관대한데 비해 실질적인 이용가치와 제도화 방안에 대한 논의와 분석은 빈약한 수준이다. 향후 Post-2015 시대에 보다 적극적으로 민관협력을 국제개발 사업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에 배태된 다양한 문제에 대한 정치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는 위험관리, 레버리지 효과, 책무성 기제, 민간부문과 ODA와의 역할관계 등이 포함된 체계적인 분석틀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세계은행과 유엔개발계획이 축적해 온 민관협력사업의 성과와 특징을 비교 · 분석함으로써, 대단히 상반된 방식의 민관협력이 각각의 다자개발기구가 추구하는 비전과 정책적 환경에 따라 내부적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두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즉, 세계은행의 경우는 신자유주의를 기반한 시장주의에 입각하여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역할의 비중이 커지는 데 비해 이에 대한 책무성의 무게는 불균형적으로 배분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반면, UNDP의 민관협력 방식은 공적 기관으로서 UNDP가 실질적인 촉매제 역할을 수행하면서 개발파트너로서 민간부문이 맡아야 할 책무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계하고 위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책무성 소재의 명확화는 효과적인 레버리지 활용으로 개발협력의 파트너십의 분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민간재원의 활용으로 글로벌 공공재 제공을 확장하고, 민간재원의 동원으로 인한 ODA의 대체효과 발생을 적극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While public-private partnerships(PPPs) have been highlighted as a critical implementation mechanism for the transition from the 2000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scholarly discussions over value and utility of PPPs have been poorly forged with the lack of genuine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o institutionalize them in real practices. For more affirmative embracement of PPPs in the Post-2015 Era, more thorough analysis on PPPs should be accompanied by a combined package of risk management, leverage effects, accountability mechanisms, and the division of labour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ODA. In this sense, this study sets out to compare the dual modes of PPPs, which are respectively conducted by the World Bank and the UNDP, particularly focusing on not only policy visions, but also internal processes of how to institutionalize PPPs in different shapes. In case of the World Bank, its PPPs, embedded in neoliberalism, generate market-based contributions of the private sector and its engagement for development, but end in facing the dilemma of accountability deficits. By stark contrast, UNDP’s PPPs demonstrate an accountable pattern of development partnerships in the sense that the UNDP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acilitating private involvements and institutional leverage for inviting the private sector into a PPP framework. Such a reinforced clarification of accountability is aimed to maximize a positive effect of the division of labour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partners via leverage effects, to extend the provision of global public goods via the introduction of private funds, and to prevent negative results replacing ODA by private sources of development financing.

      • KCI등재

        조력자에서 주창자로: 한국 국제개발 시민사회단체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태균 ( Taekyoon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7 담론 201 Vol.20 No.3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는 다른 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단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와 미분화된 역할에 천착되어 제한된 자원주의(voluntarism)를 보여준다. 개발협력 사업을 시행하는 정부기관에 협력하는 조력자의 역할이 한국 개발CSO(civil society organization: CSO)가 그동안 경험해 온 국가와 관계성의 주류적 현상이었다. 이에 반해, 조력자 역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CSO가 스스로 국제개발 정책과 사업시행 단계에서 정부를 비판하고 감시하는 정치적 애드보커시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주창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전달과 정치적 애드보커시라는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를 재단하는 일차원적인 프레임을 비판하고, 이를 통합적인 시각인 역사성·총체성·책무성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에 입각하여 한국적 맥락을 재조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개발협력분야에서 한국의 시민사회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조력자에서 주 창자로서의 정체성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한국의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는 전략의 하나로 개발CSO의 주창성을 강화할 것을 주문한다. It is fair to state tha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volv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South Korea have been experiencing the limited voluntarism in the sense of both the short history of their presences and unrefined division of functions. The role of ‘supporter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hich are designed by governmental agencies has been long the mainstream of state-society relation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However,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cent move of emerging development CSOs, which represents the function of ‘advocates’ against government policies at the level of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as well by challenging and monitoring their donor-driven nature of aid proj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ets out to review critically the existing frame evaluating the Korean development CSOs via too simplistic dichotomy of service delivery and political advocacy.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the Korean contexts through an integrative frame on the basis of historicity, totality and accountability. Moreover, the further task in this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development CSO’s identity transformation from supporters to advocates via not only what kind of institutional channels they are able to utilize but also how they can reinforce their new roles as political protectors for the rights to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개발원조의 인식론적 전환을 위한 국제사회론

        김태균(KIM Taekyoon)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1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개발원조를 바라보는 시각이 국익 중심 내지 인도주의 중심으로 양분되어 있다는 인식론적 한계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시각으로 국제사회론에 기초한 통합적 인식론을 제시한다. 통합론 인식론은 국익과 인도주의가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보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로 두 시각 모두 다분히 현실주의적 시각이라는 공통분모를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상보적 관계는 국제사회론에서 제공하는 방법론적 다양성, 즉 질서와 정의를 공존시키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시켜 국제체제의 사회성을 재현할 수 있도록 이론적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데에 기초한다. 이는 국제사회론 내부의 분화로 이어지며, 다원주의와 연대주의가 각각 질서와 정의를 대표하여 궁극적으로는 국익과 인도주의가 상호 소통하며 공존하는 것을 강조한다. 기존의 개발원조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현실주의에 기반한 다원주의를 상수로 상정하고 연대주의 성향의 편차를 강압적·합의적 방식으로 이원화하여 다원주의와 접목하는 통합적 인식론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대주의와 다원주의의 강압과 합의에 대한 분석은 푸코의 통치성과 구성주의적 사회학이론의 통약성을 중심으로 국제사회 내부의 위계적 권력정치가 제도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a new integrated epistemology for how to perceive the purpose of foreign aid via English school’s international society, which results from a fundamental critique on the crude dichotomy of existing scholarly perception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 national interest-centered or humanitarianism-centered. The integrated epistemology demonstrates that both national interest-centered and humanitarianism-centered approaches are not absolutely mutually exclusive and share a realistic perspective as common ground to some degree for further integration. Such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s based upon the international society’s methodological plurality which not only allows justice and order to be co-existing and mutually reinforcing, but also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social among states in international system. Given that international society can be internally divided into pluralism sustaining its order and solidarism creating its justice, this study acknowledges that the terms of the order/justice debate in the tradition of the English school comes to reflect a greater solidarist ambition and its close connectedness pluralist resistance. At the same time, it also accepts that there is a revitalization of the liberal vision that order cannot be sustained without justice and both are mutually supportive of peaceful co-existence. Overcoming the irrelevant dichotomy of epistemological approaches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necessarily requires an integrated form of knowledge, which can be forged by grafting solidarist consciousness pronged with coercive and consensual solidarisms on pluralist approach equipped with realist concerns about development aid. Furthermore, a detailed analysis of coercive and consensual solidarism, which can explain the process of a hierarchical order among states within international society, is undertaken by mobilizing a series of sociological methodologies such as the Foucaultian governmentality, commensuration theory, and institutional isomorphism.

      • KCI등재

        2030 지속가능발전시대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글로벌 거버넌스와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김태균(Taekyoon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글로벌 개발환경 속에서 민간부문 역할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되고 있는 최근의 기업의 사회적 참여에 관한 동향을 분석한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 대변되는 글로벌 개발협력 거버넌스의 세계체제 하에 국가역할의 변화, 시장역할의 강화에 따른 민간부문의 국제개발 참여와 특히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시대에 재조명되는 기업의 사회공헌을 강조한다. CSR의 기존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고 ‘자본주의의 다양성’ 프레임을 토대로 CSR에 대한 제도주의적 접근을 새롭게 소개하고 글로벌 거버넌스 측면에서 CSR이 발현되는 주요 프로젝트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CSR을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보다 정교하게 정리된 이론적 분석틀이 소개되고 공유되는 작업이 CSR 연구의 심층적 확장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선결조건임을 강조하면서 결론을 대신한다.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which has been increasingly receiving spotlights of its important rol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changing architecture of global development governance. It explains the retreat of the state and the rise of the market under the strong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critical contribution of the private to impl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n the ground. Moveover, it not only elaborates the structureal limits of CSR in previous literature but also introduces new institutional approaches on the basis of ‘varieties of capitalism’ and major projects that are designed by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positive nexus of private firms and social development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Lastly, it suggests that an inceptive effort for theorizing global CSR research in a fine form should be seen as a greatly critical factor in enriching the scholarly results from the new field of CSR in development studies.

      • KCI등재

        개발 원조의 변용성과 원조조건의 정치경제학

        김태균(Kim, Taekyoon)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9

        개발 원조가 실질적으로 수원국 경제사회 개발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원초적인 문제제기는 국제원조사회가 정착된 작금의 시대에도 유효하다. 이러한 문제제기의 중심에는 개발계획을 목표로 지원된 원조가 수원국 정부에 의해 임의로 변용되거나 개발과 상관없는 섹터로 전용된다는 불편한 사실이 있다. 개발원조의 변용성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본 논문은 개발 원조가 어떻게 변용되는지, 그리고 변용성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장치로 원조조건이 어떠한 방식으로 부과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논의되는 개념인 원조의 변용성을 설명하고, 변용성이 수원국 정부-국민 간의 효용함수의 일치도와 공여주체의 원조조건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현실정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조 변용성의 최악의 사례인 탄자니아와 우간다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유럽연합과 세계은행, 그리고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변용성 규제에 관한 원조조건 정책들을 소개한다. 결론으로 개발 원조가 수원국 국민의 요구와 괴리된 상태로 기획되어 부패한 수원국 정부와 협의하에 추진된다면 개발 원조가 전용되는 변용성의 덫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함의를 주장한다. It is cliche to comment that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aid is problematic on the issue that foreign aid has been of great use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aid-recipient countries. At the center is the ‘fungibility’ problem which indicates that aid-recipient governments distort the original targets of development aid by misusing it or hoarding it for the private purposes. By advancing the political economy approach as a main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aims to detect not only how fungible development aid is under what conditions in recipient countries but also how aid conditionality designed to reduce fungibility is strategically attached to aid disbursements. As empirical cases, Tanzania and Uganda are brought to the fore in order to show how corrupted governments of aid-receiving countries privatized global public goods by purchasing private jets for presidents. Also, the three policies for aid conditionality whose function is to prevent the fungibility are introduced: the EU’s counterpart fund, the World Bank’s public expenditure reform loan, and the Brookings Institution’s joint country assistance strategy. The concluding remark of this study includes its main implication that aid is likely to become under the fungibility problem if aid disbursement is not designed by reflecting people’s needs in recipient countries but decided just by consultations between donors and recipient governments without consideration of what people really want to receive.

      • KCI등재

        Appeasement for Peace? : Reconsidering the Interwar‐Period Europe

        Taekyoon Kim(김태균)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1 평화연구 Vol.19 No.2

        양차 대전 사이에 유럽 외교정책으로 풍미했던 유화정책(appeasement) 은 히틀러가 1938년 폴란드를 침공과 함께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으로써 그 정치적 가치를 영원히 잃은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단기적인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경제적 양보와 약소국의 영토까지 침략국에게 넘겨주는 무기력의 극치가 유화정책의 전형이라는 기존의 해석에 동의함과 더불어 이 연구는 유화정책이 본질적으로 평화구축에 일조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유화정책이 추진되는 역사적 제반 조건, 특히 침략국과의 군사력과 같은 물리적 힘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거나 유화정책에 대한 합의가 침략국에 맞서는 연합국 간에 확고하게 조율되어 있을 경우에 유화정책으로 어느 정도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힘의 유화정책'을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하기 이전 단계인 바이마르공화국 시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유화정책을 재해석한다. 또한 1933년 이후의 히틀러 독재 시기에 일어나는 전형적으로 무기력한 영국의 유화정책을 히틀러에 대한 공포와 연합국 내부의 조율 실패 등을 이유로'공포의 유화정책'으로 구분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은 대신하여 이러한 이중적 구조의 유화정책을 북핵문제에 적용하여 소위'햇볕정책' 내지 대북포용정책에 대한 정책적 평가를 간략하게 소개함과 함께 후속연구로 2차대전 이후 현대사에서 나타나는 유화정책을 비교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Appeasement has been long criticized as an abused conciliation policy intended to buy peace at the expense of concessions. Indeed, the history of the interwar‐period Europe, particularly the shameful Munich crisis, endorses a negative image of appeasement in the sense that appeasers are seen as craven men who mistook weakness for charity and sold leverages of negotiation too cheaply in return for peace. Against this conventional account for appeasement, this study sets out to demonstrate th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understanding appeasement policy by revisiting historical trajectories of interwar Europe:'power‐based appeasement'; and'fear‐based appeasement.' While appeasement could be a policy of optimism at times of strength, it could be relegated to a shackle of pessimism when appeasers are inferior to aggressors. With this logical division of reasoning, it briefly attempts to analogize Europe's appeasement to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towards North Korea. Also, it suggests that comparative analysis of appeasement policy with the cases of contemporary events is our future task a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